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차 하루 쉬면 휴대폰 충전 대기전력 11년치

조홍섭 2008. 10. 23
조회수 16310 추천수 0

 

5792_untitled-1_copy_3.jpg"컴퓨터 끄고 플러그도 뽑아야지. 왜 쓰지 않는 휴대폰 충전기는 전원에서 빼놓지 않지?"

 

요즘 부쩍 기후변화를 걱정하는 엄마가 외출에 앞서 아이에게 잔소리를 늘어놓는다. 더운 물로 목욕하고 경기도 일산 집에서 차를 몰고 서울 마포의 외가댁에 가려는 참이다.

 

작은 에너지라도 절약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려는 이 엄마의 환경의식엔 나무랄 것이 없다. 티끌 모아 태산이라지 않던가. 하지만 자잘하게 줄이면서 큰 걸 놓친다면 모처럼의 노력도 헛수고가 될 수 있다.

 

 

 

물 받아 목욕하는 대신 샤워하면 에너지 소비 1/5

 

준중형차를 타고 50㎞를 운전하면 약 40㎾h(킬로와트시)의 에너지가 들어간다. 충전이 끝난 뒤 전원과 연결한 채 방치한 휴대폰 충전기가 하루에 소비하는 에너지는 0.01㎾h이다. 휴대폰 충전기가 하루 종일 쓴 대기전력은 승용차가 1초 동안 운전한 에너지와 같다는 계산이 나온다. 하루만 차를 운전하지 않으면 약 11년간 충전기를 방치한 에너지를 절약하는 셈이다.

 

쓰지 않는 충전기를 전원에서 빼놓을 필요가 없다는 얘기는 아니다. 우리가 대기전력으로 날려버리는 전력은 전체의 8%에 이른다. 특히 컴퓨터의 구형 모니터, 레이저프린터, 앰프가 달린 음향기기 등의 대기전력은 휴대폰 충전기보다 수십~수백배 많다.

 

더운 물 목욕도 에너지를 많이 잡아먹는다. 욕조에 50도의 더운 물을 110ℓ 받아 목욕을 한다면 드는 에너지는 5㎾h이다. 물 25ℓ를 쓰는 샤워로 대체한다면 에너지 소비는 5분의 1로 준다.

 

보잉747-400 제트여객기는 24만ℓ의 연료와 416명의 승객을 태우고 1만4200㎞를 날 수 있다. 에너지 소비도 자동차에 비할 수 없이 많다.

 

순전히 운전자가 이동하는데 쓰이는 에너지는 연료의 단 1%

 

1만㎞를 날아 미국 로스앤젤레스나 유럽에 갔다 온다면 한 사람이 소비하는 에너지는 하루에 23㎾h꼴이다. 1년에 한 번 장거리 해외여행을 하는 데는 1㎾급 전기난로를 1년 내내 켜놓는 것과 마찬가지 에너지가 든다. 그러나 이것도 1년 동안 매일 경기도 일산과 서울 마포를 출퇴근하는 것보다는 작은 양이다.

 

석유를 가장 비효율적으로 쓰는 방법의 하나가 자동차를 모는 것이다. 연료의 20%만이 바퀴를 굴리는 데 쓰이고 나머지는 열과 배기가스를 만드느라 허비된다. 또 차체는 나홀로 운전자보다 보통 20배 이상 무겁다. 순전히 운전자가 이동하는데 쓰이는 에너지는 연료의 단 1%에 지나지 않는다.

 

지구온난화가 걱정스럽다면 가장 확실한 실천 가운데 하나는 자동차 운전을 줄이거나 자전거 또는 걷기로 바꾸는 것이다.

 

조홍섭 한겨레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이 글에 쓰인 계산은 데이비드 맥케이 영국 켐브리지대 물리학과 교수가 온라인에서 제작중인 책 '지속가능한 에너지-허풍 없는'에서 인용했다. 이 책은 인터넷(http://www.withouthotair.com/)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태그 :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시베리아서 낙동강까지, 열목어 대이동의 비밀시베리아서 낙동강까지, 열목어 대이동의 비밀

    조홍섭 | 2017. 04. 10

    빙하기 시베리아서 남하, 아무르강 거쳐 2만년 전 한반도로최남단 서식지 낙동강 상류에 고유 집단 잔존 가능성 커북극해서 놀던 ‘시베리아 연어’한강과 낙동강 최상류 찬 개울에는 커다란 육식성 민물고기가 산다. 한여름에도 손이 저릴 만큼 차...

  • 브렉시트, 기후변화 대응에 불똥 튀나?브렉시트, 기후변화 대응에 불똥 튀나?

    조홍섭 | 2016. 07. 01

    파리협정 이행 갈길 먼데, '기후 리더' 영국 빠진 유럽연합 동력 상실 우려기록적 가뭄→시리아 난민사태→브렉시트→기후대응 약화 악순환되나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가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갖는지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공통적인 견...

  • 화학물질 참사 막으려면, 틀린 경보가 묵살보다 낫다화학물질 참사 막으려면, 틀린 경보가 묵살보다 낫다

    조홍섭 | 2016. 06. 03

    `가정 독물'인 살생물질 관리에 특별한 대책 필요…디디티 교훈 잊지 말아야과학적 불확실성 있어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 예상되면 조기경보 들어야  아침에 쓴 샴프나 손에 든 휴대전화, 금세 썩지 않는 나무의자에는 모두 화학물질이 들어있다....

  • 차로 치고 새끼 유괴하고…고라니의 잔인한 봄차로 치고 새끼 유괴하고…고라니의 잔인한 봄

    조홍섭 | 2016. 05. 06

    IUCN 취약종 지정, 체계적 조사 없이 우리는 매년 15만마리 죽여세계서 중국과 한국이 자생지, 중국은 멸종위기에 복원 움직임  야생동물을 맞히는 퀴즈. 수컷의 입에는 기다란 송곳니가 삐져나와 “흡혈귀 사슴”이란 별명이 붙어 있다. 가장 원...

  • 똑똑한 식물…때맞춰 꽃피우고 기억하고 속이고똑똑한 식물…때맞춰 꽃피우고 기억하고 속이고

    조홍섭 | 2016. 04. 08

    중추신경계 없지만 잎, 줄기, 뿌리가 네트워크로 연결돼 고등기능 수행 미모사는 30일 뒤까지 기억…공동체 이뤄 햇빛 못 받는 나무에 양분 나누기도     봄은 밀려드는 꽃 물결과 함께 온다. 기후변화로 개나리 물결이 지나기도 전에 벚꽃이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