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횡성 피라냐 발견, 제6의 대멸종 전조인가횡성 피라냐 발견, 제6의 대멸종 전조인가 | 조홍섭

    조홍섭 | 2015.07.24

    대륙 충돌이 부른 대멸종, 인류는 생물 옮겨놓기로 재현…멸종속도 114배 관상용 도입으로 외래종 2천종 넘어, 기르던 동물 처리·처분 대책 시급     생물다양성 세계의 금언은 “흩어지면 살고 뭉치면 죽는다”이다. 고립과 격리는 새로운 종을 탄생시키지만 통합은 어느 한쪽의 멸종을 불러오기 십상이...

  • 산악관광? 4대강 삽 이젠 산 노린다산악관광? 4대강 삽 이젠 산 노린다 [4] | 조홍섭

    조홍섭 | 2015.07.23

    산악관광 활성화에 경제계와 정부 의기투합, 규제완화해 '절경에 호텔' 추진 문화와 지역참여가 대세인데 시설에만 관심…다음달 설악산 케이블카 '신호탄'      미국 서부 오리건주에 있는 크레이터 레이크 국립공원은 해마다 50만명 이상이 찾는 유명 관광지다. 백두산 천지처럼 생겼지만...

  • 물에 잠길 키리바시, '마지막 한 조각 땅 살리겠다'물에 잠길 키리바시, "마지막 한 조각 땅 살리겠다" [1] | 인터뷰

    김정수 | 2015.07.22

    인터뷰/ 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불안한 기후난민 전락 원치 않아, 교육 통해 ‘존엄한 이주’ 준비 중주권국가 포기 못해, 미래 식량확보 위해 피지에 24㎢ 땅 구입도     태평양 적도 날짜변경선 부근에 있는 인구 10만5000여명의 키리바시는 국토 대부분이 평균 해발고도 2m의 작은 산호섬들로 ...

  • 모기가 당신을 찾는 방법…처음엔 코 다음엔 눈모기가 당신을 찾는 방법…처음엔 코 다음엔 눈 | 환경뉴스

    조홍섭 | 2015.07.20

    50m 밖서 후각으로 이산화탄소 감지, 시각으로 목표 찾아 1m 안쪽선 체온과 체취로 표적 결정…눈에 띄는 옷 피해야      모기는 포유동물이 호흡할 때 내쉬는 이산화탄소를 감지해 피를 빨 목표를 찾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바람에 쉽사리 흩어지는 이산화탄소를 멀리서 감지해 그 원천...

  • 공작 같은 신종 공룡, <쥐라기 공원> 랍토르는 ‘털 뽑힌 닭’공작 같은 신종 공룡, <쥐라기 공원> 랍토르는 ‘털 뽑힌 닭’ | 사진

    조홍섭 | 2015.07.17

    중국 동북지방서 현란한 깃털 덮인 벨로키랍토르 친척 화석 발견 비행 아닌 과시용 추정…잇단 깃털공룡 발견으로 공룡 모습도 진화     스필버그의 영화 <쥐라기 공원>에서 관객들을 공포에 몰아넣은 건 거대한 포식자 티라노사우루스보다 작지만 영악한 육식공룡 벨로키랍토르였다. 그러나 1...

  • 독성 없다고 안전할까? 잔류성과 농축성도 봐야독성 없다고 안전할까? 잔류성과 농축성도 봐야 [1] | 환경상식 톺아보기

    이동수 | 2015.07.16

    당장 독성 없고 소량이지만 돌이킬 수 없는 피해 주는 유해물질 많아 몸속에 최고 1억배 농축도, 정보 많은 생산자와 정부 책임 막중    ■ 암은 대표적 만성적 영향  유해물질이 공기나 물, 식품에서 검출되거나 누출사고 등으로 뉴스를 장식하다가 “그 양이 기준치 이내여서 영향이 미미하다”는...

  • ‘민둥 바다’…울릉도·독도 포함 동해안 62%에 갯녹음‘민둥 바다’…울릉도·독도 포함 동해안 62%에 갯녹음 | 환경뉴스

    조홍섭 | 2015.07.15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동해안 갯녹음 첫 항공 정밀조사 결과 여의도 66배 면적 피해, 10년 새 3배 늘어…'바다 녹화' 시급   바다 밑 암반에 다시마, 미역, 모자반 같은 해조류가 뿌리를 내리고 울창하면 물고기가 많이 모입니다. 이 해조는 일년생이어서 여름이면 녹아 없어지고 이듬해 봄에 포자에...

  • 시속 15m로 이동, 게으른 판다를 위한 변명시속 15m로 이동, 게으른 판다를 위한 변명 | 환경뉴스

    조홍섭 | 2015.07.14

    하루 14시간 대나무 먹지만 섬유질 분해 세균 없어 17%만 섭취 생존 비결은 극도로 적은 에너지 소비, 나무늘보와 비슷한 대사율     자이언트판다는 인기 있는 전시동물이자 생물다양성 보전의 상징이다. 귀여운 외모와 함께 느린 동작과 대나무만 먹는 채식 습성이 그런 이미지를 만들었다...

  • 전파로 박쥐 유인하는 식충식물, '여관 공생'전파로 박쥐 유인하는 식충식물, '여관 공생' | 환경뉴스

    조홍섭 | 2015.07.13

    식충식물은 박쥐에 낮잠 터 제공, 박쥐는 배설물로 보답 접시 안테나 같은 벌레잡이 통 반사판으로 박쥐에 전파 신호     보르네오에는 토탄이 쌓인 습지가 열대림에 뒤덮여 있다. 산성에 영양분이 너무 부족한 이곳 토양에 사는 일부 식물은 벌레를 잡아 질소를 얻는다. 피처 잔처럼 생긴 통을...

  • 책임 작은 사람이 먼저 겪는 기후변화 고통책임 작은 사람이 먼저 겪는 기후변화 고통 | 환경상식 톺아보기

    이수경 | 2015.07.09

    정부 2030 온실가스 감축계획…책임 큰 산업계는 끝까지 배려, 부담은 국민이 나눠 져 에너지 다소비, 비효율 산업구조 놔두고 "에너지효율 세계 최고라 감축 어렵다" 주장    40여년만의 가뭄이라더니 소양호는 30여 년 전 수몰되었던 마을과 집터까지 드러냈다. 모내기철인 봄에는 가뭄이 계속되고 수...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