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한반도는 빙하기 야생동물의 피난처였다한반도는 빙하기 야생동물의 피난처였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9.25

    너구리, 다람쥐, 참개구리 등 한반도서 춥고 건조한 빙하기 피했다 다시 확산 유전자 분석 이용한 계통생물지리학 연구로 진화 수수께끼 속속 풀려    ■ 미국 도롱뇽이 한반도에 산다 축축한 계곡에 사는 양서류인 도롱뇽이 가장 풍부한 곳은 북아메리카이다. 전 세계 도롱뇽 535종의 70% 가까이는...

  • 2㎜ 곤충이 1m 점프, 비법은 톱니바퀴2㎜ 곤충이 1m 점프, 비법은 톱니바퀴 | 조홍섭

    조홍섭 | 2013.09.24

    '사람만의 고안' 신화 깨져, 알멸구 두 다리 동시 박차기 위한 얼개 볼트와 너트 구조 지닌 바구미도…이제 회전축 지닌 동물도 나올라     단풍나무의 씨앗에는 날개가 달려 있어 빙글빙글 돌면서 서서히, 그리고 바람을 타고 어미 나무에서 먼 곳에 떨어진다. 단풍나무 씨앗의 멋진 활공능력을...

  • 좀비 메뚜기는 왜 풀 꼭대기서 죽나좀비 메뚜기는 왜 풀 꼭대기서 죽나 [1] | 조홍섭의 책꽂이

    조홍섭 | 2013.09.23

    메뚜기 목 151종 망라한 생태도감 처음 나와…잘 아는 것 같지만 잘 모르는 메뚜기 콩중이·팥중이·풀무치 구별법? 도감에 '송장 메뚜기'는 없다     초가을 들판이나 산자락을 걷노라면 메뚜기들이 어지럽게 날아오른다. 메뚜기는 친숙한 곤충이어서 웬만한 이름은 누구나 안다. 논이라면 벼메뚜기,...

  • 고래 귓속 귀지에 고래 삶 기록 있다고래 귓속 귀지에 고래 삶 기록 있다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9.17

    고래가 분비한 호르몬과 환경속 화학물질 시기별로 저장한 '타임 캡슐' 선박 충돌로 사망한 대왕고래 25㎝ 귀지로 연구, 10살 성숙기 스트레스도 최고조       고래의 외이도에도 귀지가 낀다. 태어나서부터 쉬지 않고 지방, 왁스, 케라틴 등으로 이뤄진 귀지가 층층이 쌓인다.  고래는 여름철...

  • 가을 전어 맛의 비결은 '지방'가을 전어 맛의 비결은 '지방' | 조홍섭의 책꽂이

    김규남 | 2013.09.16

    철따라 맛 있는 물고기 따로 있다, 9월 전어는 지방이 평소 3배 어류 생태학자가 탐구한 우리나라 대표 생선 16종에 얽힌 이야기       멸치 머리엔 블랙박스가 있다황선도 지음/부키·1만5000원 “가을 전어 대가리에는 깨가 서 말”이라는 속설의 근거는 무엇일까? 지은이는 전어의 다른 영양분은...

  • 가장 못 생긴 동물, 호주 블로브피시가장 못 생긴 동물, 호주 블로브피시 [1] | 사진

    조홍섭 | 2013.09.13

    영국 '못생긴 동물보호협회'가 선정, 생물다양성 보전 위해 심해서 떠다니며 게 포식, 저인망에 부수어획돼 멸종위기     영국에 ‘못생긴 동물 보호 협회’란 단체가 있다. 우스개가 아니라 진지한 생물다양성 보전 단체이다. 귀엽고 인기 있는 동물뿐 아니라 못생겼지만 중요한 동물에도 보호의 ...

  • '북극해 식어 빙하기? 엉터리 기사의 전말'북극해 식어 빙하기? 엉터리 기사의 전말 | 취재수첩

    조홍섭 | 2013.09.12

    영국 일요판 타블로이드 신문 엉터리 보도, NASA 발표인 것처럼 인용 북극해 얼음 작년 기록적 축소 대비 증가일뿐 평균보다 작아, 장기추세는 그대로     “북극해에 얼음이 60%나 늘었다네요. 언제는 전부 녹는다더니….”  11일 오후 동료 기자가 포털에 인기검색어로 ‘북극해 얼음’이 떴다며...

  • 변비 일으키는 열매, 씨앗 멀리 보내려는 전략변비 일으키는 열매, 씨앗 멀리 보내려는 전략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9.11

    씨앗을 멀리 보내려면 열매에 변비 성분을, 빨리 배설하게 하려면 설사 성분 넣어 반달가슴곰은 씨앗 퍼뜨리는 '숲의 농부', 산양은 헛개나무 '자궁'    ■ 누구를 위한 열매인가   과육이 있는 열매는 야생동물에게 소중한 영양원이다. 그러나 열매를 맺느라 많은 투자를 한 식물로서는 잘 ...

  • 알에서 깨 17일 만에 알 낳는 물고기알에서 깨 17일 만에 알 낳는 물고기 | 조홍섭

    조홍섭 | 2013.09.10

    동아프리카 사바나 일시적 웅덩이 사는 송사리 일종, 2주일까지 성숙 마치고 번식 돌입 사망 위험 큰 곳에 적응해 빨리 자라…우리나라 굴업도, 대청도 사구습지에도 비슷한 생태계      사망 위험이 큰 곳의 동물은 일찍 성숙한다. 남획으로 어장이 붕괴한 북대서양 대구나 우리나라의 조기에서 ...

  • 귀 없는 초소형 개구리 입으로 듣는다귀 없는 초소형 개구리 입으로 듣는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9.09

    인도양 세이셸 가디너 개구리, 입속 공간서 소리 증폭해 뇌로 전달 고막·가운데귀 없어 못 듣는 개구리로 알려져, 옛 초대륙 곤드와나 청각 기관 유산   인도양 한가운데 섬들이 모여 있는 세이셸 제도에는 다 자라도 크기가 1㎝가량인 초소형 개구리가 산다. ‘가디너 개구리’라는 이름의...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