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물오른 도시’ 만들기 본격화

물바람숲 2016. 02. 24
조회수 33361 추천수 0
00551402701_20160224.JPG » 광주시는 빗물을 잘 관리해 도시 생태계를 살리는 물순환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임곡습지 등 우수습지 46곳을 2017년까지 조사할 계획이다. 광주시 제공 2017년까지 1억 들여 습지 46곳 조사 생태환경 보전·관리계획 세우기로 빗물저장·활용 시설 10월부터 사업 각 가정 빗물 저장 돕는 조례도 준비 광주시가 빗물을 잘 관리해 도시생태계가 살아나는 물순환 도시(‘촉촉한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환경단체와 손을 잡고 첫걸음을 내디뎠다. 광주시는 2017년까지 1억원을 들여 광주지역의 우수한 습지 46곳을 대상으로 생태 현황 조사를 시작한다. 2010년 광주발전연구원이 조사해 발표했던 46곳의 우수 습지를 대상으로 멸종위기종 등 생태환경을 조사해 습지 보전·이용·관리계획을 세우기 위한 것이다. 이 과제는 환경부 지정 기관인 전남대 광주녹색환경지원센터가 수행한다. 광주시는 빗물을 잘 관리해 도시 생태계를 살리는 물순환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장록습지 등 우수습지 46곳을 2017년까지 조사할 계획이다. 광주시 제공 광주시는 빗물을 잘 관리해 도시 생태계를 살리는 물순환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장록습지 등 우수습지 46곳을 2017년까지 조사할 계획이다. 광주시 제공 김영선 광주전남녹색연합 습지위원(박사)은 “광주의 습지는 광주천, 영산강(황룡강)과 함께 광주가 물순환 도시로 가기 위해 꼭 보존해야 할 생태계의 보고다. 습지를 보존해 생물의 다양성을 살려가려면 물순환 체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시가 ‘빗물 저금통’ 구실을 하는 빗물 저류조 시설을 늘리는 것도 물 순환을 촉진하기 위해서다. 체육관·야구장 등 체육시설과 공공시설에 설치된 광주의 빗물 이용 시설은 24곳으로, 용량은 6031㎥이고 사용량은 8140㎥ 수준이다. 시는 국비와 시비 19억원을 들여 월드컵경기장과 광주공원 주변 등 2곳에 ‘그린 빗물 인프라 조성사업’을 위한 설계를 끝내고 10월부터 사업을 시작한다. 시가 매년 5억~10억원씩을 들여 주암호의 물 10만톤씩을 펌핑하는 등의 방식으로 광주천 유수량을 유지해왔지만, 근본적인 처방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광주시의회와 환경단체들은 광주를 물순환 도시로 조성하기 위해 시민참여형 조례 제정을 준비하고 있다. 조오섭·전진숙 광주시의원은 광주전남녹색연합 등 8개 환경단체와 공동으로 지난해 11월 광주습지 생물 다양성 세미나를 시작해 올해 말까지 다달이 한 차례 연다. 24일 오후 2시 광주시의회 1층 회의실에선 김흥식 호남대 교수가 ‘습지 생물 보존 및 활용을 위한 친환경 건설’을 주제로 강연한다. 전진숙 의원은 “광주시 및 환경단체들과 힘을 모아 시민 참여형으로 ‘광주광역시 물순환 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가칭)를 발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광주천의 건천화와 수질문제 악화도 왜곡된 물순환 체계를 개선해야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선 시민 주도형 물순환 시범사업을 실시하자는 주장도 나온다. 일본 도쿄도에선 조례를 제정해 집 지붕의 빗물을 받아 땅으로 흘려보내는 시설(빗물 저금통)을 설치하면 비용을 일부 지원하고 하수세를 깎아주고 있다. 도쿄도는 빗물 침투시설이 90% 이상 보급돼 말랐던 하천이 살아났다. 권경호 박사(한국먹는물안전연구원 도시물순환연구센터)는 “도시화에 따른 지하수 부족과 하천 수질 오염 등을 막기 위해 빗물을 머금고 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배수체계인 그린 인프라 개념이 중심이 된 저영향 개발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2017년까지 1억 들여 습지 46곳 조사
생태환경 보전·관리계획 세우기로
빗물저장·활용 시설 10월부터 사업
각 가정 빗물 저장 돕는 조례도 준비

광주시가 빗물을 잘 관리해 도시생태계가 살아나는 물순환 도시(‘촉촉한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환경단체와 손을 잡고 첫걸음을 내디뎠다.

