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익사 초식동물이 세렝게티 강 살찌워 [1] | 환경뉴스
2017.06.20
|케냐 마라 강에 해마다 6200마리 누 익사, 대왕고래 10마리가 빠져 죽는 셈물고기, 독수리, 악어 말고도 강 유역 생태계 광범한 영향…지구 마지막 ‘익사 생태계’아프리카 케냐의 세렝게티 평원은 야생동물의 천국이다. 이곳을 다룬 자연 다큐멘터리의 백미 가운데 하나는 연례행사로 벌어지는 누(윌더비...
-
야생동물에도 귀천이 있다? 있어 줘서 고마울 뿐 | 야생동물 구조 24시
2017.06.19
|크고 귀하면 보호 작고 흔하면 홀대, 재미로 죽이기도생명의 가치는 평등, 그들의 존재 자체에 감사해야집 밖으로 나가 주위를 둘러보면 어떤 야생동물을 볼 수 있을까. 참새, 까치, 비둘기, 다람쥐 흔하디흔한 동물들이지만 이들도 야생동물이다.야생동물이란 거창한 것이 아니다. 보호해야 하는 귀한 동물...
-
쌍살벌은 사람처럼 서로의 얼굴을 알아본다 | 환경뉴스
2017.06.16
|여러 여왕벌 동거 복잡한 사회생활, 불필요한 경쟁 낭비 피하려 진화257개 유전자 관여 밝혀져, 시각적 학습 아닌 독립적인 유전적 진화 결과 전화번호는 쉽게 잊어도 아는 사람의 얼굴을 잊는 일은 좀처럼 없다. 사회적 동물인 사람에게 얼굴을 기억하는 일은 너무나 중요해, 우리 뇌에는 이 일을...
-
하루 수십번 '이사', 쇠제비갈매기의 자식 사랑 [1] | 사진
2017.06.14
|새끼 깃털과 비슷한 땅에 오목한 둥지 파고 옮겨 다녀…새끼 보호 위한 수단작은 물고기 많은 개활지에 집단 번식, 알품기부터 기르기까지 부부가 헌신 쇠제비갈매기는 한국·일본·중국·우수리 등지에서 번식하고 필리핀, 호주, 오스트레일리아, 인도차이나, 인도, 스리랑카 등지에서 겨울을 난다. 몸 길...
-
퇴적분지에 새겨진 곤충화석 '작은 것들의 역사' | 환경뉴스
2017.06.14
|‘고곤충학 박사 1호’ 남기수 교사 더듬이 몸통 꼬리 2㎝ 애벌레 또렷낚시꾼이 손맛에 빠지듯 탐사 몰두 대전과학고 다산관 7층 작은 실험실한국 곤충 화석 가장 많아 국내외 학술지에 10여 편 논문 발표매미 거미 등 신종도 발견 중·신생대 원시곤충 지금 모습 그대로날개맥은 종 추적...
-
낡은 석탄화력 폐쇄로 지역주민 고통 던다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7.06.13
|전국 석탄화력 절반 모인 충남, 미세먼지 건강과 재산피해 심각수도권 값싼 전력 공급 위해 희생당한 지역의 불공정 극복 의미 6월 1일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8기가 중단되었다. 문재인 대통령의 세 번째 업무지시로 올해는 6월 한 달간, 내년부터는 미세먼지가 심한 봄철 3~...
-
기후변화로 사라진 구상나무숲…심는다고 복원될까 | 환경뉴스
2017.06.12
|온난화로 쇠퇴하는 아고산 침엽수지리산·한라산서 고사율 37~45%환경부, 어린나무 심어 복원 추진5월 300그루 이어 이달 2000그루 기후변화 지속 상황선 효과 의문국립공원 보존지구 자연에 맡겨야인위적 개입하면 되레 훼손 위험전문가들 “무용지물 대책” 비판환경부가 기후변화로 지리산과 한라산 국립...
-
식물의 성욕은 동물보다 강하다? [3] | 양형호의 재미있는 숲 이야기
2017.06.12
|곤충 유혹 위해 잎이 꽃으로 변신, 잎 벌려 꽃 두드러지게 만들기도수정 마치면 고개 숙이는 산수국 꽃, 다른 꽃에 수정 기회 넘겨 봄이 되어 숲의 나무마다 맛있는 어린 새싹을 내어 애벌레를 오동통하게 키울 무렵, 숲에는 짝을 찾는 새들의 다양한 구애 소리로 한바탕...
-
애벌레 공격 맞서 잎 ‘변신’…새 눈 잘 띄게 색깔·빛 조절 [1] | 환경뉴스
2017.06.09
|식물의 반격…‘도와줘요’ 가설 이어 ’위장 감소’ 가설 나와엽록소 줄여 잎 뒤에서도 보이도록, 잎 색깔도 달라져먹이를 졸라대는 새끼를 둥지에 둔 박새 어미는 어떻게 애벌레를 그토록 쉬지 않고 잡아오는 걸까. 박새가 나뭇잎을 하나씩 샅샅이 훑지 않는 것은 분명하다. 박새는 마치 미리 알고 있...
-
황조롱이 부부의 도심 속 육아 분투기 [1] | 윤순영의 자연의 벗
2017.06.08
|버린 까치 집, 화분 등에 둥지, 빌딩과 유리창 충돌 위험 감수해야육아 분업…수컷은 작은 새나 쥐 잡아 암컷에 전달, 암컷이 새끼에 먹여 경기도 김포시 에코센터 건물엔 나무로 만든 탑이 세워져 있다. 이 탑에는 까치 둥지가 있는데, 지난 3월 13일 이곳에 황조롱이가 산란 터를 마련했다.&n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