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쥐와 꿀벌 이어 꽃게도 미로학습 통과쥐와 꿀벌 이어 꽃게도 미로학습 통과

    조홍섭 | 2019.11.13

    갈림길 5곳 복잡한 미로 통과…2주 뒤에도 기억 유지미로학습에 나선 생쥐는 여러 갈래 길에서 막다른 골목을 피해 목표에 도달하는데, 반복을 통해 시행착오를 줄인다. 척추동물뿐 아니라 꿀벌과 개미 등 곤충도 이런 공간학습 능력을 보인다.뇌가 작아 복잡한 행동을 하지 못한다고 알려진 해양 무척추...

  • 추운 곳 새알은 왜 짙은 색일까추운 곳 새알은 왜 짙은 색일까

    조홍섭 | 2019.11.12

    짙은 색 알일수록 느리게 식고 빨리 더워져한여름 손에 쥔 초콜릿 아이스크림은 바닐라 아이스크림보다 빨리 녹아내린다. 짙은 색이 열을 더 잘 흡수하기 때문이다. 체온이 환경에 따라 바뀌는 변온동물에게 열을 얼마나 잘 흡수하는지는 생사가 달린 문제다. 그래서 고위도로 갈수록 도마뱀의 색깔이...

  • 피라냐의 '최강 이빨' 유지 비결은 통째 교체피라냐의 '최강 이빨' 유지 비결은 통째 교체

    조홍섭 | 2019.11.11

    2∼4달마다 턱 한쪽 위·아래 한꺼번에 갈아‘식인 물고기’란 별명은 과장이지만, 물고기 포식자인 피라냐는 톱니처럼 날카롭고 강력한 이를 자랑한다. 피라냐는 면도날처럼 날카로운 이를 유지하기 위해 턱의 절반씩 무뎌진 이를 통째로 교체하는 사실이 확인됐다.매슈 콜만 미국 워싱턴대 생물학자 등 미...

  • 쥐 잡는 원숭이, 기름야자 농장 친환경 바꿀까쥐 잡는 원숭이, 기름야자 농장 친환경 바꿀까

    조홍섭 | 2019.11.08

    과일보다 쥐 선호, 40마리 무리가 1년에 3천 마리 포식열대우림을 베어내고 들어선 기름야자 플랜테이션에서는 가공식품 등에 쓰여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식물성 기름인 팜오일을 생산한다. 서식지를 빼앗긴 원숭이들은 기름야자 농장에 몰려들어 농민들의 원성을 샀다.그러나 뜻밖...

  • 무차별 포식자 악어거북, 광주호서 발견무차별 포식자 악어거북, 광주호서 발견

    조홍섭 | 2019.11.06

    물리면 손가락 절단도, 공격성 강해…기르다 방류한 듯.세계 최대의 민물 거북으로, 공격성이 강하고 만나는 동물을 닥치는 대로 잡아먹어 악명 높은 외래종 악어거북이 광주광역시 광주호 인근 하천에서 발견됐다. 악어거북이 야생에서 발견된 것은 2011년 경북 구미에 이어 두 번째다. 이 거북은 세...

  • 일렬종대 이동 삼엽충, 집단행동 4억8천만년 전 출현일렬종대 이동 삼엽충, 집단행동 4억8천만년 전 출현

    조홍섭 | 2019.11.05

    긴 촉수 접촉한 채 이동하다 갑자기 죽은 화석 발견사람들이 매표소 앞에 줄을 서거나 기러기가 줄지어 나는 것, 또는 닭새우가 바다 밑에서 떼 지어 이동하는 것은 모두 복잡한 사회적 행동이다. 이런 행동이 육지는 텅 비고 바다에 복잡한 생명체가 막 등장하던 4억8000만년 전에 이미 출현했던 것...

  • 골칫덩이 보름달물해파리 소굴 500곳 찾았다골칫덩이 보름달물해파리 소굴 500곳 찾았다

    조홍섭 | 2019.10.31

    연안의 정박·부유 등 인공구조물이 ‘주범’…“유생 제거로 대발생 억제”발전소 냉각수 관로를 막고 어업에 피해를 주는 보름달물해파리의 대발생은 선박 정박시설과 양식장 부유시설 등 인공시설에 천문학적 숫자의 유생이 들러붙어 자라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유생이 특히 고밀도로 자라는 곳은 전국 연...

  • ‘잠자리 사냥꾼’ 비둘기조롱이가 왔다‘잠자리 사냥꾼’ 비둘기조롱이가 왔다

    윤순영 | 2019.10.28

    한강 하구 들른 나그네새…잠자리·땅강아지 배 채우고 아프리카로비둘기조롱이는 시베리아 남동부, 중국 동북부 그리고 북한의 고산지대에서는 적은 수가 번식한다. 올해도 번식을 마치고 기나긴 이동에 나선 비둘기조롱이를 9월 19일 한강 하구의 논 습지에서 관찰했다. 예년보다 일주일 정도 빠르다. 나그...

  • 8천년 전 신석기 시대 중국서 잉어 양식8천년 전 신석기 시대 중국서 잉어 양식

    조홍섭 | 2019.10.23

    번식기 물가서 포획, 일부 살려 논이나 연못서 길러선사시대에는 손때 묻지 않은 강과 호수에 물고기가 넘쳤을 것 같다. 그러나 신석기 시대 초인 8000년 전 중국에서는 이미 잉어를 양식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나카지마 쓰네오 일본 비와 호 박물관 학예사 등 국제 연구진은 중국 허난 성의 신석기...

  • 마지막 매머드는 외딴섬서 어떻게 멸종했나마지막 매머드는 외딴섬서 어떻게 멸종했나

    조홍섭 | 2019.10.22

    식수 오염에 ‘아이싱’ 이상기상으로 굶어 죽었을 가능성이집트 고대왕조가 피라미드를 한창 건설하던 약 4000년 전, 북극해에 있는 러시아 브란겔 섬(랭글섬)에서는 선사시대 대형 포유류인 털매머드가 마지막 숨을 몰아쉬었다. 가장 최근 빙하기였던 10만∼1만5000년 전 사이 스페인에서 알래스카까지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