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러운 땅 앉지 않는 큰기러기, 착지 동작도 ‘만점’

윤순영 2017. 10. 27
조회수 20413 추천수 0

강한 가족애와 부부애로 예부터 친근한 새, 한강하구에 출현해 가을 알려

농경지는 아파트와 창고로 바뀌어, 멸종위기종 지정됐다지만 위협은 여전


크기변환_YS1_0375.jpg »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큰기러기.


928일 큰기러기가 어김없이 한강하구에 찾아 왔다. 친숙한 겨울철새인 큰기러기가 계절의 변화를 알린다.


한반도를 찾아 오는 큰기러기는 중간 기착지인 한강하구에 잠시 머문 뒤 천수만, 우포늪, 주남저수지 등 우리나라 전역에서 월동한다.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대표적인 겨울철새다.


크기변환_DSC_0675.jpg » 한강하구 갯벌에서 먹이를 먹고 있는 큰기러기 무리.


크기변환_YS1_8778.jpg » 이른 아침, 추수가 끝난 논에 떨어진 낱알을 먹으러 날아드는 큰기러기.


큰기러기는 행동이 묵직하다. 가족애가 강해 가족과 먹이를 함께 먹고 이동도 같이 한다. 가족이 사고를 당하면 좀처럼 그 자리를 뜨지 않는다.


다친 가족을 위해 상처가 아물 때까지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는 사례가 종종 관찰되곤 한다. 큰기러기는 한 번 짝을 맺으면 평생을 함께하며 암컷과 수컷 중 하나가 남게 되더라도 새로운 짝을 맺지 않고 홀로 사는 새다.


크기변환_YS1_0025.jpg » 날개를 뒤로 한껏 젖히고 힘을 싣는 큰기러기.


크기변환_YS1_0022.jpg » 속도를 줄이기 위해 날개를 최대한 펼쳐 공기의 저항을 늘린다.


크기변환_DSC_4132.jpg » 주변을 경계하는 큰기러기.


가을에 무리지어 찾아오는 새라 하여 추금(秋禽)’, 달 밝은 밤 갈대 숲을 찾아 기러기 떼가 날아드는 광경에 달밤에 떠다니는 새라 하여 삭금(朔禽)’이라고도 한다. 계절이 변하는 소식을 전해주는 새로 여겨져 편지를 雁書(안서)’라고도 했다. 기러기만큼 많은 이름을 가진 새도 없을 것이다.


크기변환_DSC_9541.jpg » 초저녁 달과 함께하는 큰기러기.


크기변환_YSJ_8635.jpg » 달을 스쳐가는 큰기러기.


갈대 ()’와 기러기 ()’을 쓴 노안도(蘆雁圖)에서는 저녁노을의 붉은 해 혹은 달을 그렸다. 해 질 무렵 기러기가 갈대밭 잠자리로 찾아들어 편안하게 쉼을 상징한다. 이 한국화에는 다른 사물을 그리지 않는다. 노안(蘆雁)을 늙은 노() 편안할 ()’의 의미로 여겨 노후의 안락함을 기원하는 그림으로도 그렸다.


크기변환_YSJ_9360.jpg » 석양빛에 물든 하늘을 나는 큰기러기.


안평대군의 회화 수장목록에는 안견의 노안도 한 폭이 언급되어 있고, 조선시대 노안도 가운데는 신사임당의 그림 두 점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도 변함없이 화가들은 기러기 그림을 그린다. 모든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는 새임이 분명하다.


크기변환_YS1_9939.jpg » 혼자 나는 기러기는 외롭다. 그래서 자기가 있는 곳을 소리 내어 알리며 날아간다.


단풍이 들면 우리나라를 찾아오고 얼음이 풀리면 번식지로 돌아가는 큰기러기는 암컷과 수컷 모두 어두운 갈색과 흰색, 주황색 3가지 색으로 멋을 부리지 않는다어두운 갈색으로 몸보다 어둡게 보이는 목은 몸보다 길고 앞가슴은 연한 회갈색이며 주황색의 다리는 짧아 뒤뚱뒤뚱 걷는다. 유난히 하얀 엉덩이는 우습게 실룩거리지만 해학적이다.


크기변환_YS1_7886.jpg » 착지를 위해 속도를 줄이는 큰기러기.


크기변환_YS2_7388.jpg » 큰기러기는 항상 무리를 이루어 나는 습성이 있다.


검은 부리 중간에 주황색 띠가 선명하고 날개깃 중심은 어두운 갈색이다. 깃 가장자리엔 흰색 테두리가 있어 물고기의 비늘이 박혀 있는 것처럼 눈에 띈다.


