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련이 붕괴하자 흰죽지수리가 줄었다 | 사진
2016.04.18
|‘수리의 제왕’ 검독수리 번식지 알타이를 찾아 ③가축 방목 포기하자 초원 사라지고 주 먹이 땅다람쥐 부족유일한 먹이터는 고속도로 주변, 교통사고와 밀렵이 새 위협 넓은 러시아 땅에는 얼마나 많은 수의 흰죽지수리가 살고 있을까? 동행한 ’시베리아에코센터‘ 맹금류 전문가 이고르가 2009년 조사...
-
번식기 새 촬영, 새 처지에서 생각해 보세요 [6] | 윤순영의 자연의 벗
2016.04.15
|새끼 옮기거나 둥지가 훤히 드러나게 손 대는 등 사진윤리 어긋난 촬영 행태 이어져한밤중 플래시 터뜨리면 일시적 실명, 새끼 포기 못하는 어미는 불편 감수하고 있을 뿐자연의 사진을 찍으면서 피사체인 동물을 결과적으로 학대하는 행태가 근절되지 않고 있다. 겨울에는 두루미의 잠자리를 넘보며...
-
커피 찌꺼기로 친환경퇴비 17만 포대 만든다 | 환경뉴스
2016.04.14
|일반 생활폐기물과 함께 버려지는 ‘커피 찌꺼기(이하 커피박)’가 친환경 퇴비로 재활용된다.환경부는 14일 서울 종로 스타벅스 광화문역점에서 ㈜스타벅스커피코리아(이하 스타벅스), (사)자원순환사회연대와 함께 커피박을 모아 퇴비로 만드는 ‘커피박 재활용 활성화 시범사업 참여협약’을 체결한다고 13일 밝...
-
고인돌, 마애석불, 운곡습지 뿌리는 거대화산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2016.04.14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6-2> 고창8000만년 전 거대 화산활동 결과로 다량의 응회암과 유문암 형성구하기 쉽고, 단단하고 무늬 아름다워 고인돌·불상으로 제격 전북 고창군은 전남 신안군과 함께 행정구역 전체가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드문 곳이다. 관광자원을 잘 지켜 지역개...
-
“소나무만 남기고 아까시나무는 베어내야 할까요?” | 환경뉴스
2016.04.13
|‘남산숲가꿈이’ 교육 현장 가보니 밀원식물인 아까시나무 베면 곤충과 새까지 쫓아내는 셈 숲 해설사 중심, 모니터링부터 생태계 교란 식물 제거까지 “저런 애들의 흉고 직경은 어떻게 재나요?” 질문한 손가락이 가리키는 곳에 밑동에서부터 두 갈래로 갈라져 미끈하게 뻗은 소나무가 서 있다. 두 둥치의 ...
-
집에서 전기 농사 지어 미래 밝히는 ‘에너지 농부’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6.04.11
|“원전 없는 아이의 미래 위해 미니태양광 발전기 설치 어때요?”이번 총선에서 안전하고 윤리적인 에너지 지원하는 후보 뽑아야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사고 당사국인 일본뿐 아니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의 시민에게 원자력발전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후쿠시마 사고 이...
-
똑똑한 식물…때맞춰 꽃피우고 기억하고 속이고 | 조홍섭
2016.04.08
|중추신경계 없지만 잎, 줄기, 뿌리가 네트워크로 연결돼 고등기능 수행 미모사는 30일 뒤까지 기억…공동체 이뤄 햇빛 못 받는 나무에 양분 나누기도 봄은 밀려드는 꽃 물결과 함께 온다. 기후변화로 개나리 물결이 지나기도 전에 벚꽃이 밀려오는 혼란도 없지 않았지만, 산수유와 매화에서 시작...
-
직접 보면 안다, 우주인이 환경운동가가 되는 까닭 | 영화로 환경 읽기
2016.04.06
|영화로 환경읽기 4. <그래비티> 광활하고 위험한 우주에 견줘 지구의 생명 공간은 얇은 막처럼 취약우주로 나아갈수록 지구와의 연결 소중함 깨달아, 연결이 바로 삶 우주 vs. 지구 “우주 공간에서 지구를 직접 본 경험을 한 우주비행사들은 남은 평생을 지구를 보전하는 일을 하며 살...
-
후쿠시마 사고 5년, 원전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1]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6.04.05
|원전 국민의식, 41%가 “안전하지 않다”면서 85%는 “필요”위험 감수하는 원자력 대신할 재생에너지 등 대안 제시해야 2011년 3월11일 규모 9의 강진과 쓰나미로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일어난 지 5년이 지났다. 오는 4월26일이면 옛 소련, 지금의 우크라이나에서 체르노빌 원전사고가 일어난 ...
-
갈대에 갯벌 뺏긴 거위 원종 개리, 한강하구 떠난다 | 환경뉴스
2016.04.04
|갯벌과 습지 땅속에 머리 박고 여린 뿌리 캐먹는 습성 중요 먹이터 공릉천 하류 등 수위 조절로 갈대 조절해야 개리는 일산대교와 오두산 전망대 사이 사구에서 주로 겨울을 났다. 한강, 임진강, 염하강, 예성강이 합류하는 기수역인 오두산 전망대 앞 갯벌은 특히 개리의 주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