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나방 노리는 여름밤의 스텔스 전투기, 소쩍새나방 노리는 여름밤의 스텔스 전투기, 소쩍새 [1] | 야생동물 구조 24시

    김영준 | 2013.07.26

    여름엔 소쩍새 겨울엔 큰소쩍새, 비슷하지만 많이 다른 새 소쩍새는 노란 홍채, 큰소쩍새는 발에도 깃털로 구분 이번에는 소쩍새와 큰소쩍새에 대한 소개입니다. 소쩍새와 큰소쩍새는 올빼미과에 속하는 맹금류입니다. 이러한 야행성 소형 맹금류들은 특히 청각이 발달하고, 비행시 발생하는 날개소음을 줄여 스...

  • 돌아온 '녹조 라떼', 낙동강 식수원 위협돌아온 '녹조 라떼', 낙동강 식수원 위협 [7] | 사진

    정수근 | 2013.07.25

    4대강 공사로 물 정체 원인, 지난해 이어 상류로 확산 6월초 발생, 7월 중순 낙동강 중류 대발생, "수문 열어야"   지난해에 이어 낙동강에서 녹조가 대발생했다. 그리고 점점 상류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에 비해 두 달이나 이른, 지난 6월 초 벌써 낙동강 중류 달성군 박석진교 부근서 처음 관찰된...

  • 크릴·이빨고기 남획에 원시바다 먹이사슬 흔들리나크릴·이빨고기 남획에 원시바다 먹이사슬 흔들리나 | 환경뉴스

    김정수 | 2013.07.24

    미국·뉴질랜드, 한반도 면적 10배 남극 로스해 보호구역 설정 추진 열대 갈라파고스보다 풍부한 생물다양성, 러시아 반대로 무산     푸른빛 감도는 거대한 빙산 끝자락에서 종종걸음치는 펭귄들, 바닷가 얼음판 끝에 무리지어 있는 바다표범들, 먹잇감을 공격할 틈을 노리며 이들 주변을 떠도는 범...

  • 설악산 어머니의 깊은 신음이 들리는가설악산 어머니의 깊은 신음이 들리는가 | 박그림의 설악산 통신

    박그림 | 2013.07.23

    박그림의 설악가 ① 나는 저항한다 우리의 탐욕과 무관심이 설악산을 죽이고 있다 아이들이 어른 되어 대청봉에서 외경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비구름 속에 묻힌 설악산은 내 가슴 속에 우뚝한 모습으로 남아 언제나 나를 당신의 품속으로 이끌고, 눈을 감으면 발길이 닿았던 곳마다 생명의 ...

  • 최고 둘레 150㎝, 300살 진달래 군락 발견최고 둘레 150㎝, 300살 진달래 군락 발견 | 환경뉴스

    신동명 | 2013.07.22

    재약산 사자봉에서 밑둥 둘레 150㎝, 수령 300년 추정 진달래 20여 그루 "이른봄 우리나라 대표 꽃나무, 천연기념물 지정할 만"     경남 밀양시 산내면의 재약산 사자봉 고지에서 국내 최대 크기로 추정되는 진달래 군락이 발견됐다.  정우규 ㈔한국습지환경보존연합 대표는 최근 울산·경남지역 생태...

  • 녹색세상, 힘들지만 가볼 만한 길녹색세상, 힘들지만 가볼 만한 길 | 조홍섭의 책꽂이

    조홍섭 | 2013.07.22

    녹색가치 절실한 한국에서 왜 녹색정치는 꽃피우지 못하나 분석 외국 녹색당의 성공과 실패 사례, 녹색대안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고민 담아   녹색당과 녹색정치구도완 외 지음/ 아르케·2만9000원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재앙은 유럽 녹색당에 햇살과 같았다. 그해 9월 독일 녹색당은 베를린...

  • '타르박 잡아 왔다', 몽골 검독수리의 자랑스런 귀가"타르박 잡아 왔다", 몽골 검독수리의 자랑스런 귀가 [1] | 사진

    김진수 | 2013.07.19

    절벽끝 둥지 저만치서 3일의 기다림… 먹이사냥 간 어미, 마침내 날아들다     깎아지른 듯한 절벽에 매달린 둥지에서 30여m 떨어진 위장막에 숨어 지켜보기를 사흘째인 16일 오후. 어린 새끼가 있는 둥지를 빙빙 돌며 경계하던 검독수리(멸종위기 야생동식물 1급, 천연기념물 제243호)가 한 발에 타...

  • 제주서 보는 화려한 ‘독 물고기’ 쏠배감펭, 북미 바다 점령제주서 보는 화려한 ‘독 물고기’ 쏠배감펭, 북미 바다 점령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7.19

    1992년 허리케인 때 수족관 부서져 탈출한 6마리, 미 동부해안과 카리브해로 퍼져 포식자·경쟁자·질병 없어 토종어류 80%까지 감소, 잡아 없애는 길밖에 없어 `먹기 캠페인'     제주도나 남해 바다에서 다이버들이 즐겨 사진에 담는 물고기로 쏠배감펭이 있다. 온몸이 화려한 줄무늬로 장식돼 있고...

  • 양치식물 진화사 새로 쓴 곶자왈의 ’보석’양치식물 진화사 새로 쓴 곶자왈의 ’보석’ [1] | 제주의 난대 희귀식물

    현화자 | 2013.07.18

    제주의 난대 희귀식불 ① 제주고사리삼 2001년 국제학계 발표한 새로운 속 양치식물…속 명칭은 고 박만규 박사 이름 따 선흘 곶자왈이 자생지는 대부분 사유지, 무분별 채취와 그늘 제거 등 훼손 위협     제주고사리삼은 2001년 국제학술지 <택손>에 신속 신종으로 기재된 양치식물이다...

  • '최고 위험 동물' 모기, 왜 내 피만 좋아할까'최고 위험 동물' 모기, 왜 내 피만 좋아할까 [2]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7.17

    말라리아 원충 감염 모기 냄새 감각 3배 강화, 기생충 번식기엔 모기도 겂없이 흡혈 모기 몰리는 사람은 피부 세균 탓…이중 펌프로 단시간 최고 성능 피빨기     귓전을 맴도는 ‘앵~’ 소리가 어렵게 든 잠을 빼앗는다. 모기는 왜 날갯소리를 내 위험을 자초할까. 또 옆에 누운 사...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