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고도 1만m는 미생물 세상고도 1만m는 미생물 세상 [3] | 조홍섭

    조홍섭 | 2013.07.02

    열대폭풍 타고 올라온 세균 314종, 공기 1㎥에 15만마리 살아 대류권 상층에서 강수 등 기후 영향, 전염병 장기 이동 가능성도      국제선 여객기를 타고 장시간 비행하면서 창밖을 물끄러미 내다보노라면 엉뚱한 상상이 들기도 한다. 끝없이 펼쳐진 구름 사이로 새가 날아다닌다면...

  • 한반도는 빙하기 너구리의 세계적 피난처였다한반도는 빙하기 너구리의 세계적 피난처였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7.01

    2만년 전 빙하기 절정일 때 한반도에 작은 집단 살아남아 이후 유라시아 확산 한반도와 일본 연결됐지만 너구리 이동은 없어…소련 방사로 유럽은 `외래종 너구리' 골치     신생대 홍적세의 마지막 빙하기가 맹위를 떨치던 2만~1만 8000년 전, 북아메리카와 북유럽, 러시아 등 북반구 육지의 30...

  • 인구 150만 대도시서 신종 조류 발견인구 150만 대도시서 신종 조류 발견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6.28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저습지 덤불서…농지와 도시 확장으로 서식지 감소 위험 대도시서 신종 발견은 놀라운 일, 인도지나서 신종 조류 발견 잇따라       인구가 밀집한 한 나라의 수도에서 신종을 발견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게다가 애호가가 많은 새는 말할 것도 없다.  캄보디아의 ...

  • 4대강 곡선 복원, 둠벙부터 살리자4대강 곡선 복원, 둠벙부터 살리자 [2] |

    | 2013.06.27

    하천 공원화 이제 그만…인공 제거해 원형 되찾아야 자연에는 직선 없다, 두려움과 겸손함으로 접근해야     언덕 밑으로 개울이 흐르고, 그 개울 옆 늘 물이 고여 있는 둠벙이 있다. 둠벙 주변으로 부들과 창포가 어울리고 개구리밥이나 부레옥잠 같은 수초 사이로 올챙이와 작은 송사리가 가득...

  • 꿀벌 킬러 외래종 등검은말벌 한반도 상륙, 확산 비상꿀벌 킬러 외래종 등검은말벌 한반도 상륙, 확산 비상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6.26

    2000년께 부산 영도에서 화물과 함께 유입, 연간 10~20㎞ 북상 중 꿀벌이 주식, 도심에도 잘 적응해 사람에게도 피해…아열대산이지만 기후변화로 급속 확산     꿀과 꽃가루를 잔뜩 딴 꿀벌이 의기양양하게 돌아와 벌통에 내려앉는 순간 낯선 검은 말벌이 덤벼든다. 강력한 침을 맞고 즉사한 꿀벌...

  • 걸레질 봉사 손길의 '기적', 기름유출 태안 앞바다 거의 회복걸레질 봉사 손길의 '기적', 기름유출 태안 앞바다 거의 회복 | 환경뉴스

    김정수 | 2013.06.26

    검은 재앙 흔적은 눈씻고 찾아야…오염 걷어내다 생긴 상처에도 새살 돋았다.기름 유출 사고 5년, 신속한 초기 오염 제거로 자연 복원력 힘받아…모니터링은 2019까지       2007년 겨울 허베이스피리트호 원유 유출 사고는 아름다운 해안 경관을 자랑하는 국내 유일의 해안국립공...

  • 자연 끌어들인 한옥, 구석구석 배인 과학자연 끌어들인 한옥, 구석구석 배인 과학 [1] | 신준환 박사의 나무 이야기

    신준환 | 2013.06.25

    나무 없는 마당의 상승기류가 대청 통해 시원한 바람 끌어들여 나무 통해 보존과 개발 융합 가능, 이용할 숲과 보존할 숲 잘 가려야       나무는 우리가 흔히 접하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여길 수 있지만, 우리를 놀랍고도 아름다운 세계로 연결시켜 준다. 특히 나무는 경제와 환경을 같...

  • 하루살이가 하루만 산다고?하루살이가 하루만 산다고? | 조홍섭의 책꽂이

    조홍섭 | 2013.06.24

    하루살이·강도래·날도래 알아두면 피서철 아이들 앞에서 '으쓱' 담수 무척추동물 관한 '친절한' 도감 나와     하천생태계와 담수무척추동물김명철·천승필·이존국 지음/지오북·4만5000원 아이들과 계곡이나 공원 연못에 갔을 때 ‘존경’ 받는 요령이 있다. 누구나 아는 물고기나 개구리를 들먹이지 말고 ...

  • 물까치의 지극 모정, 먹이 주고 똥 받아먹고물까치의 지극 모정, 먹이 주고 똥 받아먹고 [1] | 사진

    윤순영 | 2013.06.21

    물까치 부부의 새끼 기르기 정성…먹이 토해 골고루 나눠줘 인가 근처 둥지 트는 텃새, 집단 번식으로 천적 방어 지난 5월25일 김포시 풍무동 야산의 참나무 숲에서 알을 품고 있는 물까치 둥지를 발견하였다.     1주일 뒤인 6월1일 그 곳을 다시 가보니 둥지 위로 빨간 머리와 노란주둥이를 ...

  • 빨판상어의 빨판은 어디서 왔을까…재활용빨판상어의 빨판은 어디서 왔을까…재활용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3.06.20

    새끼 발달 과정에서 등지느러미가 변형돼 형성 밝혀져 미 스미스소니언 동물학자 논문, 자연의 재활용 능력 보여줘     동아프리카의 일부 원주민은 살아있는 물고기로 거북을 잡는다. 산호초에서 배를 타고 돌아다니다 거북을 보면 꼬리에 줄을 묶은 이 물고기를 거북을 향해 던진다. 물고기는 재...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