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전갈 쏘여도 끄떡없는 사막 쥐, 새 진통제 개발 열까전갈 쏘여도 끄떡없는 사막 쥐, 새 진통제 개발 열까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10.28

    통증 전달 통로 차단하도록 진화, 전갈에 쏘여도 몇 초 문지르면 끝 사막의 드문 먹이 전갈 사냥 위한 선택…뺨 뻣뻣해지지 않는 치과 진통제 나올까     통증은 난로에 닿은 손을 재빨리 떼어내도록 한다. 우리 몸에 손상이 일어난다는 신호이기 때문에 고통을 느끼는 감각은 생존에 필수적이다...

  • 태평양 쏠배감펭 6마리가 북미 대서양 유린태평양 쏠배감펭 6마리가 북미 대서양 유린 | 조홍섭

    조홍섭 | 2013.10.24

    수족관 탈출해 천적 없어 무차별 식욕·눈덩이 번식 지느러미 가시 독침…토종 어류 개체 수 80% 줄어   제주도나 남해 바다에서 다이버들이 즐겨 사진에 담는 물고기로 쏠배감펭이 있다. 온몸이 화려한 줄무늬로 장식돼 있고 고슴도치의 가시처럼 기다랗게 뻗은 지느러미가 부드럽게 물결치는 모습이 눈길을...

  • 동아시아 생물, 미국 유럽 역습 ‘무법자’동아시아 생물, 미국 유럽 역습 ‘무법자’ | 조홍섭

    조홍섭 | 2013.10.23

     가물치는 뱀머리고기, 흰줄숲모기는 아시아호랑이모기 유리알락하늘소 칡도 악명…숲·강 등 토종 생태계 교란 2002년 미국 메릴랜드에선 아시아 원산의 가물치가 번식하고 있음이 드러나 큰 사회문제가 됐다. ‘뱀 머리 고기’라고 불리는 가물치는 최상위 포식자인데다 공기호흡을 하고 육지를 이동...

  • 200일 연속 비행 알프스 칼새 ‘날기 지존’200일 연속 비행 알프스 칼새 ‘날기 지존’ | 조홍섭

    조홍섭 | 2013.10.23

    유럽~아프리카~유럽, 번식 때만 잠시 둥지에먹잇감도 박테리아 곤충 씨앗 등 날면서 해결  며칠에서 몇 달 동안 먹지도 쉬지도 않고 장거리 이동하는 동물이 있다. 알래스카에서 오스트레일리아까지 태평양을 가로질러 논스톱으로 비행하는 큰뒷부리도요나, 극지방 바다에서 충분히 먹이를 먹은 뒤 적도 ...

  • 반년 넘게 연속 비행, 칼새의 비밀반년 넘게 연속 비행, 칼새의 비밀 | 조홍섭

    조홍섭 | 2013.10.22

    유럽 번식기 빼고 아프리카 거쳐 유럽 돌아올 때까지 200일 '논스톱' 비행 공중에서 먹이, 잠 해결…스위스 과학자, '평생 나는 새' 속설 사실로 증명    며칠에서 몇 달 동안 먹지도 쉬지도 않고 장거리 이동하는 동물이 있다. 알래스카에서 오스트레일리아까지 태평양을 가로질러 논스톱으로 비행...

  • 유례없는 진객 ‘흰회색큰기러기’가 홍도평에 왔다유례없는 진객 ‘흰회색큰기러기’가 홍도평에 왔다 [2] | 윤순영의 자연의 벗

    윤순영 | 2013.10.21

    1천여 마리 큰기러기 무리 중 돋보인 기러기 포착백화현상으로 돌연변이, 흰색과 회색 절묘한 조화  유례없는 기러기가 김포 홍도평에 나타났다.지난 9월18일 한강하구 김포평야를 대표하는 홍도평에 큰기러기가 찾아왔다. 수천 년을 이어 내려온 학습으로, 환경이 바뀌어도 어김없이 큰기러기는 약속의 땅을 ...

  • 동고비 106일 집뺏기 사투, 위대한 실패동고비 106일 집뺏기 사투, 위대한 실패 | 김성호의 자연 곁에서 거닐다

    김성호 | 2013.10.15

    딱따구리 낮 비운 새 하루 100번 10km 오가며 진흙 단장밤 되면 집주인이 허물어…신혼 살림하고 알 낳으며 ‘종전’   동고비에 대한 글 약속을 해를 넘겨 이제야 지킵니다. 지난 해, 딱따구리의 둥지를 제 둥지로 삼으려는 동고비 이야기를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관련기사/ 동고비의 ...

  • 자연관찰 기록, 카메라보다 연필자연관찰 기록, 카메라보다 연필 | 조홍섭의 책꽂이

    조홍섭 | 2013.10.14

    자연 연구자는 관찰 결과를 어떻게 왜 기록할까, 12인의 저명 과학자 글 모음 기록은 새로운 생각의 원천, 나중 과학자를 위한 기초자료 구실도     과학자의 관찰 노트-자연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12가지 방법마이클 캔필드 엮음, 김병순 옮김/휴먼사이언스·2만4000원 지난달 덕유산 향적봉 식물탐사 ...

  • 흰뺨검둥오리에 흰뺨이 없다흰뺨검둥오리에 흰뺨이 없다 | 사진

    윤순영 | 2013.10.11

    수수하고 친근한 '우리 오리', 이름만 가지곤 구분 어려워 우리나라서 번식, 가을엔 철새 대거 합류 큰 무리 형성       흰뺨검둥오리는 전국에 걸쳐 서식하는 텃새이다. 하지만 요즘 북쪽에서 번식한 새로운 무리가 겨울을 나기 위해 우리나라를 찾고 있다.    텃새에 ...

  • 러시아 검독수리, 사슴 사냥 첫 확인러시아 검독수리, 사슴 사냥 첫 확인 [2]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10.10

    러시아 우수리서 호랑이 모니터 무인카메라에 찍혀 늑대, 불곰 새끼 등 대형동물 사냥해 유명한 '킬러 맹금류'     러시아 극동의 남부 우수리 지역은 아무르호랑이(시베리아호랑이, 한국호랑이)의 마지막 자연 서식지이다. 이곳에 위치한 라조프스키 자연보호구역에서 국제 연구진은 아무르호랑이에 대...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