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 속 39조 마리의 미생물과 더불어 살기

조홍섭 2017. 08. 18
조회수 86832 추천수 0
우리 몸은 미생물과 더불어 사는 생태계
미생물 통해 자연과 인간 새롭게 보자 주장

512 (1).jpg
내 속엔 미생물이 너무도 많아
에드 용 지음, 양병찬 옮김/어크로스·1만9800원

우리 몸속에는 39조 마리의 미생물이 산다. 불청객이 아니다. 미생물은 동물이 출현하기 수십억년 전부터 지구에 살아왔고, 동물은 미생물과 공생하지 않고는 생존하지 못한다.
 
생물학 분야의 저명한 저널리스트인 지은이는 이 책에서 미생물을 통해 자연과 인간을 새롭게 볼 것을 주장한다. 동물의 몸은 그 자체가 수많은 미생물과 더불어 사는 생태계이며, 사람도 미생물과의 관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생물이 사람에게 얼마나 중요한지는 모유에 미생물을 먹일 영양분이 따로 들어있는 데서도 알 수 있다. 젖당과 지방에 이어 모유에서 세 번째로 많은 성분인 올리고당은 아기가 소화하지 못한다. 올리고당을 먹은 세균은 아기가 흡수하는 지방산을 방출하고 또 아기의 소화관과 면역계를 튼튼하게 해 준다.
 
지은이는 우리가 살아 꿈틀거리는 ‘미생물 아우라’에 둘러싸여 있다고 본다. 이 엄청난 수의 미생물 군단 가운데 일부만 몸속에 주둔할 뿐 나머지는 끊임없이 이동하고 변화한다. 가정마다 독특한 미생물 군집도 있다. 이사 가면 24시간 안에 미생물들이 새로운 집을 ‘우리 집’으로 만든다. 

반려견은 외부 세균을 끌어들이고 동거인 사이의 미생물 교환을 촉진해 집안의 미생물 다양성을 높인다. 개털의 먼지에는 알레르기를 억제하는 미생물이 들어있다.
 
프로바이오틱스, 대변 이식술 등 최근 미생물을 이용한 건강요법에 관심이 높다. 이 책은 미생물 효과를 예찬하기보다 그 배경인 생태학과 자연사를 냉정하게 들여다보고 있다.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마마의 마지막 포옹이 던진 질문…인간과 동물은 얼마나 다른가마마의 마지막 포옹이 던진 질문…인간과 동물은 얼마나 다른가

    조홍섭 | 2019. 08. 02

    프란스 드 발의 동물행동학 역작 “동물, 인지능력과 감정까지 보유” 공감·배려·협력은 사회성 포유류 특징 인간중심주의 벗고 ‘동물성’ 회복해야 “동물도 감정이 있을까?” 개나 고양이를 기르는 사람에게는 너무나 당연해 물을 가치도 없는 질문이다. 그...

  • 벌통 앞에서 바나나 먹으면 안 되는 이유벌통 앞에서 바나나 먹으면 안 되는 이유

    조홍섭 | 2018. 05. 23

    벌-그 생태와 문화의 역사(노아 윌슨 리치 지음, 김슨윤 옮김/ 연암서가, 2만원)꿀벌 경고 페로몬과 비슷한 냄새 풍겨…페로몬 막으려 훈연기 사용높이 나는 드론 수벌만 여왕봉과 짝짓기, 음경 폭발로 ‘비극적 행운’꿀벌 하면 달콤한 꿀과 따끔...

  • 바다에서 건져 올린 인문학바다에서 건져 올린 인문학

    조홍섭 | 2017. 04. 28

    멍게는 조개보다 척추동물에 가까워…바지락 해감은 놀라서 삼킨 것 도루묵 이름 유래에 식자 오만, 어민은 오래전부터 '은어' '도루묵' 불러      우리가 사랑한 비린내 -해양생물학자가 우리 바다에서 길어 올린 풍미 가득한 인문...

  • 사람 몸은 사람 것이 아니었네사람 몸은 사람 것이 아니었네

    조홍섭 | 2016. 12. 02

    몸은 사람세포 10배 ‘세균 생태계’, 가공식품 먹으면서 세균 다양성 낮아져김홍표 교수의 최신 진화생물학, ‘내 몸 속 바깥’ 소화기관의 기원 탐구사람은 찐빵과 도넛 가운데 어느 쪽에 가까울까. 생물학자는 도넛을 가리킨다. 입에서 위장과 창...

  • 생명 기원지에서 외계 생명체를 꿈꾸다생명 기원지에서 외계 생명체를 꿈꾸다

    조홍섭 | 2016. 09. 23

    내비가 "7시간 직진 후 좌회전" 안내하는 오지이자 생명 기원한 오랜 땅덩이지구에 산소와 철 선사한 남세균이 남긴 화석 찾으며 화성 탐사 준비하는 곳 지구는 46억년 전 탄생 직후 외계 행성과 대충돌을 일으켜 달이 떨어져 나갔다. 그 충...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