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진객 개리가 10년 만에 돌아왔다

윤순영 2017. 11. 02
조회수 24010 추천수 1
김포대교와 일산대교 사이 120마리 확인
거위 원종으로 멸종위기종…몽골이 삶터

1-크기변환_YSY_6583_00001 (1).jpg »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개리.

거위의 원종으로 겨울 철새인 개리가 10년 만에 다시 귀한 모습을 드러냈다. 개리는 2012년 5월 31일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2-크기변환_YSY_6308_00001.jpg » 물가에서 휴식을 하는 개리.

개리는 주로 일산대교와 오두산 전망대 사이 사구에서 겨울을 났다. 한강, 임진강, 염하강, 예성강이 합류하는 기수역인 오두산 전망대 앞 갯벌은 특히 개리의 주요 월동지였다. 이곳의 다양하고 풍부한 생물과 부드러운 모래층, 갯벌이 개리에게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했다.

3-크기변환_YSY_6612_00001_01.jpg » 습한 갯벌을 좋아하고 얕은 물에서 시간을 보낸다.

그러던 개리가 2006년부터 숫자가 줄어들고 2007년 이후에는 아예 자취를 감추었다. 오두산 전망대 갯벌이 줄어들고 변형되면서 먹이터가 망가진 탓이다.

4-크기변환_DSC_0677_00001.jpg » 한강하구의 갯벌에 개리가 큰기러기와 함께 뒤 석여 있다.

뿐만 아니라 2월이면 한강 하구에서 월동하던 개리가 공릉천으로 이동해 북상할 때까지 서식했지만 이곳에서도 현재는 개리를 볼 수가 없다. 한강 하구 산남습지와 대동리습지 일부에 300여 마리가 잠시 머물고 갈 뿐이었다.
한강 개발로 한강의 유속이 달라지면서 갯벌이 줄어들고 굳음 현상으로 갈대가 늘어났다. 세섬매자기, 줄풀 뿌리 같이 개리가 즐겨먹는 식물의 뿌리를 더는 보기 힘들어졌다.

5-크기변환_DSC_1402_00001.jpg » 갯벌 갈대 숲에 기러기와 함께 있는 목이 밝은 개리의 모습이 보인다.

진객이 다시 찾아온 것은 2016년부터다. 김포대교와 일산대교 사이에서 월동하는 것이 눈에 띄었고 올해는 120마리가 관찰되었다. 생태가 바뀌어 개리가 겨울을 나기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된 덕으로 보인다.

6-크기변환_DSC_4335_00001.jpg » 농경지에 날아든 개리 좌측에 쇠기러기도 함께 한다.

개리는 큰기러기와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조금 더 크다. 개리의 암수는 깃털색이 똑같아 구분하기 어렵지만 암컷보다 수컷이 좀 더 크다. 날개길이 41~48cm, 꽁지길이 11~17cm이다. 겨울 철새로 10월에서 이듬해 4월 사이에 볼 수 있다.

7-크기변환_DSC_4361_00001_01.jpg » 개리는 가족 단위로 생활하는 습성이 있다.

옆머리와 뒷머리·머리꼭대기·뒷이마·뒷목은 붉은 갈색이고, 턱밑은 연한 적갈색, 목·뺨·옆 목은 흰색이다. 미성숙한 개체는 기부에 흰 띠가 없다. 가슴은 연한 황갈색, 배는 흰색, 날개는 어두운 회갈색이다.

8-크기변환_DSC_4390_00001.jpg » 기러기들과 함께 개리 가족이 먹이를 먹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남아있는 5만여 마리의 개리 가운데 80%가 몽골에서 서식하며 번식한다. 특히 러시아, 중국과 접해 있는 몽골 동부 다구르(Daguur) 아이막은 천혜의 개리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글·사진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김포의 재두루미 지킴이. 한강 하구 일대의 자연보전을 위해 발로 뛰는 현장 활동가이자 뛰어난 사진작가이기도 하다.
이메일 : crane517@hanmail.net      
블로그 : http://plug.hani.co.kr/crane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지정석을 지켜라…‘숲 속의 푸른 보석’ 유리딱새의 집착지정석을 지켜라…‘숲 속의 푸른 보석’ 유리딱새의 집착

    윤순영 | 2020. 05. 15

    공중서 곤충 낚아채는 ‘최적 장소’ 횃대…넘보다간 큰코 다쳐유리딱새는 은근히 아름답다. 수컷은 푸른빛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암컷은 화려하지 않으나 청초한 듯 기품이 있어 보인다. 항상 응시하는 눈빛으로 생각하듯 영리한 모습이다. 어떤 이유...

  • 메뚜기떼 창궐 탓? 진객 분홍찌르레기 출현메뚜기떼 창궐 탓? 진객 분홍찌르레기 출현

    윤순영 | 2020. 05. 06

    중앙아시아 초원이 주 서식지…메뚜기떼 늘면 멀리 이동도4월 19일 전북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찌르레기와 함께 있는 낯선 새를 발견했다.&nb...

  • 기후변화가 주저앉혔나, 붉은 눈의 ‘나그네 매'기후변화가 주저앉혔나, 붉은 눈의 ‘나그네 매'

    윤순영 | 2020. 02. 24

    아열대 맹금류…2013년부터 출현, 올해 김포 하성면서 월동 검은어깨매는 영어로는 ‘검은날개매’이다. 앉아있을 때는 어깨가 검은 것 같지만 날 때 보면 날개가 검다. 또 날개가...

  •  산사, 팥배 열매 ‘꿀꺽’ 홍여새의 겨울나기 산사, 팥배 열매 ‘꿀꺽’ 홍여새의 겨울나기

    윤순영 | 2020. 01. 23

    겨우내 달린 비상식량, 직박구리 텃새 이기며 포식10일 지인으로부터 인천 송도 미추홀공원에 황여새와 홍여새가 왔다는 소식을 듣고 아침 일찍 공원을 찾았다. 높은 나무 꼭대기에 새들이 마치 나무 열매처럼 주렁주렁 매달렸다. 주변에 심어놓...

  • 첨벙첨벙…참매와 청둥오리의 물 튀는 추격전첨벙첨벙…참매와 청둥오리의 물 튀는 추격전

    윤순영 | 2019. 12. 23

    한탄강서 목격한 참매의 진귀한 사냥 장면몇 년 전 일이다. 한탄강에서 참매를 만났다. 갑자기 청둥오리들이 기겁하여 물을 박차고 솟아오른다. 날씨도 우중충하고 을씨년스럽다. 거리도 멀고 촬영하기엔 워낙 좋지 않은 상황...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