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령도 점박이 물범을 구하라”

물바람숲 2015. 12. 22
조회수 24361 추천수 1
정부가 백령도에 사는 점박이물범을 지키기 위한 활동에 나섰다.

21일 해양수산부는 한국과 랴오둥만(보하이만), 산둥반도를 오가는 점박이물범을 보호하기 위해 ‘종합관리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을 보면, 앞으로 정부는 △점박이물범 숫자 변화 감시와 감소 원인 밝힘 △인공 사육, 증식 기술 개발과 서식 환경 개선 △그물걸림 줄이기와 구조, 치료 강화를 통한 생존율 높임 △교육, 홍보를 통해 보호 인식 높임 △주변국과 국제기구와의 협력 강화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런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한국의 점박이물범이 오가는 중국과 공동으로 조사, 연구해 숫자 감소 원인을 발고, 어린 물범의 사망율을 낮추기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또 한국과 중국 외에 일본과 러시아까지 참가하는 ‘동북아 물범 보호 토론회’를 열 계획이다. 이밖에 국제기구를 통해 북한 바다에서 물범의 서식 실태도 조사할 계획이다.

점박이물범은 황해와 베링해, 오호츠크해 등 북태평양 온대와 한대에 주로 산다. 한국에 사는 점박이물범은 겨울에 랴오둥만에서 새끼를 낳고 봄~가을에는 백령도와 황해도 일대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30년에는 8천마리 정도가 한국에 살았으나, 1980년대 2300마리, 2000년대 이후에는 1000마리 이하로 줄었다. 현재 백령도 부근에서 사는 점박이물범은 200~300마리 정도다.

국내에서 보호 대상 해양 동물로 등록된 종류는 모두 52종이며, 그 중 해양 포유류는 점박이물범과 바다사자, 큰바다사자, 물개, 고리무늬물범, 띠무늬물범, 혹등고래, 북방긴수염고래, 귀신고래, 브라이드고래, 보리고래, 참고래, 대왕고래, 향고래, 남방큰돌고래 등 15가지다.

세종/김규원 기자 che@hani.co.kr, 사진 해양수산부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물바람숲
‘물바람숲’은 다양한 분야와 전문성을 지닌 필자들이 참여해 펼치는 환경 담론의 장이고자 합니다. 이곳은 환경 이슈에 대한 현장 보고, 사진과 동영상, 논평, 뒷 얘기, 문제제기, 토론과 논쟁이 소개되는 마당입니다. 필자들은 환경 담론의 생산자로서 더 많은 사람들이 논의에 참여하도록 이끄는 ‘마중물’ 구실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얼굴에 손이 가는 이유 있다…자기 냄새 맡으려

    조홍섭 | 2020. 04. 29

    시간당 20회, 영장류 공통…사회적 소통과 ‘자아 확인’ 수단 코로나19와 마스크 쓰기로 얼굴 만지기에 어느 때보다 신경이 쓰인다. 그런데 이 행동이 사람과 침팬지 등 영장류의 뿌리깊은 소통 방식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침팬지 등 영장류와 ...

  • 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쥐라기 바다악어는 돌고래처럼 생겼다

    조홍섭 | 2020. 04. 28

    고래보다 1억년 일찍 바다 진출, ’수렴 진화’ 사례 공룡 시대부터 지구에 살아온 가장 오랜 파충류인 악어는 대개 육지의 습지에 산다. 6m까지 자라는 지상 최대의 바다악어가 호주와 인도 등 동남아 기수역에 서식하지만, 담수 악어인 나일악어...

  • ‘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과일 향 추파’ 던져 암컷 유혹하는 여우원숭이

    조홍섭 | 2020. 04. 27

    손목서 성호르몬 분비, 긴 꼬리에 묻혀 공중에 퍼뜨려 손목에 향수를 뿌리고 데이트에 나서는 남성처럼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수컷도 짝짓기철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과일 향을 내뿜는다. 사람이 손목의 체온으로 향기를 풍긴다면, 여우원숭이는 손목 분...

  • 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뱀을 향한 뿌리 깊은 공포, 새들도 그러하다

    조홍섭 | 2020. 04. 23

    어미 박새, 뱀 침입에 탈출 경보에 새끼들 둥지 밖으로 탈출서울대 연구진 관악산서 9년째 조사 “영장류처럼 뱀에 특별 반응” 6달 된 아기 48명을 부모 무릎 위에 앉히고 화면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보여주었다. 꽃이나 물고기에서 평온하던 아기...

  • 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금강산 기암 절경은 산악빙하가 깎아낸 ‘작품'

    조홍섭 | 2020. 04. 22

    북한 과학자, 국제학술지 발표…권곡·U자형 계곡·마찰 흔적 등 25곳 제시 금강산의 비경이 형성된 것은 2만8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 때 쌓인 두꺼운 얼음이 계곡을 깎아낸 결과라는 북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북한의 이번 연구는 금강산을...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