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대강 이어 DMZ까지 눈물 흘릴 수는 없다 [15] | 윤순영의 자연의 벗
2013.08.22
|박 대통령 세계평화공원 공식 제안 이후 인접 지자체들 개발논의 봇물 비무장지대 가치 알고 보전전략 짤 남북공동 생태환경조사가 먼저 이뤄져야 민족분단의 상징인 비무장지대(DMZ)는 길이가 동·서로 248㎞, 폭은 군사분계선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각각 2㎞인 한반도를 허리띠처럼...
-
2200명 사망 9900억 배상, 석면기업 ‘에터니티’의 교훈 [1] | 최예용
2013.08.21
|이탈리아 “세기의 소송” 에서 최고 경영자에 징역 16년 선고 86년 가동중단 지난해 판결…잘못된 결정 사회적 책임 못 피해 ■ '석면 마피아' 처벌받다 2012년 2월13일, <비비시> 방송은 “이탈리아에서 열린 석면 관련 사망사건 소송에서 세계적인 기업인 두 명에게 유죄가 선고됐다”는 내용...
-
청어 먹던 돔발상어, 뱀상어가 다시 꿀떡 | 사진
2013.08.20
|미 델라웨어대 연구진, 미끼 먹던 작은 상어 통째로 삼키는 뱀상어 촬영 곱배기 먹은 상어는 위성추적 장치 부착 뒤 방류 먹이사슬을 표현하기 위해 작은 물고기를 차례로 큰 물고기가 삼키는 그림은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그런 모습이 관찰됐다. 미국 델라웨어 대 해양 ...
-
허드렛일 속에서 영근 수의사 꿈 [1] | 야생동물 구조 24시
2013.08.19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의 인턴생활 기록 ② 밤낮 없는 새끼 돌보기, '비둘기 아빠' 별명 얻어 짬짬이 해부학 공부 재미 쏠쏠…영어 배울 이유 분명해져 센터가 바빠지는 가장 큰 이유가 새끼동물 관리 때문이다. 새끼동물들은 스스로 먹이를 먹기 전까지는 직접 먹이를 줘야 하고 매시간마다 ...
-
100년 동안 박물관 보관 표본, 신종 육식동물로 밝혀져 [2] | 환경뉴스
2013.08.16
|미 스미스소니언 연구자, 에콰도르서 식육목 신종 포유류 확인 박물관 보관 오링고 표본에 섞여 있어…"운무림 고유종 지킴이 구실 기대" 남아메리카 북서부 안데스산맥 고산지대에는 운무림이 펼쳐져 있다. 열대지역이지만 해발고도가 높은 곳에 구름이 안개처럼 숲을 감싸는 이곳에는 독특...
-
허물벗는 매미, 4시간 순간 포착 [3] | 사진
2013.08.14
|저녁 8시 나무 올라, 몸 부풀다 등 갈라져…자정께 날개 말라 땅속 4년 기다리다 터널 뚫고 표면 근처에서 디데이 기다려 “맴맴맴 미~” 참매미는 우리나라에 개체수가 가장 많고 울음소리도 친근한 매미이다. 요즘엔 너무 많고 한밤중이나...
-
1초에 400번 징 울리는 ‘지독한 세레나데’ [1] | 환경뉴스
2013.08.14
|진동막에 난 '갈빗대' 변형시켜 진동파 생성, 뱃속서 20배 증폭 낮에 시끄런 말매미, 시도 때도 없이 우는 참매미…매미 따라 말벌 늘었을 수도 만일 세계 최고 성능의 오디오를 만들고 싶다면 매미로부터 배워야 한다. 몸 길이 5㎝가 채 안 되는 말매미 한 마리가 지하철이...
-
풀려난 제돌이를 친구들은 어떻게 알아봤을까 | 조홍섭
2013.08.13
|큰돌고래 개체마다 독특한 휘파람 신호음…이름처럼 부르면 대답해 기억 기간은 최소 20년, 제돌이 등 3~4년 헤어져 동료 기억은 너끈 지난 7월18일 공연용으로 불법포획된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와 춘삼이가 고향인 제주 바다로 돌아갔다. 앞서 가두리에서 야생 적응 훈련을 받던 삼팔이도 탈출했다...
-
4대강 녹조는 '보' 탓 아니다? WHO 보고서 읽으시죠! [11] | 환경뉴스
2013.08.13
|WHO 1999년 안내서 "물흐름 정체가 남조류 발생 좌우" 명시 보수언론·4대강 찬동 학자, 명백한 과학적 사실 두고 논쟁 부채질 4대강 녹조 사태와 4대강 사업 사이의 인과관계가 불확실하다는 4대강 사업 찬동 학자들과 일부 언론의 주장과 달리, 세계보건기구(WHO)가 이미 10여년 전에 물 흐...
-
' 꿩 같은 도요' 물꿩 우포늪에서 집단 번식 | 사진
2013.08.12
|국립습지센터, 우포늪서 8마리 번식 활동 확인 화사한 깃털과 기다란 꼬리의 아열대 새…20년 전 처음 목격 물 위에 장끼가 앉아있네? 우리나라에서 20년 전 처음 발견된 물꿩을 잘못 보면 이렇게 착각하기 쉽다. 몸집이 꿩만큼 큰데다 목 뒤의 노란 깃털과 흰 깃털, 검은 깃털이 잘 어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