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살 개 사람 나이론 42살, 강아지 ‘폭풍 성장’ 밝혀져 | 환경뉴스
2019.12.04
|유전자 화학변화 토대 ‘노화 시계’로 환산…7살 넘으면 노년개 나이를 사람 나이로 환산하려면 7을 곱하면 된다고 흔히 알려진다. 2살짜리 개는 사람의 14살, 10살이면 70살에 해당하는 셈이다.그러나 이 공식의 문제는 곧 드러난다. 개는 10달이면 성숙하는데, 사람으로 치면 6살도 안 된 나이다. 14살...
-
미라로 남은 수백만 이집트 따오기는 어디서 왔나 | 환경뉴스
2019.12.03
|유전 다양성 높은 것으로 밝혀져…야생 집단 유인해 일시적 길들였을 가능성고대 이집트인들은 무병과 장수, 또는 애인과의 갈등을 풀어달라고 신전을 찾아 지혜와 마법의 신인 토트에게 기도했다. 아프리카흑따오기는 사람 몸에 기다란 부리가 달린 토트 신의 살아있는 화신이었다. 마치 요즘 성당에서 촛...
-
그물로 쓰이는 모기장, 최빈국 주민의 딱한 사정 | 환경뉴스
2019.12.02
|“가볍고 질기고 공짜”…세계 30개 최빈국서 새끼 고기까지 씨 말려비정부기구 등에서 거의 무료로 모기장을 대량 보급하자 최빈국 주민들은 새로운 ‘자원’을 원래 용도 말고도 농작물 덮개나 결혼식 예복 재료로 재활용하기 시작했다. 가장 인기 있는 새 용도는 그물이었다. 가볍고, 질기고, 공짜...
-
기후변화 막을 최선의 실천은 '채식'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9.11.29
|채식 위주 식사와 음식물쓰레기 줄이기가 가장 효과적기후변화로 인한 파국을 막아내기 위해서 지금 당장 행동에 나서라는 미래세대의 요구는 기성세대에게는 매우 아프다. 내가 저질러놓은 일 때문에 이름도 듣지 못한 먼 나라가 사라진다는 소식도 안타깝지만, 우리는 누렸던 미래와 희망을 돌려달라는 자...
-
미세플라스틱 ‘죽음의 띠’, 어린 물고기 위협 | 환경뉴스
2019.11.26
|띠 모양 수역은 물고기 양육장, 먹이와 함께 주변 120배 플라스틱 모여알에서 깨어난 어린 물고기들이 몰리는 띠 모양의 잔잔한 수역이 연안에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먹이가 많은 이곳엔 미세플라스틱도 주변보다 100배 이상 밀집해 어린 물고기를 위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제미슨 고브 미 ...
-
베트남서 수수께끼 ’쥐 사슴’ 30년 만에 재발견 | 환경뉴스
2019.11.25
|올무로 멸종 추정한 세계 최소 발굽 동물, 보전 조처 시급쥐 크기의 사슴처럼 생겼지만 사슴은 아닌, 세계에서 가장 작은 발굽 동물이 베트남 정글에서 30년 만에 다시 발견됐다. 대량멸종 시대에 잃어버린 종이 돌아와, 보전 조처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자연보전단체인 ‘지구 야생동물 보전’(G...
-
생태 보고 한강 하구엔 '독도'도 있다 | 윤순영의 자연의 벗
2019.11.22
|김포시 걸포동 앞 섬, 일제 때 파괴된 철새들의 낙원김포에서 태어나 한강을 벗삼아 자랐다. 재첩과 물고기를 잡던 기억이 생생하다. 1992년 김포시 북변동 홍도평야에서 재두루미와 인연을 맺으며 환경에 눈을 떴다. 이를 계기로 삶의 방향이 바뀌었다. 27년 전 일이다. 그동안 한강을 관찰하고 새를 촬...
-
되살아나는 합강습지는 세종시의 미래 | 환경뉴스
2019.11.21
|속도와 경제성보다 생태적 결을 살려야세종시는 갓 태어난 도시이다. 신도심은 옛 연기군 땅을 완전히 복토하고 새로 들어앉았다. 성토된 후 과거는 모두 땅에 묻혔고, 사람들은 떠나갔다. 여덟 남매를 낳아 키워 내보냈던 고향 집도 사라졌고, 염 조기 머리에 이고 팔러 나간 엄마를 기다리던 월산...
-
말꼬리 가짜 뿔로 코뿔소 밀렵 막을까 | 환경뉴스
2019.11.20
|외형, 느낌, 속성 놀랍게 비슷…“진품 수요 더 늘려” 비판도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인 코뿔소의 밀렵을 막을 수 있을 만큼 진짜와 속속들이 똑같은 가짜 코뿔소 뿔을 말총으로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말꼬리 털로 진짜 코뿔소 뿔과 구분하기 힘든 가짜 뿔을 값싸고 쉽게 만들어 시장에 내놓는다면, 고가...
-
핵무기 벙커 속 개미떼는 어떻게 살아남았나 | 환경뉴스
2019.11.19
|고립된 벙커 100만 마리 일개미 집단…동료의 주검이 유일한 먹이캄캄하고 추운 데다 먹이가 전혀 없는 콘크리트 방에 100만 마리의 일개미가 고립됐다. 그곳에서 개미들이 여러 해 동안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동료의 사체 덕분이었다.폴란드 서부 독일 국경 가까운 템플레보에는 1960년대부터 소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