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부거미 수컷은 왜 ‘죽음의 교미’를 선택할까

조홍섭 2018. 03. 23
조회수 22845 추천수 1
잡아먹지 않는 젊은 암컷보다 잡아먹는 성숙한 암컷 선호
나이든 암컷이 번식위해 다량의 페로몬으로 유혹 가능성 

b1.jpg » 갈색과부거미 암컷(사진)은 짝짓기 도중 종종 수컷을 잡아먹는다. 그러나 수컷은 나이 든 암컷을 선호하는 불합리해 보이는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튜 필드,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짝짓기에 나선 거미 수컷은 교미한 경험이 없는 암컷을 선호한다. 다른 수컷과의 정자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다. 많은 거미 수컷은 짝짓기 뒤 자신의 교미기 끄트머리를 잘라 암컷의 생식기를 막는다. 무엇보다 젊은 암컷은 짝짓기를 하면서 수컷을 잘 잡아먹지 않는다. 수컷은 또 다른 암컷에 정자를 퍼뜨릴 수 있다.

그런데 갈색과부거미는 색다른 짝짓기 행동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거미 수컷은 생식 능력도 우수하고 잡아먹힐 우려도 없는 젊은 암컷을 마다하고 성숙한 암컷과 짝짓기를 한 뒤 먹히는 길을 택한다. 성숙한 암컷 가운데서는 나이 든 쪽을 고른다. 나이가 들수록 생식 능력은 당연히 떨어진다. 이 거미 수컷은 왜 이런 납득하기 힘든 선택을 하는 걸까.

b2.jpg » 짝짓기를 마친 뒤 낳은 알집을 보호하는 갈색과부거미 암컷. 칼 아말리,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이스라엘 연구자들이 갈색과부거미를 온실에서 기르면서 연구한 결과가 과학저널 ‘동물 행동’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자들은 먼저 성숙한 암컷에게 잡아먹히더라도 수컷이 선택할 특별한 이득이 있는지 살폈다. 암컷 생식기를 틀어막을 확률이 높아지는지 또 짝짓기 시간을 늘려 정자로 수정시키는 알이 늘어나는지를 보았지만 별 이득이 없었다.

성숙한 암컷은 짝짓기를 위한 의식도 길고 복잡하다. 젊은 암컷에겐 거의 필요 없는 짝짓기 의식을 몇 시간 동안 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실험에서 젊은 암컷과 짝짓기에서 죽은 수컷은 하나도 없었지만 성숙한 암컷을 만났을 때는 57%나 잡아먹혔다. 사실 이 문제는 심각해서, 대부분의 거미 수컷은 짝짓기 때 암컷의 밥이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젊은 암컷을 고르거나, 기온이 낮아 암컷의 동작이 굼뜰 때를 노리고, 또는 먹이를 먹고 있는 암컷에 접근하기도 한다.

연구자들은 수컷을 포식하는 성숙한 암컷이 젊은 암컷보다 다산성이지도 않다고 밝혔다. 젊은 암컷과 짝짓기했을 때 다른 수컷의 정자와 경쟁이 붙는 등 불리해지는지를 조사했지만 그렇지도 않았다.

연구자들은 “수컷 갈색과부거미는 높은 에너지 소비와 낮은 생식 성공률, 그리고 무엇보다 훨씬 높은 잡아먹힐 확률에도 젊은 암컷보다 성숙한 암컷을 선호하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이런 수컷의 행동은 수수께끼”라고 논문에 적었다.

b3.jpg » 수컷 갈색과부거미의 불합리해 보이는 행동의 배경에는 나이 든 암컷의 절박한 번식 본능이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매튜 필드,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이런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이 진화한 이유는 뭘까. 연구자들은 앞으로 연구해 볼 만한 가설로 나이 든 암컷 거미일수록 더 많은 양의 페로몬(성호르몬)을 분비해 수컷을 유인할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거미 암컷은 둥지에서 화학물질을 공기 중으로 풍긴다. 수컷은 먼 거리를 쏘다니며 이 신호를 감지하고 암컷에 접근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암컷이 나이에 따라 다른 성분과 양의 페로몬을 방출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구자들은 “거미의 밀도가 낮아 수컷을 만날 확률이 낮고 산란기일이 촉박해 자칫 수정되지 않은 알을 낳을 가능성이 있는 나이 든 암컷은 생식에 다급하게 몰린다”고 설명했다. 

갈색과부거미는 건조한 열대·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인가 근처에도 많이 산다. 독거미이기는 하지만 독성이 악명 높은 검은과부거미에는 독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Shevy Waner et al, Male mate choice in a sexually cannibalistic widow spider, Animal Behaviour, https://doi.org/10.1016/j.anbehav.2018.01.016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