내려앉을 때는 짧은 꼬리 끝 가장자리 흰 선이 부채 모양으로 활짝 펼쳐져 순박한 아름다움을 더한다. 육중한 몸을 하늘에 맡기고 힘차게 나는 모습은 하늘을 당장이라도 부숴 버릴 것 같은 힘을 느끼게 한다.


크기변환_YS1_9785.jpg » 큰기러기의 뒷모습.


크기변환_YS1_9777.jpg » 날다가 서로 부딪힐 것 같지만 그런 일은 없다.


지난 날 농한기 겨울철 기러기들이 수난을 당하기도 했다. 독극물과 엽총으로 사냥하는 모습을 흔하게 볼 수 있었다. 현재는 야생동식물 보호법에 의해 포획이 금지되어 평화롭게 살고 있지만 그렇다고 위협이 모두 사라진 것은 아니다.


크기변환_YSJ_9175.jpg » 큰기러기의 비상.


크기변환_DSC_8544.jpg » 농경지를 매립하고 들어선 건축물과 비닐하우스는 큰기러기의 월동을 힘들게 한다.


크기변환_YSY_8583.jpg » 농경지의 볏짚 수거는 월동하는 큰기러기의 먹이 부족을 초래한다.


3월이면 번식지로 돌아가는 기러기는 남쪽의 봄소식을 전하며 민가 근처 농경지로 날아들어 더욱 친근감이 든다. 물가 가까이 있는 농경지를 좋아한다. 밤하늘을 떠가며 과안~ 과안~’ 울어대는 소리는 깊어가는 가을을 얘기하는 듯하고, 갈대와 황금 벼 이삭과 어우러져 날아드는 모습은 넉넉함을 안겨 준다. 수천 년을 부모로부터 이어온 본능으로 변함없이 찾아오지만 그들의 땅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큰기러기 착지 연속 동작


크기변환_YS1_9980.jpg


크기변환_YS1_8973_00001.jpg


크기변환_YS1_8976_00001.jpg


크기변환_YS1_8979_00001.jpg


크기변환_YS1_8981_00001.jpg


크기변환_YS1_8958.jpg


크기변환_YS1_8982_00001.jpg


큰기러기는 우리에게 가장 정겨운 새다. 이 땅을 버리지 않는다면 기러기는 자연과의 약속을 지키며 이곳을 변함없이 찾아올 것이다기러기는 높이 날면서 더러운 땅에는 머무르지 않는다. 그리고 그런 곳에선 사람도 살 수 없다.


·사진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평생 한 번 보기 힘든 희귀 나그네새 검은뺨딱새

    윤순영 | 2019. 06. 11

    잠깐 마주쳤던 기억만 남기고 훌쩍 날아가검은뺨딱새는 1987년 5월 대청도에서 1개체가 처음으로 확인된 이후 1988년 대청도, 2004년 어청도, 2005년 소청도, 2006년에는 전남 홍도에서 관찰됐다. 기록이 손꼽을 만큼만 있는 희귀한 새다. 지난 ...

  • 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오렌지빛 가슴의 나르키소스, 황금새를 만나다

    윤순영 | 2019. 05. 13

    어청도 찾은 희귀 나그네새…사람 두려워 않는 앙징맞은 새황금은 지구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다. 밝은 황색 광택을 내고 변색하거나 부식되지 않아 높게 치는 금속 가운데 하나다.이름에 황금을 올린 새가 있다. 월동지와 번식지를 오가면서 ...

  • “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날개가 투명한 나비 보셨나요?”

    조홍섭 | 2019. 03. 12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날개를 통해 배경이 선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나비가 중앙·남 아메리카에 산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이 나비 사진이 2018년 생태학자들이 찍은 ‘올해의 사진’으로 뽑혔다.과학기술과 의학...

  • 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개구리 잡고, 딱정벌레 잡고…더워도 호반새는 지치지 않았다

    윤순영 | 2018. 08. 03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불에 달군 듯 붉은 부리의 여름철새, 7월말 번식개구리, 도마뱀, 딱정벌레 이어 마지막 잔치는 뱀 40도를 육박하는 엄청난 폭염이 찾아왔다.&...

  • 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새끼가 76마리? 어느 비오리 엄마의 ‘극한 육아’

    조홍섭 | 2018. 07. 26

    미국 미네소타 호수서 조류 사진가 촬영남의 알 받은 데다 이웃 새끼 입양한 듯 “새끼를 몇 마리 입양한 비오리 같네요”지난달 23일 미국인 아마추어 조류 사진가인 브렌트 시제크는 미네소타주 베미지 호수에서 촬영한 사진을 사회관계망 서비스인...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