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말벌 북미 출현 미·캐 당국 경보 발령

조홍섭 2020. 01. 03
조회수 23860 추천수 0
꿀벌·사람 피해 비상…“동아시아서 선박 화물 통해 간 듯”

v1.jpg » 한국 등 동아시아 원산인 장수말벌은 저항 능력을 진화시키지 못한 서양 꿀벌에 치명적 피해를 입혀 국제적인 침입종으로 주목된다. 고이데 야스노리,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에 서식하는 세계 최대 말벌인 장수말벌이 북아메리카 서부해안에 침투해 당국이 경보를 발령하는 등 비상이 걸렸다.

미국 워싱턴주는 19일 “캐나다 국경 지역에서 주민이 신고한 대형 말벌이 침입종인 장수말벌로 밝혀졌다”며 “위협받거나 땅속 둥지를 건드리면 끔찍한 침에 쏘일 수 있으니 잡으려들지 말고 신고해 달라”는 내용의 경보를 발령했다.

캐나다 뱅쿠버에서 약 50㎞ 떨어진 블레인의 한 주민은 8일 “평소에 못보던 엄청나게 큰 말벌이 죽어있는 것을 발견했다”며 당국에 신고했다. 이 주민은 벌새에게 꿀을 제공하는 급이대에서도 이 벌이 날아다니는 것을 보았다고 증언했다.

v2.jpg » 미국 워싱턴주에서 발견된 장수말벌. 워싱턴주 농업부 제공.

앞서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도 9월 “장수말벌 3마리를 뱅쿠버 섬에서 처음으로 확인했다”며 경보를 발령했다.

동아시아 원산의 말벌이 태평양 건너 북미 서해안에 퍼지게 된 것은 두 지역을 잇는 활발한 무역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메이 베렌바움 미국 일리노이대 교수(곤충학)는 ‘뉴욕타임스’와의 회견에서 “북미의 장수말벌은 태평양을 건너는 선박을 타고 ‘밀항’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이들은 발효 중인 당분 화물에 이끌렸거나, 선박의 균형을 잡기 위해 싣는 발라스트 물질로 쓰인 흙속에 둥지를 틀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에 생태계위해종인 북미산 붉은불개미가 화물 선박을 통해 들어와 큰 문제를 일으킨 것과 마찬가지다.

v3.jpg » 사마귀를 사냥해 먹고 있는 장수말벌.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이다. 조 캐리,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장수말벌은 몸길이만 3∼4㎝이고 날개까지 치면 4∼7㎝에 이르며, 커다란 침을 지니고 있다. 이런 크기는 자생지에서 부르는 이름에 그대로 반영돼 있다. 장수말벌을 중국에선 ‘야크 킬러 말벌’로, 대만에선 ‘호랑이 머리 벌’로, 일본에선 ‘큰 참새 벌’로 부른다.

장수말벌은 자신을 괴롭히지 않는 사람이나 큰 동물에는 별 관심이 없지만, 먹이인 꿀벌에는 치명적인 타격을 입힌다. 꿀벌의 침은 장수말벌의 두꺼운 키틴질 껍질을 뚫지 못해, 벌통에 침입한 장수말벌은 한 번에 벌통의 30%에 해당하는 수백마리의 꿀벌을 죽이기도 한다. 장수말벌은 꿀벌의 살점이나 애벌레를 먹이로 삼는다.

그러나 장수말벌의 자생지인 동아시아의 토종꿀벌은 장수말벌을 공처럼 감싼 뒤 진동으로 체온을 올려 장수말벌을 죽이는 전략을 진화과정에서 획득했다. 또 최근에는 토종꿀벌이 장수말벌의 공격에 정교한 경계경보로 대응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관련 기사: 말벌 만난 토종꿀벌, ‘열폭탄’ 앞서 경계경보 발령).

v4.jpg » 벌통에 침입한 장수말벌을 수백마리의 토종 꿀벌이 둘러싸 ‘열 공’을 만들어 공격하고 있다. 양봉에서는 발견하기 힘든 행동이다. 다카하시,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미국과 캐나다 농업당국도 이런 대항능력이 없는 서양 꿀벌과 사람이 입을 피해가 장수말벌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내년 여름 이후 본격화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