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못의 제왕, 왕잠자리의 4시간 탈피 지켜보니 | 사진
2016.04.29
|애벌레 껍질 째고 나오는데 3시간 반, 몸 말리고 단단하게 만드는데 또 반시간 물속 애벌레 생활 10개월 물고기 잡아먹는 포식자, 성체 되고도 연못 생태계 지배 어린 시절 연못 위를 빠른 속도로 날아가는 몸집이 크고 초록빛인 왕잠자리는 선망의 대상이다. 쉽게 곁을 허용하는 고추좀잠자...
-
독수리 번식지, 아득한 절벽 위 3m 둥지 | 사진
2016.04.28
|‘수리의 제왕’ 검독수리 번식지 알타이를 찾아 ④ 차간 우즌강 독수리 둥지풀 한포기 없는 아득한 절벽 위에 해마다 둥지 재활용산 먹이도 무서워하는 순둥이 어린 독수리 바닥에 납작 30년도 더 된 러시아제 미니버스(UAZ-2206)가 거친 엔진 소리를 내며 가파른 민둥산을 오르기 시작한 지 30여분. ...
-
격렬한 화산폭발 순간이 해안절벽에 고스란히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2016.04.27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7-2> 제주권-'화산학 교과서' 수월봉마지막 빙하기 1만8천년 전 습지 뚫고 마그마 폭발지질공원 지정 뒤 ‘명품관광’ 발길, 마을이 달라졌다 제주도 서쪽 끄트머리인 한경면 고산리에 수월봉이란 높이 77m의 야트막한 오름이 있다. 2010년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된 제...
-
반달곰, 기후변화로부터 산벚나무 구한다 | 환경뉴스
2016.04.26
|버찌 먹으며 산 위로 올라 산벚나무 자생지 연 300m 상승 효과온대지방 높은 산에만 적용, 가을 결실 나무엔 역효과 한계도 지구의 기온 상승에 맞서 식물이 살아남는 전략에는 두 가지가 있다. 날씨가 서늘한 고위도 지역으로 삶터를 옮기거나 마찬가지 효과가 있는 높은 곳으로 이주하는 것이다.&nb...
-
화성서도 똥은 오래된 미래 | 영화로 환경 읽기
2016.04.25
|영화로 환경읽기 5. <마션> 똥이 흙과 섞이면 자원이 되지만 수세식 화장실의 물과 섞이면 골칫덩이시야로부터 감출 뿐, "똥이 밥 되고 밥이 똥 되는" 순환과정 되살려야 이 글을 읽는 독자 가운데 많은 이가 영화 <마션>을 보았을 것이다. 더욱 풍성한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 아들과 ...
-
후투티가 더 큰 새끼에 ‘강제급식’하는 이유 [1] | 환경뉴스
2016.04.22
|먹이 등 환경조건 좋으면 보채는 새 먼저, 나쁜 상황에선 큰 새끼 먼저생존 가능성 더 중시한 결과…조사 대상 4분의 1에서 나타나 번식기를 맞은 새들은 바쁘다. 짝을 찾고 둥지를 만들어 알을 품기까지도 힘들지만 새끼가 태어나면 고행은 절정에 이른다. 쉬지 않고 보채는 새끼들을 먹여야 하기 때...
-
소백산 여우를 보호하라 | 환경뉴스
2016.04.22
|대구지방환경청이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소백산 여우’(사진)를 보호하느라 안간힘을 쏟고 있다.대구환경청은 지난 20일 경북 영주시 풍기읍 삼가리 소백산 중턱에서 영주시청, 국립공원관리공단 소백산사무소와 종복원기술원, 야생생물관리협회, 한국조류협회 등과 함께 산기슭을 샅샅이 뒤져 사냥기구의 일...
-
화학물질 사고, 작업자 책임 타령은 책임 떠넘기기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6.04.21
|작업자가 다루는 물질 위험성 모르거나 장시간 노동 등 작업여건 나쁜 경우 많아사고 예방하려면 위험정보 알리는 실효성 있는 교육 절실, 영세 사업장 상황 심각 근래 들어 화학물질 사고가 자주 언론의 주목을 끈다. 국내에서는 2012년 구미 불산사고 이후에도 전국 각지에서 염소, 염산, 불산, ...
-
팥죽 끓듯 한 제주에 마지막 불 뿜은 ‘세계적 수성화산’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2016.04.20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7> 제주권-송악산 제주도의 오해와 진실입니다 백록담 용암과 재 뿜어낸 한라산이 제주도를 만들었다고? 수많은 작은 화산체인 오름이 한라산의 기생화산이라고? 제주 땅의 절반 만든 100여개 수성화산 바닷가의 물기 많은 지층 마그마가 뚫...
-
[단독] 돌고래쇼 하다 풀려난 ‘삼팔이’ 야생번식 세계 최초 확인 | 환경뉴스
2016.04.18
|불법포획돼 3년간 갇힌채 쇼하다가방사 3년 만에 어미·새끼 유영 목격돌고래쇼를 하다가 야생 바다로 돌아간 돌고래가 번식에 성공한 사실이 세계 최초로 확인됐다.제주대-이화여대 돌고래 연구팀은 17일 “2013년 제주 앞바다로 돌아간 남방큰돌고래 ‘삼팔이’가 새끼를 데리고 다니고 있다”고 밝혔다.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