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삶도 일도 같이 또 따로, 자연과 더불어 ‘행복한 불편’ [1] | 환경뉴스
2016.01.20
|보은 생태공동체 선애빌 마을 직업도 종교도 다 다른 22가구 40명 명상동호회 인연으로 마음 모아 형편대로 수백만원에서 수억원까지 돈 내 법인 만들고 땅 2만평 사 돈 액수 관계없이 동등한 권리 똑같은 형태·크기로 집 지어 1인당 월 19만원 내 공동 생활비로 주식 100%, 부식 ...
-
자연보존협회 총재 박근혜의 빚 [4] | 조홍섭
2016.01.19
|실천보다 말 잔치 그친 고도성장기 환경정책, 협치 깬 MB 이어 박 정부 70년대 회귀 관 주도 자연보호운동, 쓰레기 줍고 외래어종 풀고…가리왕산, 설악산 파괴로 이어져 1952년 3천명의 조기 사망자를 낸 ‘런던 스모그’에 충격을 받은 선진국은 발 빠르게 대책에 나섰다. 영국은 1956년,...
-
우리 동네 유해화학물질, 알아야 지킨다 [1]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6.01.18
|보팔 사고가 계기…배출업체 위치, 배출물질 종류와 양, 독성 등 검색 가능기업에는 배출량 줄이는 압력으로 작용…정부 시스템 불친절 아쉬워 ■ 사고만 문제는 아니다 근래 들어 화학물질 사고가 자주 언론에 소개된다. 국내에서는 2012년 구미 불산 사고 이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의 누출...
-
지구는 새로운 지질시대 접어들었나 [2] | 조홍섭
2016.01.15
|정상이라면 현재는 빙하기여야, 앞으로 5만~10만년 동안 빙하기 없어인류의 온실가스 탓…플루토늄, 플라스틱, 콘크리트 등 ‘테크노 화석’ 남겨 약 2만년 전 마지막 빙하기가 맹위를 떨쳤다. 바다의 수분이 육지 빙하로 쌓이면서 해수면은 지금보다 120m나 낮아졌다. 그 바람에 황해는 육지로 변했고...
-
장수하늘소 멸종위기 벗어난다 [1] | 환경뉴스
2016.01.14
|자연상태에서 알→성충 5~7년16개월로 줄인 사육기술 개발멸종위기종인 장수하늘소의 사육기간을 기존의 3분의 1로 줄인 사육기술이 개발돼 대량증식 길이 열렸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2014년 8월 중국에서 수컷 1개체, 암컷 2개체를 수입해 사육기술 연구에 들어가 알에서 성충까지 16개월 만에 자랄...
-
19억년 전 대륙충돌 기억 감춘 ‘범 바위’ [1] |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2016.01.12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2-2> 무주·진안권-무주 구상화강편마암 야산 중턱에 표범이 웅크리고 있는 것 같은 바위 돌 안에 돌이 들어 있다 화강암 안에 회색·녹색의 둥근 무늬가 촘촘히 어찌 보면 꽃이 피어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주민들이 ‘꽃돌’이라 부르는 천연기념물로 ...
-
“설악산 지킴이 23년째 ‘케이블카’ 상상조차 할 수 없다” [2] | 인터뷰
2016.01.12
|인터뷰: 환경인상 받은 설악산지킴이 박그림씨 지난해 조건부 승인 이후 석달째 도청 앞 농성 산양 좇아 설악산 사나이로, "손자에게 물려주고파" 한국환경기자클럽은 해마다 연말 투표를 통해 그해 환경 분야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사람이나 단체를 ‘올해의 환경인’으로 뽑아 격려한다. 지난해에는 설...
-
산란기 수백마리 떼지어 방정, 말짱 도루묵될라 [2] | 생생 수산물 이야기
2016.01.11
|이름 유래 수수께끼, 임금 무관하게 어민이 쓰던 이름인 듯복원과 조업부진, 갯녹음 겹쳐 해변에 알더미 떠밀려와 썩어 어떤 일을 죽을힘을 다해 했다가 한순간의 실수 따위로 허사가 되었을 때, “에이~ 말짱 도루묵 됐네…”라고 곧잘 말한다. 거기에 왜 이 말이 나왔는지도 친절...
-
식물도 방귀 뀐다, 미모사 뿌리 건드리면 ‘뿡’ [2] | 환경뉴스
2016.01.08
|만지면 뿌리털에 난 미세한 자루 보관 황화합물 가스 분출 유리나 쇠로 건드리면 무반응, 어떻게 차이 알고 왜 분출 몰라 식물원 온실이나 관상용으로 널리 기르는 미모사라는 열대식물이 있다. 브라질 원산의 콩과 식물인데, 손으로 만지면 깜짝 놀라는 것처럼 잎을 내려뜨리는 모습이 신기...
-
화석연료 이별은 나의 실천으로부터 [1]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6.01.07
|에너지 절약 실천하는 시민의식이 기업과 정부 바꾼다 파리 합의로 석탄 82%, 석유 33%는 지하에 그대로 두어야 지난해 12월12일 파리에서 열린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파리 합의문’이 채택되었다. 이 합의문은 넓게는 인류에, 좁게는 우리나라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 걸까? 파리 합의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