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같은 ‘음매’ 아냐, 젖소도 ‘제 목소리’ 있다

조홍섭 2020. 01. 30
조회수 16636 추천수 1
다양한 감정 상태에도 일관된 특성 간직, 무리 속 소통 수단인 듯

c1.jpg » 젖소는 사회적 동물이며 저마다의 개성 있는 목소리로 소통한다는 사실이 분명해졌다. 게티이미지뱅크

갓 태어난 발굽 동물 새끼는 포식자를 피하고 어미의 젖을 빨기 위해 두 가지 전략을 편다. 고라니 새끼는 드러나지 않은 곳에 쥐죽은 듯이 숨어있다가 어미가 신호를 보내면 뛰어나가 젖을 빠는 숨기 전략을 쓴다. 새끼는 어미가 내는 소리를 잘 알아듣는데, 자칫 어미의 소리를 잘 구분하지 못하면 포식자의 밥이 된다.

누처럼 어미를 따라다니며 젖을 빠는 새끼는 쌍방향 소통이 필수이다. 어미와 새끼가 서로의 소리를 잘 알아들어야 무리 속에서 헤어지지 않는다.

소는 숲이 우거진 곳에서는 고라니처럼 새끼가 숨는 방식을 택하지만, 그럴 곳이 없는 초원 같은 인공환경에서는 누처럼 송아지와 어미 소가 서로의 소리를 알아듣는다. 

다른 소나 송아지의 녹음된 소리를 들려주는 실험에서 어미와 송아지는 서로의 소리를 들려주었을 때 다른 소의 소리 때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송아지가 어릴수록 어미 소의 반응도 강했다.

소리를 이용한 소통이 송아지와 어미 소 사이뿐 아니라 어미 소들 사이에서도 이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다양한 감정 상태에서 소가 내는 소리를 분석한 결과 소는 저마다의 독특한 ‘목소리’가 있음이 확인됐다.

c2.jpg » 젖소가 내는 소리를 음향학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하는 알렉산더 그린. 린 가드너 제공.

알렉산드라 그린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대 박사과정생 등 국제 연구진은 아직 출산하지 않은 홀스타인 젖소 18마리가 긍정적, 부정적 상황에 내는 울음소리를 녹음해 음향학적으로 분석했다. 먹이 주기와 발정기 등은 긍정적 상황으로, 먹이 치우기, 심리적·시각적 고립은 부정적 상황으로 보았다.

소는 2가지 소리를 냈다. 코로 내는 낮은 소리로는 가까운 거리의 소통이나 작은 고통을 표시한다. 흥분의 강도가 크거나 멀리 떨어진 상대와 소통할 때는 입을 열고 높은음의 ‘음매’ 소리를 낸다.

소들은 상황에 따라 다른 감정 상태에서 소리를 냈지만, 개별 울음소리의 특징은 고스란히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은 “소는 무리생활하는 사회적 동물이어서, 어미-자식의 각인 과정뿐 아니라 자신의 삶 전반에 걸쳐 확고한 자신만의 정체성을 지닌다는 사실이 그리 놀랍진 않다”며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처음으로 음성 분석을 통해 소들에게 그런 형질이 있다는 결정적 증거를 확보했다”고 이 대학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Holstein_heifer.jpg » 아직 새끼를 낳지 않은 암소(사진)도 새끼를 낳은 암소처럼 목소리로 소통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소가 사회적 동물이라는 사실은 무리 안에 위계질서가 있고, 어린 시절 어미로부터 떨어진 송아지는 장기간에 걸친 영향이 나타나며, 친구가 곁에 있을 때 훨씬 잘 배운다는 사실 등에 미루어 짐작됐다. 이번 연구를 통해 소들이 소리를 통해 무리와 접촉을 유지하고 흥분과 고통을 표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린은 “말 많은 소가 있는가 하면 부끄럼 타는 소도 있는 등 소는 모두 저마다의 개성이 있다”며 “경험 많은 농부는 소가 내는 ‘목소리’를 들으면 보지 않고도 무리 속에서 어떤 소가 울었는지 안다”고 말했다. 그러나 소를 대규모로 사육하는 공장식 축산이 확산하면서 풍부하던 소의 사회적, 정서적 삶은 피폐해졌다. 

연구자들은 이번 연구가 소들의 복지를 향상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린은 “소의 개별적 목소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농부들이 개별 소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고 동물복지를 향상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용 문헌: Scientific Reports, DOI: 10.1038/s41598-019-54968-4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