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품 옮기기로 드러난 개의 공감 능력

조홍섭 2012. 11. 12
조회수 37162 추천수 0

사람 말고 침팬지, 개코원숭이, 개 만이 하품 전파

상대 감정 상태 알아야 가능…개는 7달, 사람은 4살 이후 

 

Husky_(1).jpg » 하품하는 허스키 품종의 개. 하품은 이심전심의 표현이다. 사진=위키미디어 코먼스

 

마치 허파 속의 공기를 모두 새것으로 바꾸려는 듯 입을 있는 대로 벌리고 공기를 들이마신다. 고막이 길게 늘어나며 쩍 하는 소리가 난 뒤 길게 숨을 내쉬며 찔끔 눈물이 맺힌 눈을 끔뻑인다. 하품이다. 온몸을 쭉 펴는 스트레칭 동작인 기지개를 켤 때 반드시 하품으로 마무리하니, 기지개도 하품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피곤하거나 지루할 때 또는 스트레스가 심할 때 하품을 한다. 이런 일상적인 동작을 왜 하는지 또 어떻게 하게 됐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하품의 중요한 특징인 옆 사람으로 옮기기가 무엇 때문인지도 논란거리다.
 

552px-Alligator_mississippiensis_yawn.jpg

 

AbZahri AbAzizis_Panthera_leo_-zoo_-yawning-8a.jpg » 하품은 많은 동물에게 공통된 동작이다. 맹수는 상대를 위협하기 위해 하품을 한다. 사진=위키미디어 코먼스

 

흥미롭게도 하품은 인간의 전유물이 아닌 물고기와 뱀, 새부터 침팬지까지 널리 공유하는 동작이다. 일부 동물은 사람처럼 하품을 전파한다. 침팬지와 개코원숭이가 그런 동물인데, 여기에 개가 추가된다.
 

개가 하품에 관한 한 사람과 비슷하다는 사실은 하품을 왜 하게 됐느냐는 의문을 풀 단서를 제공한다. 최근 인지과학자들이 개를 앞에 앉혀 놓고 연방 하품을 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스웨덴 룬드대 연구자들은 4~14개월짜리 개 35마리를 데리고 실험을 했다. 재미나게 놀아주고 쓰다듬고 하다가 개 이름을 불러 주의를 끈 다음 늘어지게 하품을 했다. 이 모습을 빤히 쳐다본 개의 69%가 따라서 하품을 했다.

 

 

이 실험이 이전 연구와 다른 건, 나이에 따라 하품을 따라 하는 빈도가 다른지를 알아본 점이다. 그랬더니 하품 전파는 7개월 이후의 강아지에게만 나타났다. 개는 일곱달이 돼야 다른 개들의 감정 상태를 제대로 안다.
 

사람은 하품 옮기기의 선수다. 실험 결과 옆 사람이 하품을 하는 것을 본 어른의 45~55%가 하품을 따라 하는데, 직접 보지 않더라도 하품을 하는 소리를 듣거나 또는 그 생각을 하는 것만으로도 하품을 따라 한다. 또 가까운 사이일수록 하품이 쉽게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실험에서는 낯선 사람, 지인, 친구, 친척으로 갈수록 하품이 더 잘 옮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4살 이전의 아이는 하품을 따라 하지 않는다. 이 나이가 돼야 아이는 비로소 상대의 감정을 정확히 아는 인지능력을 얻는다.
 

