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만금에 홍학 출현, 카자흐스탄서 5천㎞ 날아왔나? | 환경뉴스
2017.08.28
|원래 아열대 서식…서울동물원 등서 “도망 개체 없다”중국 베이징 등서도 종종 출현, 어린 개체 길 잃었을 가능성열대나 아열대 지방의 염습지에서나 볼 수 있는 홍학이 서해안 새만금 간척지에 나타났다. 사육지에서 탈출한 개체가 아니라면, 홍학이 우리나라에서 야생 상태로 관찰된 것은 이번이 처음...
-
무엇을 먹을 것인가, 제철 동네 음식이 답이다 | 영화로 환경 읽기
2017.08.25
|영화로 환경 읽기 23 <리틀 포레스트1: 여름과 가을, 2: 겨울과 봄>'어머니 음식'이란 재료를 얻고 손질하여 먹기까지 자신과 긴밀하게 연결되는 음식언제 어디서 나는지 알아야 하고, 하나의 음식이 나오기까지 손이 많이 가야 좋은 음식스무 살 이치코(하시모토 아이 분)는 일본 산골 마을 코모...
-
죽어가는 초파리에서 사랑의 냄새…좀비 세균 전략 | 환경뉴스
2017.08.24
|세균 감염 초파리 배설물에 다량의 성호르몬, 몰려든 상대에 퍼뜨려세균 이용한 새로운 ‘페로몬 함정’으로 병·해충 제거에 이용 기대톡소포자충에 감염된 쥐는 겁을 잃고 고양이 배설물에 이끌려, 결국 이 기생충의 숙주인 고양이를 감염시킨다. 어떤 기생성 편형동물은 달팽이의 눈 자루에 모여든 뒤 ...
-
늦반딧불이 애벌레가 개똥벌레인 까닭 | 생물학자 이강운의 24절기 생물노트
2017.08.23
|퇴비 쌓은 축축한 개똥 무덤에 먹이인 달팽이 많아 붙은 이름…생태정보 담겨말 다리처럼 늘씬한 마타리와 나방 맞느라 바쁜 달맞이꽃이 가을 불러오나창문을 열면 늦여름의 진득한 열기 대신에 서늘한 바람이 들어온다. 천둥, 번개와 폭우 사이로 간간이 보이는, 미세 먼지 없는 맑고 투명한 하늘과 높...
-
2년 계속된 밤, 얼어붙은 바다…대멸종 부른 기후 격변 | 환경뉴스
2017.08.22
|기후모델로 공룡 멸종시킨 중생대 말 운석 충돌 영향 재현대기 상층은 가열, 광합성 중단돼 생태계 괴멸…'핵 겨울' 비슷6600만년 전 중앙아메리카 유카탄 반도에 지름 10㎞의 운석이 떨어졌다. 날개 달린 공룡(새)을 뺀 생물 종의 ...
-
중금속 오염 피하려…검은색 피부로 변신한 물뱀 | 환경뉴스
2017.08.21
|19세기 영국 얼룩나방 이어 ‘공업’이 유발한 ‘암화’의 새 사례광산 개발로 폐수 흘러드는 항구 서식 물뱀, 허물도 자주 벗어 19세기 영국 공업지대의 얼룩나방은 회색에 반점이 있는 무늬였다. 석탄 매연으로 나무껍질이 검게 바뀌자 눈에 잘 띄어 새의 손쉬운 먹이가 됐다. 그러나 돌연변이로 ...
-
몸 속 39조 마리의 미생물과 더불어 살기 | 조홍섭의 책꽂이
2017.08.18
|우리 몸은 미생물과 더불어 사는 생태계미생물 통해 자연과 인간 새롭게 보자 주장내 속엔 미생물이 너무도 많아에드 용 지음, 양병찬 옮김/어크로스·1만9800원우리 몸속에는 39조 마리의 미생물이 산다. 불청객이 아니다. 미생물은 동물이 출현하기 수십억년 전부터 지구에 살아왔고, 동물은 미생물과 공생...
-
물고기 사냥의 달인, '불새' 호반새 [3] | 사진
2017.08.18
|메뚜기부터 물고기, 개구리, 쥐, 뱀까지 닥치는 대로 사냥마지막 여름 철새, "쿄로로로~" 독특한 울음…보기는 힘들어시골에서는 호반새를 흔히 불새라 부른다. 몸 전체가 주황색으로 불타는 모습이어서 그렇게 불렀나 보다. 머리가 크고 목이 짧으며 특히 형광색 느낌의 진한 주황색의 부리는...
-
한겨울 연못 밑 붕어는 술에 기대어 생존한다 | 환경뉴스
2017.08.17
|산소 없어도 4~5달 버텨, 치명적인 젖산 대신 알코올 생성 대사 작동술 빚는 효모 비슷한 효소, 붕어의 혈중농도는 면허 정지 수준인 0.05%연못이 꽁꽁 얼고 위에 눈이 쌓이면 연못 바닥까지 빛이 들어가지 못한다. 조류가 광합성을 하지&n...
-
신고리 5·6호기, 전문가에 결정 맡길 수 없는 이유 [1]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7.08.16
|정책당국자와 전문가의 누적된 실패가 이번 공론화 불러전문가 객관적이지 않고, 과학기술은 사안의 극히 일부분신고리 5·6호기 공사중단 공론화를 둘러싸고 말이 참 많다. 청와대와 공론화위원회(공론화위)는 건설중지 결정을 누가 내리는지를 두고 우왕좌왕이고, 야당은 공론화위의 활동이 법적인 근거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