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댕기가 화려한 어부, 호사비오리의 팔당 월동기댕기가 화려한 어부, 호사비오리의 팔당 월동기 | 윤순영의 자연의 벗

    윤순영 | 2016.02.29

    발전 위해 물 흘려 얼지 않는 팔당 여울이 먹이터, 큰고니, 비오리 등과 먹이경쟁 세계 1천마리밖에 없는 멸종위기종, 자연 하천이 인공하천으로 바뀌면서 서식지 잃어     수도권 주민에게 식수를 공급하는 팔당호는 철새에게도 소중한 곳이다. 각종 희귀조류가 이곳에서 겨울을 난다.   12...

  • 핵전쟁 그후 오래된 미래, 희망은 씨앗뿐핵전쟁 그후 오래된 미래, 희망은 씨앗뿐 [1] | 영화로 환경 읽기

    안재정 | 2016.02.26

    [영화로 환경읽기] 매드 맥스(분노의 도로) 핵전쟁으로 몰락한 지구 무대로 펼쳐지는 디스토피아 세계성찰 없는 맹목의 성공 부추기는 사회, ‘발랄라’는 우리의 개발 청사진    <매드 맥스>가 다루고 있는 디스토피아적 미래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이하 <분노의 도로>)...

  • 1분에 42만년씩 1시간 동안 2500만년 시간여행1분에 42만년씩 1시간 동안 2500만년 시간여행 [1]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조홍섭 | 2016.02.25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4-2> 부산권-송도반도 중생대 퇴적층   분지였던 곳에 강이 흐르고 호수가 생겼다 메워지고  시간이 흘러 일본이 떨어져 나가고 동해가 열려    2㎞ 길이의 지질탐방로는 보기 드문 도심 ‘타임머신’  남쪽으로 가면 과거로, 북쪽으로 가면 현재로    들머리 ...

  • “섬진강 두껍아, 우리가 새 집 줄게”“섬진강 두껍아, 우리가 새 집 줄게” | 환경뉴스

    물바람숲 | 2016.02.24

    광양시, 비촌저수지 일대 2만2700㎡4억여원 들여 시민과 생태복원나서로드킬 막기 위한 이동통로 설치섬진강의 상징인 두꺼비를 지키기 위한 활동이 광양에서 펼쳐진다.전남 광양시는 23일 “섬진강 지류의 두꺼비 집단 서식지인 진상면 비평리 비촌저수지 일대 2만2700㎡의 생태계 복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

  • 광주시 ‘물오른 도시’ 만들기 본격화광주시 ‘물오른 도시’ 만들기 본격화 | 환경뉴스

    물바람숲 | 2016.02.24

    2017년까지 1억 들여 습지 46곳 조사생태환경 보전·관리계획 세우기로빗물저장·활용 시설 10월부터 사업각 가정 빗물 저장 돕는 조례도 준비광주시가 빗물을 잘 관리해 도시생태계가 살아나는 물순환 도시(‘촉촉한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환경단체와 손을 잡고 첫걸음을 내디뎠다.광주시는 2017년까지 1억원...

  • “법은 멀고 돈은 가깝고…”, 어민 참여해야 돌고래 보전“법은 멀고 돈은 가깝고…”, 어민 참여해야 돌고래 보전 [2] | 환경상식 톺아보기

    육근형 | 2016.02.23

    잘못 걸린 돌고래·물범 풀어줄 때 드는 비용이나 손해 보상 등 어민 배려 제도 시급그물에 혼획 막을 음향경고장치 설치…바다생물 가장 잘 아는 어민 지지 이끌어야    지난 해 여름 제돌이를 따라 제주 바다로 돌아간 남방큰돌고래 태산이와 복순이가 최근 제주 남서쪽 대정읍의 연안에서 함께...

  • 설악산 케이블카, 1982년 문화재위는 왜 불허했나설악산 케이블카, 1982년 문화재위는 왜 불허했나 [1] | 환경뉴스

    남종영 | 2016.02.20

    녹색연합 발굴 1982년 문서 “내설악 핵심지역 자연경관 크게 훼손될 것”문화재위원들, 두 차례 소신껏 반대…마지막 관문 문화재위 어떤 결정 내릴까   1982년 문화재위원회가 자연 훼손을 우려해 설악산 케이블카 설치 계획을 불허한 과정이 국가기록원 문서를 통해 드러났다. 강원도는 당시 불허 ...

  • ‘멸종위기’ 제주고사리삼 최대군락지 발견‘멸종위기’ 제주고사리삼 최대군락지 발견 [1] | 환경뉴스

    물바람숲 | 2016.02.19

    1속 1종인 세계적 희귀종거문오름 인근서 4000여 개체연중 녹색을 띠며 세계적으로 제주에서만 자라는 제주고사리삼의 최대 군락지(사진)가 발견됐다.제주도 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은 희귀·특산식물 분포지를 조사하던 중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일대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제주고사리삼의 최대 군락지보다 큰 군락...

  • 바퀴의 변신 능력, 키 4분의 1로 줄여 틈새 속으로바퀴의 변신 능력, 키 4분의 1로 줄여 틈새 속으로 [1] | 환경뉴스

    조홍섭 | 2016.02.19

    이질바퀴 실험, 키 4분의 1틈에서 다리 접고 정강이 가시로 밀며 기어 몸무게 900배 눌려도 끄떡없어…붕괴현장 투입 ‘바퀴 로봇’ 개발 착수  로버트 풀 미국 캘리포니아대 버클리 캠퍼스 통합 생물학과 교수는 1991년 놀라운 연구결과를 발표해 세계의 눈길을 끌었다. 이질바퀴(미국바퀴)가 전력 질주하...

  • 갈증 풀려고 한 시간 15회 짝짓기하는 ‘쌀 벌레’갈증 풀려고 한 시간 15회 짝짓기하는 ‘쌀 벌레’ [2] | 환경뉴스

    조홍섭 | 2016.02.18

    극도로 건조한 곡식창고 환경서 수분 확보 위한 행동수컷은 수분 상실로 수명 단축 대가…세계적 곡물 해충   ‘거짓쌀도둑거저리’란 낯선 이름을 가진 딱정벌레가 있다. 길이 2~3㎜에 적자색 광택이 나는 곤충인데, 실물을 보면 많이 본 벌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인도와 호주가 원산인 이 곤충은...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