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독 가시도 모자랐나, 잭나이프 무장 물고기독 가시도 모자랐나, 잭나이프 무장 물고기 | 환경뉴스

    조홍섭 | 2018.04.24

    쏨뱅이류에서 발견, 뺨에 숨겨두었다 유사시 펼쳐어른도 죽일 독가시에 추가, 동남아선 식용으로 인기포식자가 들끓는 바다에서 살아남는 길은 최고의 방어수단을 확보하는 것이다. 오랜 진화과정에서 바닷물고기들은 기발한 방어 무기를 잇달아 발명했다. 위장술과 날카로운 가시, 그리고 독물 주입은 흔히 ...

  • 자기 배 터뜨리고 죽는 ‘자폭 개미’가 있다자기 배 터뜨리고 죽는 ‘자폭 개미’가 있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8.04.23

    일개미는 배 수축한 뒤 독물 뿜어 적 물리치고병정개미는 마개 모양 머리로 바리케이드 친다동남아 보르네오의 열대림에는 높이가 60m에 이르는 큰 나무가 서로 이어져 수관 생태계를 이룬다. 나뭇잎으로 이뤄진 이 공중 생태계의 지배자는 개미이다. ‘폭발 개미’로 알려진 이 개미는 적갈색의 작고 평...

  • 돈 받고 지식 파는 ’청부과학자’를 믿을 것인가돈 받고 지식 파는 ’청부과학자’를 믿을 것인가 [1] | 환경상식 톺아보기

    이동수 | 2018.04.20

    불확실성 이유로 유해화학물질 '사전예방' 가로막아잘 모를수록 미리 조심하는 것이 피해 막는 근본 해법로마제국의 멸망이 왕이나 귀족이 납으로 만든 수도관이나 술잔을 사용하면서 납중독으로 미치게 됐기 때문이라는 주장부터 시작해서&...

  • ‘작은 거인’ 새우 떼가 바다 뒤섞어 생태계 살려‘작은 거인’ 새우 떼가 바다 뒤섞어 생태계 살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8.04.20

    깊은 바다 양분 끌어올려, 바람·조류와 함께 바다생태계 유지밤에 표면 상승 때 강력한 하방 제트류와 주변 소용돌이 생겨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대양은 사막과 같다. 유기물이 모두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영양 부족 상태에 빠진다. 그런데도 대양에 식물플랑크톤부터 물고기와 포식자에 이르는 먹이사슬이...

  • ‘초록 머리칼’ 거북은 생식기로 숨 쉰다‘초록 머리칼’ 거북은 생식기로 숨 쉰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8.04.18

    총배설강에 아가미 기능, 3일까지 잠수호주 마리강 서식, 지구 136마리 생존오스트레일리아 동북부 퀸즐랜드 마리 강의 여울에는 특별한 거북이 산다. 길이 32∼42㎝의 제법 큰 이 민물 거북은 강변에 둥지를 틀고 급류가 흐르는 강에서 주로 사냥하며 살아간다. ‘마리강거북’(학명 엘루소르 마크루루스)이...

  • 봄꽃 속에 달아오른 원앙의 짝짓기 열기봄꽃 속에 달아오른 원앙의 짝짓기 열기 [1] | 사진

    윤순영 | 2018.04.17

    화려한 쪽이 이긴다, 필사적인 깃털 다듬기 전쟁짝 지키랴, 한눈 팔랴…절정의 순간은 물에 잠겨 해마다 경기도 김포 장릉 연못에서는 봄·가을 이동 중에 머무는 원앙을 볼 수 있다. 이제는 원앙이 이동하다 중간에 잠시&n...

  • 북극서 빙하 밑 소금호수 발견, 외계 생명 찾기 단서북극서 빙하 밑 소금호수 발견, 외계 생명 찾기 단서 | 환경뉴스

    조홍섭 | 2018.04.13

    얼음 밑 740m, 바닷물 5배 짠 물, 천지 크기12만년 고립돼 독특한 미생물 진화했을 듯빙하가 수백∼수천m 두께로 덮인 차고 캄캄한 얼음 밑에도 호수가 있다. 남극에선 빙상 밑에서 보스토크호를 비롯해 400여개의 얼음 밑 호수가 발견됐고(▶남극 얼음 밑 4천m 호수서 다양한 생물 확인) 그린란드에서도 ...

  • 플라스틱 먹고 죽은 고래…뱃속에 쓰레기 29㎏ 있었다플라스틱 먹고 죽은 고래…뱃속에 쓰레기 29㎏ 있었다 | 환경뉴스

    조홍섭 | 2018.04.13

    스페인서 2월 발견 부검 결과 “플라스틱이 사인”비닐봉지, 로프, 그물이 장관 막아 복막염 유발“죽은 고래의 경고를 들으세요.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에 무슨 일을 일으키는지 가까이 와서 보세요.”필리핀 환경단체인 그린피스 필리핀은 세계 고래의 날인 2월18일 마닐라만 해변에 플라스틱 폐기물로 만...

  • 물 싫은 삵이 갯골을 뛰어넘는 법물 싫은 삵이 갯골을 뛰어넘는 법 [3] | 사진

    윤순영 | 2018.04.10

    천수만 삵, 무슨 일인지 갯골 건너 대낮 이동폭이 좁은 곳을 신중히 골라 ‘훌쩍’ 그러나… 지난해 천수만에서 우연히 삵을 만났다. 야행성이지만 낮에 나름대로 급히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

  • 급류에서 개구리가 살아남는 법, 빨판과 초음파급류에서 개구리가 살아남는 법, 빨판과 초음파 | 환경뉴스

    조홍섭 | 2018.04.10

    급류에 휩쓸리지 않으려 올챙이 배에 빨판 진화보르네오 급류 개구리는 소음 이기려 초음파로 울어공룡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개구리는 현재 4800여 종이 다양한 환경에 적응해 살아간다. 오랜 진화의 역사를 간직한 만큼 생존을 위한 기기묘묘한 전략을 구사하는 종도 많다. 특히 개구리 종 다양성...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