광주시는 2017년까지 1억원을 들여 광주지역의 우수한 습지 46곳을 대상으로 생태 현황 조사를 시작한다. 2010년 광주발전연구원이 조사해 발표했던 46곳의 우수 습지를 대상으로 멸종위기종 등 생태환경을 조사해 습지 보전·이용·관리계획을 세우기 위한 것이다. 이 과제는 환경부 지정 기관인 전남대 광주녹색환경지원센터가 수행한다.

00551402801_20160224.JPG

김영선 광주전남녹색연합 습지위원(박사)은 “광주의 습지는 광주천, 영산강(황룡강)과 함께 광주가 물순환 도시로 가기 위해 꼭 보존해야 할 생태계의 보고다. 습지를 보존해 생물의 다양성을 살려가려면 물순환 체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시가 ‘빗물 저금통’ 구실을 하는 빗물 저류조 시설을 늘리는 것도 물 순환을 촉진하기 위해서다. 체육관·야구장 등 체육시설과 공공시설에 설치된 광주의 빗물 이용 시설은 24곳으로, 용량은 6031㎥이고 사용량은 8140㎥ 수준이다. 시는 국비와 시비 19억원을 들여 월드컵경기장과 광주공원 주변 등 2곳에 ‘그린 빗물 인프라 조성사업’을 위한 설계를 끝내고 10월부터 사업을 시작한다. 시가 매년 5억~10억원씩을 들여 주암호의 물 10만톤씩을 펌핑하는 등의 방식으로 광주천 유수량을 유지해왔지만, 근본적인 처방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광주시의회와 환경단체들은 광주를 물순환 도시로 조성하기 위해 시민참여형 조례 제정을 준비하고 있다.

조오섭·전진숙 광주시의원은 광주전남녹색연합 등 8개 환경단체와 공동으로 지난해 11월 광주습지 생물 다양성 세미나를 시작해 올해 말까지 다달이 한 차례 연다. 24일 오후 2시 광주시의회 1층 회의실에선 김흥식 호남대 교수가 ‘습지 생물 보존 및 활용을 위한 친환경 건설’을 주제로 강연한다. 전진숙 의원은 “광주시 및 환경단체들과 힘을 모아 시민 참여형으로 ‘광주광역시 물순환 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가칭)를 발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광주천의 건천화와 수질문제 악화도 왜곡된 물순환 체계를 개선해야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선 시민 주도형 물순환 시범사업을 실시하자는 주장도 나온다. 일본 도쿄도에선 조례를 제정해 집 지붕의 빗물을 받아 땅으로 흘려보내는 시설(빗물 저금통)을 설치하면 비용을 일부 지원하고 하수세를 깎아주고 있다. 도쿄도는 빗물 침투시설이 90% 이상 보급돼 말랐던 하천이 살아났다. 권경호 박사(한국먹는물안전연구원 도시물순환연구센터)는 “도시화에 따른 지하수 부족과 하천 수질 오염 등을 막기 위해 빗물을 머금고 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배수체계인 그린 인프라 개념이 중심이 된 저영향 개발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물바람숲
‘물바람숲’은 다양한 분야와 전문성을 지닌 필자들이 참여해 펼치는 환경 담론의 장이고자 합니다. 이곳은 환경 이슈에 대한 현장 보고, 사진과 동영상, 논평, 뒷 얘기, 문제제기, 토론과 논쟁이 소개되는 마당입니다. 필자들은 환경 담론의 생산자로서 더 많은 사람들이 논의에 참여하도록 이끄는 ‘마중물’ 구실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