동굴속 실낱 햇빛에도 꽃피우는 신종 쐐기풀

조홍섭 2013. 01. 03
조회수 22227 추천수 0

중국 남서부 광시성 석회암 동굴서, 햇빛 바깥의 0.04%에서 꽃피고 자라

험하고 독특한 카르스트 지형이어서 최근 신종 발견 잇따라, 보전 조처 시급

 

Alex Monro.jpg » 중국 남서부 동굴 속에서 발견된 신종 쐐기풀 필레아 카베르니콜라. 사진=알렉스 먼로

 

빛 한 점 들지 않는 동굴 속에도 물고기, 곤충, 거미 등 그곳에 적응한 특별한 동물이 산다. 햇빛이 없으니 광합성을 하는 식물은 살아갈 방법은 없다.
 

하지만 미약하나마 빛줄기가 들어오는 동굴 들머리에는 종종 이끼나 고사리처럼 선선하고 습기 찬 곳을 좋아하는 식물이나, 홍수 또는 박쥐 배설물과 함께 외부에서 들어온 식물이 살기도 한다. 바깥 식물이 동굴에 들어온 게 아닌 애초 동굴 속에서만 살아가는 독특한 식물도 있다.
 

Botanists Wei Yi-Gang, Guangxi Institute of Botany, and Alex Monro, Royal Botanic Gardens Kew, standing within Yangzi cave with clumps of plants from the nettle family nearby_Alex Monro.jpg » 중국과 영국 식물학자가 양치 동굴 들머리에 서 있다. 바닥에 여기저기 나 있는 것이 신종 쐐기풀이다. 사진=알렉스 먼로

 

중국 남서부 광시성의 미얀마와 베트남 국경 지대엔 대규모 석회암 지대가 펼쳐진다. 수천 개의 동굴과 깊은 계곡으로 이뤄진 지형이 워낙 험하고 가팔라 사람의 접근이 쉽지 않은 곳이다. 여기서 동굴 쐐기풀 등 세계 어디서도 볼 수 없는 식물들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
 

알렉스 먼로 영국 자연사박물관 박사 등 중국과 영국 식물학자들은 온라인 공개학술지 <피토키스>에 최근 실린 논문을 통해 이곳에서 새로 발견된 쐐기풀과의 식물 3종을 신종으로 보고했다.
 

이 가운데 한 종은 동굴 안에서만 자라는 물통이속 식물이다. 먼로는 그 발견 소감을 학술지 보도자료에서 이렇게 밝혔다.

 

중국인 동료인 광시 식물연구소 웨이 이강이 처음 동굴에 사는 식물을 내게 소개했을 때 나는 그가 중국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줄 알았어요. 하지만 우리가 양치 동굴에 발을 들여놓고 나서 다문 입을 다물지 못했습니다. 동굴은 달 표면과 같은 기괴한 분위기를 풍기고 있었는데, 쐐기풀과의 식물이 컴컴한 곳 여기저기에 무더기로 자라고 있었지요.”


cave3.jpg » 동굴 쐐기풀의 모습. 사진=먼로와 웨이

 

 

이 식물은 완전한 어둠이 아닌 동굴 들머리의 어슴푸레한 곳에서 자라는데, 햇빛의 양은 환한 곳의 2.78~0.04%에 지나지 않았다.
 

키 50㎝에 다른 물통이처럼 보랏빛 작은 꽃들을 매달고 있는 이 식물은 동굴 2곳에 모두 100~200개체만 있어 보호조처가 시급하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이 식물이 사는 동굴 근처엔 약초재배 밭이 있고 이 석회암 지대에서는 광산개발이 한창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cave1.jpg

 

cave2.jpg » 양치 동굴 안(A)과 밖(B)의 모습. 농경과 광산 개발로 보존 조처가 시급하다. 사진=먼로와 웨이

 

연구진은 동굴 밖 석회암 계곡에서도 세계에서 이곳에만 있는 쐐기풀 2종을 새로 발견해 이 학술지에 보고했다.
 

이 식물이 어떻게 동굴 안에서 자라게 됐으며 어떻게 극히 적은 햇빛만으로 살아가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것이 없다.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Monro AK, Wei YG, Chen CJ (2012) Three new species of Pilea (Urticaceae) from limestone karst in China. PhytoKeys 19: 51?66. doi: 10.3897/phytokeys.19.3968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