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살 개 사람 나이론 42살, 강아지 ‘폭풍 성장’ 밝혀져

조홍섭 2019. 12. 04
조회수 31444 추천수 1
유전자 화학변화 토대 ‘노화 시계’로 환산…7살 넘으면 노년

d2.jpg » 래브라도 레트리버 품종의 강아지. 사람보다 성장 속도가 빨라 사람 나이로는 중년에 가까울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개 나이를 사람 나이로 환산하려면 7을 곱하면 된다고 흔히 알려진다. 2살짜리 개는 사람의 14살, 10살이면 70살에 해당하는 셈이다.

그러나 이 공식의 문제는 곧 드러난다. 개는 10달이면 성숙하는데, 사람으로 치면 6살도 안 된 나이다. 14살 된 개가 100세 노인과 같은가.

사실 이 환산법은 개와 사람의 평균수명인 10년과 70년을 단순 비교한 것일 뿐이다. 분자 차원의 노화에 근거해 사람과 개의 나이를 환산하는 새로운 계산법이 나왔다.

트레이 아이디커 미국 캘리포니아대 샌디에이고 캠퍼스 유전학자 등은 미발간된 생물학 분야의 연구를 동료 비평을 듣기 위해 미리 공개하는 누리집인 ‘바이오리시브’ 11월 4일 치에 실린 논문에서 ‘후성유전학 시계’를 이용한 신개념의 나이 환산법을 밝혔다.

포유류는 유년기-청년기-장년기-노년기를 거쳐 사망에 이르는 생리적 단계를 공통으로 거친다. 종마다 그 기간이 다를 뿐이다. 사람은 유달리 유년기와 청년기가 길지만, 다른 동물은 대개 그 기간이 훨씬 짧다.

연구자들은 디엔에이(DNA)의 화학조성이 나이를 먹음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바뀌어 나간다는 사실을 토대로 나이를 추정할 수 있다는 데 착안했다. 특정 디엔에이 염기서열에 메틸화가 어느 정도나 일어났는지를 알면 생물의 나이를 분자 수준에서 알 수 있다.

연구자들은 나이가 4주∼16살 범위인 래브라도 레트리버 품종의 개 104마리를 대상으로 유전체(게놈)의 메틸화를 조사해 사람의 것과 비교했다. 그 결과 개의 노화 시계는 처음에는 사람보다 훨씬 빨리 째깍거리다 이후에는 더 천천히 가는 것으로 밝혀졌다.

d3.jpg » 8살 난 래브라도 레트리버 개. 사람으로 치면 환갑이 넘는 나이이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분자 차원에서 밝혀진 새로운 환산 방법을 적용하면, 개의 유년기는 2∼6달 사이로 사람의 1∼12살에 해당한다. 성적으로 성숙해 성장을 마무리하는 청년기는 개의 경우 6달∼2살이지만 사람은 12∼25살이다.

개는 사람보다 훨씬 빨리 성숙해 2살이면 사람 나이 42살의 중년에 이른다. 개의 장년은 2∼7살로 사람의 25∼50살에 해당한다. 사람의 62살에 해당하는 개의 나이는 7살로, 이때부터 노년기에 접어든다. 래브라도 레트리버와 인류의 평균수명은 각각 12살, 70살이다.

d1.jpg

분자 차원의 노화로 환산한 개와 사람의 나이. 첫 두 살까지 개의 성장이 사람보다 매우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티나 왕 외 (2019) ‘바이오리시브’ 제공.
연구자들은 “개는 품종에 따라 수명도 다르고 후생유전학 나이도 달라진다”며 “이번 연구가 사람의 노화 이해와 건강 수명을 늘리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매트 캐벌레인 미국 워싱턴대 생물노인학자는 “개와 사람은 노화와 관련한 질병과 기능 쇠퇴가 비슷한데, 이번 연구로 노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분자적 변화도 유사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Tina Wang et al, Quantitative translation of dog-to-human aging by conserved remodeling of epigenetic networks, bioRxiv, Nov. 4, 2019; doi: http://dx.doi.org/10.1101/829192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