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멸종위기 토종 거북, 남생이 최대 서식지 발견
2019.09.20
|경북 소형 농업용 저수지서 20여 마리 확인…경쟁자인 붉은귀거북이 큰 위협남생이는 자라와 함께 전국 하천과 저수지 어디서나 볼 수 있었던 토종 거북이었다. 그러나 붉은귀거북 등 외래종 유입과 서식지 파괴 등으로 대부분 자취를 감춰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다.국제자연보전연맹(IUCN...
-
거대 공룡에 밟힌 쥐라기 거북은 어떻게 됐을까
2019.09.19
|반쯤 으깨진 채 묻혀…공룡 이동하던 갯벌에 갇혀 밟혀바다거북 한 마리가 넓은 갯벌을 느릿느릿 가로지르고 있었다. 알을 낳기 위해서인지, 조류에 휩쓸려 길을 잃었는지는 모른다. 갯고랑에서 허우적대던 거북은 결국 죽었고 머지않아 펄에 뒤덮였다. 갯벌은 거대한 용각류 공룡 무리가 숲의 장애물을 피...
-
장작·노천소각 미세먼지, 경유차 못잖다
2019.09.18
|미세먼지 심한 겨울철과 봄철 생물성 연소 획기적 관리 절실미세먼지의 농도변화 추세최근 미세먼지 오염상태가 좋아지고 있는지, 나빠지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자주 받는다. 20여년간 전국 대기오염도의 변화 추세를 살펴보면 이산화황과 일산화탄소는 크게 감소하였고, 미세먼지(PM-10)는 그림1과 같이 20...
-
발굴된 매머드는 왜 대부분 수컷일까
2019.09.17
|많이 돌아다니고 잘 죽는 ‘외로운 수컷’ 가설…빙하기 자연 함정 즐비해시베리아의 여름 햇볕이 온종일 내리쬐면 영구동토 표면이 녹아내리고, 급류에 씻긴 강변 충적토에선 종종 멸종한 매머드 사체가 모습을 드러낸다. 신기하게도 이렇게 발견된 매머드 열에 일곱은 수컷이다. 가장 가까운 친척인 아시...
-
도시 까마귀 콜레스테롤 수치 높다
2019.09.16
|패스트푸드 영향…단기 건강상태는 오히려 좋아도시는 야생동물에게 질 낮은 먹을거리가 넘치는 ‘덫’이다. 도시 까마귀가 농촌에 사는 까마귀보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안드레아 타운센드 미국 뉴욕 해밀턴대 생물학자 등 미국 과학자들은 사람이 던져준 먹이나 음씩 찌꺼기가 ...
-
자연의 실패한 실험? 나비 입 지닌 풀잠자리 화석
2019.09.11
|미얀마 호박 화석서 발견…꽃꿀 빨기 위한 적응, 설계 ‘부실’로 멸종1억년 전 침엽수를 누르고 꽃을 피우는 속씨식물이 번성하자 곤충들도 바빠졌다. 꽃이 제공하는 꽃꿀을 빨아먹기 편하게 입 구조를 바꾸는 적응을 서둘렀다.풀잠자리의 조상도 씹는 입 대신 나비처럼 대롱을 매달았다. 그러나 부실한 ...
-
주머니고양이의 극단적 번식…짝짓기 뒤 수컷 모두 죽어
2019.09.10
|쥐처럼 생긴 소형 유대류…처음이자 마지막 짝짓기에 모든 걸 쏟아부어길바닥 여기저기 죽은 매미가 나뒹군다. 여러 해에 걸친 땅속 생활을 마친 매미가 불과 몇 주 동안 벌인 짧고 강렬한 짝짓기 철을 마친 것이다. 매미처럼 평생 한 번 짝짓기하고 삶을 마치는 번식전략은 곤충에서 흔하지만, 포유류...
-
'자연사 수수께끼' 이끼도롱뇽, “기후변화로 위험”
2019.09.06
|유라시아와 북미 연결됐던 증거…온난화로 서식지 40% 사라질 가능성허파가 없어 피부로만 호흡하는 특별한 양서류인 미주도롱뇽은 아메리카 대륙이 본고장이다.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에 미주도롱뇽의 일종인 이끼도롱뇽이 널리 서식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세계적인 관심을 끌었다.자연사의 비밀을 안고 있는 이...
-
지친 작은 철새는 ‘목숨 걸고’ 잔다
2019.09.05
|머리 날개 밑에 파묻고 숙면, 포식자 반응 늦어휘파람새, 개개비, 방울새 같은 작은 철새는 봄·가을 힘겨운 장거리 이동을 한다. 수백 ㎞ 바다를 건너 섬에 내린 새들은 물과 먹이로 배를 채우고 잠에 빠진다.중간 기착지에 내린 철새는 몸의 상태에 따라 잠자는 모습이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밤중에...
-
국화는 어떻게 세계를 ‘정복’했나
2019.09.04
|기후변화 틈타 전 세계로 퍼져…수많은 꽃이 한 송이 이룬 것도 비결고등식물의 95%를 차지하는 꽃을 피우는 식물 가운데 세계적으로 큰 두 ‘가문’이 있다. 종 수가 많기로 국화과와 난초과 식물이 난형난제하다. 국화과에는 2만5000∼3만5000종이 포함돼 있는데, 이는 전체 꽃식물의 약 10%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