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인공지능은 인류를 지배할 것인가인공지능은 인류를 지배할 것인가 | 조홍섭

    조홍섭 | 2016.03.11

    알파고가 바둑에서 뛰어난 성과 거뒀을 뿐,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적능력 도달은 아냐 자동살상무기와 암치료 로봇 등 이용에 양면…문제는 기술발전의 불평등과 이용 방법 10일 이세돌 9단과 알파고 사이의 2번째 대국을 인터넷으로 생중계하면서 해설에 나선 프로기사들이 당황해하는 모습은 안쓰러울 정도였...

  • 옛 한탄강 따라 흐른 용암, 협곡 아래 돌베개 남겨옛 한탄강 따라 흐른 용암, 협곡 아래 돌베개 남겨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조홍섭 | 2016.03.09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5-1> 연천권-현무암 협곡   북한 680고지·오리산 화산 2번 분출 철원 70m, 전곡 30m, 문산 3m 깊이로  강줄기 따라 110㎞ 느릿느릿 흘러 물길 메우고 지류로 역류  부곡엔 용암호가 만든 재인폭포 절경 차탄천엔 25m 높이 웅장한 절벽  포천 영평천 ...

  • 동해·서해는 바다가 1억t 폐수처리장?동해·서해는 바다가 1억t 폐수처리장? | 환경뉴스

    신동명, 구대선 | 2016.03.09

    부산·울산·포항·군산 등 앞바다에28년간 육상 폐기물 20㎝이상 쌓여환경연합 “오염자 부담원칙 적용해야”1988년부터 지난해까지 28년 동안 동해와 서해 바다 3곳에 1억t 이상 육상폐기물이 버려져 폐기물이 바다 바닥에 20㎝ 이상 두껍게 쌓인 것으로 조사됐다.부산·울산·포항환경운동연합과 환경운동연합 바다...

  • ‘응답하라 2016’, 미세먼지의 추억‘응답하라 2016’, 미세먼지의 추억 | 환경상식 톺아보기

    장영기 | 2016.03.08

    지난 20년 간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황은 개선,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은 제자리문제는 경유차와 건설기계의 경유엔진, “그때는 마스크 하고 다녔지” 가능할까    얼마 전 한 텔레비전 방송에서 방영한 1988년을 배경으로 한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이 대중의 인기를 끌었다. 그 시대를 산 사람들에게는...

  • '수리의 제왕' 검독수리 번식지 알타이를 찾아'수리의 제왕' 검독수리 번식지 알타이를 찾아 | 사진

    김진수 | 2016.03.07

    러시아 보호단체와 3800킬로 동행…기상이변과 먹이부족으로 번식률 낮아 어린 검독수리 가락지 끼우기, 나무 타고 초원 달리는 힘겨운 노력 끝에 성공      지난 여름 러시아의 시베리아-알타이 지역 맹금류 탐조 여행을 했다. 거기서 검독수리를 포함해 대형 수리 다섯 종의 번식 장면을 모두...

  • 한반도는 애초 둘로 나뉜 땅이었다한반도는 애초 둘로 나뉜 땅이었다 | 조홍섭의 책꽂이

    조홍섭 | 2016.03.04

    고생물학자의 옛 땅이야기 ‘생생’ 남·북 중국 두 땅덩어리 충돌하면서 한반도 탄생 금강휴게소엔 ‘눈덩이 지구’ 흔적, 태백 이웃은 호주                                 10억년 전으로의 시간 여행-지질학자, 기록이 없는 시대의 ...

  • 서남해안 갯벌, 유네스코 자연유산 등재 추진서남해안 갯벌, 유네스코 자연유산 등재 추진 | 환경뉴스

    물바람숲 | 2016.03.03

    전남도 2018년까지 신청하기로10월 국제 학술대회 열어 연구서남해안 갯벌. 사진 신안군 제공서남해안 갯벌을 유네스코 자연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생물학적 지질학적 가치를 입증하는 연구사업이 추진된다.전남도는 2일 “2019년까지 신안·보성·순천·고창·서천 등지의 서남해안 갯벌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 제주 노루 적정 수준보다 1500마리 많다제주 노루 적정 수준보다 1500마리 많다 [1] | 환경뉴스

    물바람숲 | 2016.03.03

    도 연구원, 적정개체 6110마리 추정11일 노루 포획 시한 결정 토론회한라산 명물에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유해 야생동물로 추락한 제주도 노루의 적정 마릿수는 6100여마리라는 추정치가 나왔다.제주도 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은 관련 조례에 따라 한시적(2014.6~2016.6) 유해동물로 지정된 노루의 관리 기준을...

  • 간판 폐기물 목에 걸고 러시아로 떠난 팔당 큰고니간판 폐기물 목에 걸고 러시아로 떠난 팔당 큰고니 | 사진

    윤순영 | 2016.03.03

    지난달 말 입체간판용 고무 폐기물 목에 건 모습 팔당서 관찰 입 벌리고 비행, 목 부어 호흡 지장 받는 듯…낚시대 걸린 흰비오리도     목에 이상한 물체를 걸고 있는 큰고니가 발견됐다는 제보를 받았다. 김응성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남양주시 지회장이 팔당에서 2월25일 촬영한 큰고니였다...

  • ‘한국인 나무’ 소나무에 ‘철갑’…28년째 재선충과 전투‘한국인 나무’ 소나무에 ‘철갑’…28년째 재선충과 전투 | 인터뷰

    김정수 | 2016.03.02

    국내 1호 ‘재선충 박사’ 문일성 임업진흥원 모니터링센터장2006년 이후 확산 멈칫, 경계 늦춘 게 화근…동남부 국지전에서 전국 전면전으로올 들어 5곳 더 늘어, 107개 지자체로…지자체 뛰어넘는 감염은 인간 매개 탓    이 땅의 조상들은 소나무로 서까래를 얹은 집에서 태어났다.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