김명진_03830107_P_0.jpg » 사람은 하품 옮기기의 선수다. 특히 가까운 사람끼리. 사진=김명진 기자

 

여기서 하품의 전파가 감정이입, 곧 공감하는 능력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개가 침팬지나 개코원숭이보다 인지능력이 떨어지는데도 이런 공감능력을 갖게 된 것은 오랜 가축화의 역사에서 비롯된다. 개는 사람의 감정을 예민하게 알아챈다. 주인이 슬퍼하면 자기도 기분이 가라앉고 위로하려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어떤 개들은 이런 공감능력이 지나칠 정도로 높다. 스웨덴 연구자들은 실험에 나선 일부 개들이 하품을 하는 주인의 ‘지루하고 졸린’ 감정을 내면화해 실험 도중 잠에 빠지기도 했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사람은 왜 하품을 전파할까. 공기 속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지만, 사회성 동물이 긴장을 높이기 위한 집단적 방어술로 진화했다는 설명이 유력하다. 졸리거나 지루하면 무리의 경계가 느슨해져 포식자의 공격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일제히 하품을 해 긴장을 높이는 행동이란 것이다. 늑대 무리가 울음으로 집단을 일체화하는 것처럼 말이다.
 

어쨌든 가족 중 누가 나와 제일 가까운가 궁금하다면, 아내(남편)와 아이와 개를 앞에 두고 늘어지게 하품을 한 뒤 누가 먼저 따라 하는지 보면 된다.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Contagious yawning in domestic dog puppies (Canis lupus familiaris): the effect of ontogeny and emotional closeness on low-level imitation in dogs
Elainie Alenkær Madsen, Tomas Persson

Anim. Cogn. DOI 10.1007/s10071-012-0568-9

 

이 기사를 일본어 판으로 읽기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시베리아서 낙동강까지, 열목어 대이동의 비밀시베리아서 낙동강까지, 열목어 대이동의 비밀

    조홍섭 | 2017. 04. 10

    빙하기 시베리아서 남하, 아무르강 거쳐 2만년 전 한반도로최남단 서식지 낙동강 상류에 고유 집단 잔존 가능성 커북극해서 놀던 ‘시베리아 연어’한강과 낙동강 최상류 찬 개울에는 커다란 육식성 민물고기가 산다. 한여름에도 손이 저릴 만큼 차...

  • 브렉시트, 기후변화 대응에 불똥 튀나?브렉시트, 기후변화 대응에 불똥 튀나?

    조홍섭 | 2016. 07. 01

    파리협정 이행 갈길 먼데, '기후 리더' 영국 빠진 유럽연합 동력 상실 우려기록적 가뭄→시리아 난민사태→브렉시트→기후대응 약화 악순환되나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가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갖는지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공통적인 견...

  • 화학물질 참사 막으려면, 틀린 경보가 묵살보다 낫다화학물질 참사 막으려면, 틀린 경보가 묵살보다 낫다

    조홍섭 | 2016. 06. 03

    `가정 독물'인 살생물질 관리에 특별한 대책 필요…디디티 교훈 잊지 말아야과학적 불확실성 있어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 예상되면 조기경보 들어야  아침에 쓴 샴프나 손에 든 휴대전화, 금세 썩지 않는 나무의자에는 모두 화학물질이 들어있다....

  • 차로 치고 새끼 유괴하고…고라니의 잔인한 봄차로 치고 새끼 유괴하고…고라니의 잔인한 봄

    조홍섭 | 2016. 05. 06

    IUCN 취약종 지정, 체계적 조사 없이 우리는 매년 15만마리 죽여세계서 중국과 한국이 자생지, 중국은 멸종위기에 복원 움직임  야생동물을 맞히는 퀴즈. 수컷의 입에는 기다란 송곳니가 삐져나와 “흡혈귀 사슴”이란 별명이 붙어 있다. 가장 원...

  • 똑똑한 식물…때맞춰 꽃피우고 기억하고 속이고똑똑한 식물…때맞춰 꽃피우고 기억하고 속이고

    조홍섭 | 2016. 04. 08

    중추신경계 없지만 잎, 줄기, 뿌리가 네트워크로 연결돼 고등기능 수행 미모사는 30일 뒤까지 기억…공동체 이뤄 햇빛 못 받는 나무에 양분 나누기도     봄은 밀려드는 꽃 물결과 함께 온다. 기후변화로 개나리 물결이 지나기도 전에 벚꽃이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