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멸종 이긴 닭·오리 조상 ‘원더 치킨’ 화석 발견 | 환경뉴스
2020.03.24
|6700만년 전 바닷가 살던 오리 절반 크기…가장 오랜 현생 조류 조상 화석 소행성 충돌로 대멸종 사태가 일어나기 직전 살았던 현생 조류의 직계 조상 화석이 발견됐다. 닭과 오리의 모습을 모두 갖춰 ‘원더 치킨’이란 별명을 얻은 이 새의 발견으로 조류의 진화사가 새롭게 쓰이게 됐다.다니엘 필드 ...
-
개코원숭이는 왜 죽은 새끼를 열흘씩 돌보나 | 환경뉴스
2020.03.23
|털 고르고 접근 막고…어미-새끼 유대, 슬픔 조절 가능성영장류 가운데는 죽은 새끼를 며칠씩 끌고 다니며 털을 고르고 몸을 닦아 주는 행동을 하는 어미가 적지 않다. 이들은 새끼의 죽음을 아는 걸까. 안다면 왜 이런 행동을 하는 걸까.알레시아 카터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박사 등 국제 연...
-
브라질 도심 출몰 ‘전갈 공포’, 두꺼비로 잠재울까 | 환경뉴스
2020.03.20
|전갈 10마리 독에도 끄떡없는 천적 드러나…한 해 15만명 전갈에 쏘여상파울루 등 브라질 남부 대도시에서 요즘 가장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의 하나는 한 해에 15만명 이상이 전갈 독침으로 쏘이는 것이다. 강력한 독성을 지닌 이 절지동물을 두꺼비가 즐겨 잡아먹는다는 사실이 밝혀져, 전갈 퇴치에 청신...
-
비닐봉지를 해파리로 오인? 바다거북 ‘플라스틱 냄새’에 끌려 | 환경뉴스
2020.03.19
|표면에 미생물 자라면서 먹이 냄새 풍겨…플라스틱 바다는 ‘냄새 함정’세계적으로 바다거북이 플라스틱 쓰레기를 먹고 죽어가는 이유가 비닐봉지를 해파리로 오인하기 때문일까. 문제는 플라스틱이 먹이처럼 보이는 게 아니라 버려진 뒤 1주일만 지나면 먹이와 똑같은 냄새를 풍기는 데 있다는 실험 결과가...
-
덕유산 야생동물 ‘빛 공해’ 시달린다 | 환경뉴스
2020.03.18
|1월 스키리조트 무주읍 수준 밝기…삵, 하늘다람쥐 피해 우려20여 년 전 국립공원 가운데 최악의 환경파괴를 겪은 덕유산이 그때 지은 스키리조트 때문에 이번에는 심각한 ‘빛 공해’에 시달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공조명의 영향은 스키 성수기인 겨울철에 특히 심해, 무주덕유산리조트가 내쏘는 빛의 양...
-
살 때 돈 내고, 버릴 때 돈 내고…아깝다면, 폐기물 예방! | 쓰레기 문제, 감량으로 푼다
2020.03.17
|유럽연합은 우리보다 20년 앞서 폐기물 예방을 최우선 정책으로 채택우리는 생활폐기물 재활용을 위해 전 세계 어느 곳에서도 보지 못할 높은 수준의 분리수거를 매일 몸소 실천하고 있다. 그러나 폐기물 재활용도 필요하지만 우리의 미래를 위해서 더 중요한 것은 발생을 원천적으로 막는 것, 즉 예방이...
-
사하라 신석기인 주식은 물고기였다 | 환경뉴스
2020.03.16
|5500년 전 사막 되기 전 강·호수 풍부…메기와 틸라피아 뼈 대량 발굴사하라의 수렵채집인 식탁에는 거의 매끼 메기나 틸라피아가 올랐을 것이다. 사막이 되기 전 1만∼5000년 전 사이 사하라는 신석기인에게 다량의 물고기를 공급할 수 있는 호수와 강이 사방에 널린 곳이었다.윔 반 니르 왕립 벨기에...
-
‘흰 기린’ 케냐서 밀렵꾼 손에 죽어…딱 1마리 남았다 | 환경뉴스
2020.03.13
|“고기와 가죽 노린 듯”…세계 유일 집단 새끼 1마리 남아 2016년 케냐에서 발견된 흰 기린의 어미와 새끼가 밀렵꾼 손아귀에 목숨을 잃었다. 이로써 세계에서 유일한 흰 기린 집단은 수컷 새끼 한 마리만 남게 됐다.케냐 매체인 ‘더 이스트아프리칸’과 영국 ‘비비시(BBC)’ 등의 보도를 보면,...
-
유혈목이는 어떻게 남의 독으로 독사가 됐나 | 환경뉴스
2020.03.12
|두꺼비에서 독 얻어…지렁이 먹는 유혈목이는 반딧불이서 확보유혈목이는 하천 주변이나 경작지, 초지 등에서 흔히 만나는 아름다운 뱀이다. 녹색 바탕에 붉고 검은 점이 교대로 찍혀 ‘꽃뱀’ ‘화사’ 등으로 불리는 이 뱀은 독이 없는 뱀으로 종종 잘못 알려진다.이 뱀이 두꺼비로부터 독을 얻는다는 ...
-
표범에 젖꼭지 물린 아시아사자의 ‘모성애’ | 환경뉴스
2020.03.11
|보통은 죽이는 경쟁 관계, 모성 본능에 눈멀었을 가능성야생동물도 같은 종 또는 종의 벽을 뛰어넘어 남의 새끼를 기르는 ‘입양’ 행동을 한다. 그러나 경쟁 관계인 최상위 포식자 사이에서라면 상대 새끼를 돌보기는커녕 물어 죽이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보통이다.그러나 사자 어미가 경쟁 관계인 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