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못말리는 ‘생태 덕후들’ 자연과 노는 법 공개합니다”“못말리는 ‘생태 덕후들’ 자연과 노는 법 공개합니다”

    물바람숲 | 2016.05.27

    [짬] 동물행동연구가·생태학자 장이권 교수“한마디로 재미있게 잘 노는 방법 한 가지를 보여주고자 합니다. ‘생태 마니아’들이 일상 속에서 자연생태와 더불어 노는 법이죠.”‘2016 이화 에코크리에이티브 생태문화 축제’라는 제법 길고 독특한 제목의 행사를 기획한 장이권(49·사진·대학원 에코과학...

  • 두껍아, 두껍아, 너희 집 없애지 않을 게두껍아, 두껍아, 너희 집 없애지 않을 게

    김정수 | 2016.05.25

    교과서 나온 '아름다운 타협', 실제론 원흥이 방죽 산란기능 상실새로 발견된 산란지도 도시공원 일몰제로 위태, 구룡산 지키자“비가 오면 원흥이 방죽에서 태어난 아기 두꺼비들이 구룡산 숲으로 가거든요. 구룡산을 지키지 않으면 아기 두꺼비들이 살 수 없게 되잖아요.” 21일 오전 충북 청주시 산남...

  • 45년만에 ‘황새 자연부화’ 기쁨45년만에 ‘황새 자연부화’ 기쁨

    물바람숲 | 2016.05.24

    지난해 자연방사한 2마리지난달 예산 황새공원 인공둥지에 알한달 뒤 새끼 2마리 확인자연으로 돌아간 황새 부부가 새끼를 얻었다. 우리나라 황새 자연부화의 맥이 끊긴 지 45년 만이다.충남 예산군은 지난해 자연 방사한 황새 암컷 ‘민황이’와 수컷 ‘만황이’ 부부의 둥지에서 지난 20~22일 새끼 두 ...

  • 생물 다양성 천국 인제 7047종 넘실생물 다양성 천국 인제 7047종 넘실

    물바람숲 | 2016.05.19

    신종 곤충 페살루스 인젠시스·페살루스 용대리 등6억 투입 생물자원조사 결과5년전보다 852종 늘어한국미기록종 56종도 발견신종 곤충 명칭에지역이름 ‘인제’ ‘용대리’ 등록국립 강원권생물자원관 건립지로 선정된 강원 인제에 신종 2종 등 모두 7047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는 사실이 전국 기초지방자치...

  • 소똥구리가 처음 굴린 건 공룡 똥이었다소똥구리가 처음 굴린 건 공룡 똥이었다 [2]

    조홍섭 | 2016.05.13

    알려진 것보다 3천만년 일찍 등장, 포유류 아닌 공룡과 운명 같이해소행성 충돌 멸종 사태 때 큰 타격, 이후 초식동물과 함께 번창해  소똥구리는 포유류의 배설물을 먹고 번식한다. 코끼리, 영양, 소 등 포유류가 많아지면서 소똥구리도 번창했을 것이다.  공룡시대가 저물고 포유류가 지구를...

  • 미시령 정상 57년간 끊겼던 ‘산양 이동통로’ 연결한다미시령 정상 57년간 끊겼던 ‘산양 이동통로’ 연결한다

    | 2016.05.12

    강원도 “흉물 휴게소 철거”나무 등 옮겨심어 식생 복원주차장 터는 생태광장 조성설악산 미시령 옛길 정상에 흉물로 방치됐던 휴게소가 단절된 백두대간을 연결하는 생태탐방시설로 탈바꿈한다.강원도는 내년부터 미시령 옛길 정상 휴게소와 주차장을 철거하고 도로 개통으로 단절된 백두대간을 연결하는 ‘...

  • 전주동물원의 변신…동물들 ‘살맛나겠네’전주동물원의 변신…동물들 ‘살맛나겠네’

    물바람숲 | 2016.05.09

    개장 38년만에 생태동물원으로콘크리트 걷어내고 공간 2배로동물 특성 고려한 수목도 심어김승수 시장 “동물복지 실현” “동물이 슬픈 동물원에서 행복한 동물원으로.”전북 전주동물원이 문을 연 지 38년 만에 생태동물원으로 변신을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인공시설물 콘크리트를 걷어내고 동물들의 생태 ...

  • ‘265살 대왕’ 왕벚나무 발견

    물바람숲 | 2016.05.04

    산림연, 제주 봉개동 산간지대서높이 15.5m 밑동둘레 449㎝ 달해제주 왕벚나무 자생지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왕벚나무 가운데 가장 크고 나이가 많은 왕벚나무(사진)가 발견됐다.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왕벚나무 자원을 발굴하고 생태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 조사하다 제주시 봉개동 산간지대...

  • 반달곰, 기후변화로부터 산벚나무 구한다반달곰, 기후변화로부터 산벚나무 구한다

    조홍섭 | 2016.04.26

    버찌 먹으며 산 위로 올라 산벚나무 자생지 연 300m 상승 효과온대지방 높은 산에만 적용, 가을 결실 나무엔 역효과 한계도 지구의 기온 상승에 맞서 식물이 살아남는 전략에는 두 가지가 있다. 날씨가 서늘한 고위도 지역으로 삶터를 옮기거나 마찬가지 효과가 있는 높은 곳으로 이주하는 것이다.&nb...

  • 후투티가 더 큰 새끼에 ‘강제급식’하는 이유후투티가 더 큰 새끼에 ‘강제급식’하는 이유 [1]

    조홍섭 | 2016.04.22

    먹이 등 환경조건 좋으면 보채는 새 먼저, 나쁜 상황에선 큰 새끼 먼저생존 가능성 더 중시한 결과…조사 대상 4분의 1에서 나타나 번식기를 맞은 새들은 바쁘다. 짝을 찾고 둥지를 만들어 알을 품기까지도 힘들지만 새끼가 태어나면 고행은 절정에 이른다. 쉬지 않고 보채는 새끼들을 먹여야 하기 때...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