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해가 열리던 2000만년 전 바닷가에 핀 돌꽃 [3]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2016.02.03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3-2> 경주 방사상 주상절리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 희귀 2㎞에 걸쳐 서거나 눕고 펼쳐져 있어 일본이 한반도에서 떨어져 나가던 신생대 제3기 마이오세 화산활동 활발 용암이 수직으로 분출하다 식어 화도에서 수평방향으로 퍼져 ...
-
명태 이어 말쥐치·병어·옥돔 되살린다 [1] | 환경뉴스
2016.02.01
|해수부, 사라진 물고기 살리기 프로젝트 대문어·대게·낙지·주꾸미·연어 등도 추진 지난해 명태 살리기에 이어 올해부터는 말쥐치, 병어, 옥돔 등 사라진 물고기들을 되살리는 사업이 추진된다.29일 해양수산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16년 주요 업무 계획’을 발표했다. 이 내용을 보면, 해수부는...
-
‘기름악몽’ 걷어낸 태안, 세계적 공원됐다 [1] | 환경뉴스
2016.02.01
|세계자연보전연맹, 국립공원 격상“국제사회가 생태계 회복노력 인정”백도 등 3곳 학술엄정보호구역으로2007년 12월7일 아침 태안해안국립공원 앞 바닷가로 달려간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들은 할 말을 잃었다. 유조선 허베이스피리트호에서 새나온 기름으로 검게 뒤덮인 해변이 옛 모습을 회복하리라고는 누구도 ...
-
‘악마 구멍 물고기’의 역설, 절멸 방치해야 하나 [1] | 환경뉴스
2016.01.29
|데스밸리 지하수 서식 희귀 담수어, 수백년 전 홍수 때 이웃 지하수서 이동 개별 집단은 절멸해도 이웃 집단과 주기적 유전자 교류 통해 종 생존 드러나 지구에서 가장 덥다는 미국 네바다주 모하비 사막에 있는 데스밸리는 물고기가 있을 법하지 않은 곳이다. 그런데 이곳에 세계에서 가장 ...
-
중국 5천년 전 한때 삵 길렀다 [1] | 환경뉴스
2016.01.28
|5천년 전 산시성 신석기 농가서 발굴…먹이 주고 묻어주고, 특별 대접 중동서 길들인 고양이 퍼지면서 맥 끊겨, 벵골 고양이 품종은 삵 잡종 삵 혹은 살쾡이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에서 널리 볼 수 있는 소형 고양이과 포식자다. 고양이보다 몸집은 약간 작지만 쥐, 개구리, 새 등 ...
-
한 걸음에 20억년 시간여행…그 틈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3]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2016.01.27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3-1> 영덕 24억년 부정합 단세포 생물이 주인이던 원생대 공룡 포효가 울려 퍼지던 백악기 편암과 역암 두 지층 맞붙어 20억년 오르내리던 원생대 지층 수억년 전 마지막 융기 그 위 모든 지층들 침식돼 사라지고 백악기 때 다시 가라앉아 그 ...
-
‘27만년’ 주상절리 한철 송어축제탓 훼손 우려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2016.01.27
|국가지질공원 지정 임진강변 인근연천군이 민간업체에 점용허가 줘인공빙벽 만들고 대형얼음 낚시터차량 통제구역엔 임시주차장까지 “이러려고 국가지질유산 지정했나”주민·환경단체 ‘환경파괴’ 비판경기도 연천군 ‘송어낚시축제’를 위해 민간업자가 국가지질공원인 임진강변 주변에 물을 뿌려 인공빙벽을...
-
4대강 치유, 강에게 맡겨라 [9]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6.01.25
|강은 결국 제 갈 길로 간다…그래야 홍수 통제와 생태계 보전, 수질 정화 효과 해체비 2천억, 유지관리비 수조원보다 싸, 아름다운 강 되살리면 집값도 올라 4대강을 현재 상태로 유지하자면 관리비가 많이 든다. 강바닥을 준설 한 지 1년 후에 대한하천학회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낙동강에 ...
-
공룡의 생존전략 "청소년기 생존전략, 조류와 닮아" [1] | 취재수첩
2016.01.22
|원병묵 교수, 수학모델로 계산'인간과 유사' 기존 이론 뒤집어청소년기에 폭풍성장하는 공룡의 생존 전략은 사람이 아닌 큰 조류와 닮았다는 사실을 국내 공학자가 밝혀냈다.원병묵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및 나노과학기술학과 교수는 22일 “공룡은 청소년기가 2~18년으로 길고 하루 2㎏씩 폭발적으로 몸집을...
-
악어에 물려가며 호주 오지서 신종 물고기 20종 발견 [1] | 환경뉴스
2016.01.22
|서북부 킴벌리 지역 협곡에 헬기 타고 접근해 조사 호주 전체 담수어종 10% 늘어, 생물다양성의 보고 생물학자가 신종을 발견해 학명에 자신의 이름을 올리는 것은 학자로서 큰 영예이다. 특히 아직도 새로운 발견이 잇따르는 곤충 등 무척추동물이 아니라 이미 거의 모든 발견이 이뤄진 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