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해야 강하다, 생물도 언어도 | 책에서 만나는 환경 이야기
2020.03.10
|금세기 말까지 생물종에 대한 지식 담은 언어 절반 소멸 위기생물다양성의 중요성에 많은 사람이 공감한다. 특히 개발국의 의약품, 식품산업계에서 그렇다. 그러나 생물다양성이 중요한 이유는 산림이나 해양생태계를 포함해, 지구 생태계를 더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물다양성이 필수조건일 뿐 아니...
-
올챙이의 새로운 호흡법, 공기 방울 흡입 | 환경뉴스
2020.03.09
|어린 올챙이 공기 방울로 물 표면장력 회피…도롱뇽 유생도연못이나 수조 속 올챙이를 관찰하면, 물 표면으로 헤엄쳐 올라왔다 작은 공기 방울을 남기고 다시 가라앉는 행동을 종종 볼 수 있다. 흔히 알려진 올챙이의 이런 행동이 척추동물에서 처음 발견되는 독특한 ‘공기 방울 호흡법’이란 사실이 밝...
-
나방의 ‘노이즈 캔슬링’, 박쥐 회피 새 기술 | 환경뉴스
2020.03.06
|박쥐가 내쏜 초음파 85%까지 가슴 비늘에서 흡수해 스텔스 기능6500만년 전 박쥐의 등장은 나방에게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위장 무늬 등 시각적 교란으로 포식자를 피하던 이제까지의 전략은 쓸모없게 됐다. 박쥐는 초음파를 내쏘고 반사파를 통해 먹이의 위치를 파악하는(반향정위), 청각을 이용하는 전혀...
-
시베리아 동토서 발굴 4만6천년 전 종다리의 비밀 | 환경뉴스
2020.03.05
|매머드 멸종 당시 두 아종으로 나뉘어 기후변화 살아남아북유럽에서 시베리아를 거쳐 북아메리카까지 북반구 전역에서 매머드가 어슬렁거리던 빙하기 생태계를 증언해 줄 새로운 동물이 시베리아 영구동토에서 발견됐다. 이제까지는 털매머드, 털코뿔소, 말, 들소 등 포유동물의 사체가 대부분이었지만 이번에 ...
-
고래는 ‘피부관리’ 위해 극지방과 열대 오간다 | 환경뉴스
2020.03.04
|남극 범고래서 확인…규조류 오염 피부 떼어내려 따뜻한 바다로 이동고래는 포유류 최고의 여행자이다. 크릴 등 먹이가 풍부한 여름 동안 북극과 남극 바다에서 4∼6달 동안 폭식으로 지방을 축적한 뒤 따뜻한 열대·아열대 바다로 이동해 새끼를 낳아 길러 극지방으로 돌아갈 때까지 장기간 단식한다. 예...
-
휴면으로 역경 건너뛰는 열대 송사리의 비밀 | 환경뉴스
2020.03.03
|마른 웅덩이서 수명 2배 휴면으로 버터…노화 연구 ‘모델 동물’성간여행을 하는 공상과학의 우주인처럼, 코로나19를 피해 잠시 휴면에 들어갈 수 있다면…. 일부 야생동물에게 이런 휴면은 꿈이 아닌, 힘든 시기를 건너뛰는 현실의 생존전략이다.척추동물에서 처음으로 아프리카 열대 송사리가 노화 등 아...
-
극단적 귀차니즘? 7년 자리 지킨 동굴 도롱뇽 | 환경뉴스
2020.03.02
|10년 ‘단식’에 100년 장수…에너지 절약 위해 움직임 최소화유럽 남동부 석회암 동굴에 사는 ‘올름’이란 도롱뇽은 여러모로 특이한 동물이다. 세계에서 가장 큰 동굴 척추동물로 길이가 40㎝에 이르는 이 양서류는 색소를 잃은 살구색 피부와 겉으로 드러난 나뭇가지 모양의 아가미 등이 독특해, 17세...
-
자동차 앞유리 보니, 과연 곤충 줄었네 | 환경뉴스
2020.02.28
|덴마크서 21년 측정 80% 줄어…농약, 서식지 파괴, 기후변화 때문“옛날엔 장거리 운전 도중 멈추고 앞유리에 철퍼덕 들러붙은 곤충 사체를 닦아내고 갔지.”이런 기억을 되살리는 사람은 나이 먹은 티를 내는 것이 아니라 곤충 개체수 감소가 부르는 생태계 붕괴를 이야기하는 것일지 모른다.농약과 비료...
-
생물 종 절반은 '기생충', 박멸 아닌 보전 시급 | 환경뉴스
2020.02.27
|개체수 조절 등 생태계 기능 막대, 멸종 이전 ‘글로벌 기생충 프로젝트’ 필요갯강구나 쥐며느리와 함께 등각류에 속하는 갈고리벌레과의 ‘시모토아 엑시구아’(Cymothoa exigua)는 물고기의 혀를 잘라내는 기생충이다. 아가미를 통해 물고기 입으로 들어간 뒤 혀의 혈관을 절단해 혀가 잘려나가면 그 자리...
-
치명적 개구리 감염병 돌자 열대 뱀 멸종 사태 | 환경뉴스
2020.02.26
|파나마 열대림서 구체적 확인…먹이 75% 줄자 종 다양성 3분의 2로동아시아에서 세계로 퍼져나간 항아리곰팡이 감염병이 양서류의 대규모 멸종 사태를 빚자 그 파급효과로 열대지역 뱀의 생물 다양성이 급속히 줄어든 것으로 밝혀졌다. 먹이사슬을 통한 생물 종의 멸종 사태가 구체적으로 밝혀진 것은 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