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린피스 “원전 말고 딴거”, 부산항 입항 | 환경뉴스
2015.10.14
|"아름다운 나라, 멋진 사람들 위험 놓여 안타까워요" 활동가 선원 입 모아“340만명 영향권에 세계 최대 원전단지 웬 말” “원전 대신 재생에너지를” “한국은 정말로 아름다운 나라이고, 한국인들은 정말 멋진 사람들입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나라와 멋진 사람들이 위험에 처해 있다는 것은 정말 ...
-
씨앗을 영양 똥처럼 위장, 쇠똥구리 속여 땅에 묻게 | 환경뉴스
2015.10.13
|남아공 벼목 식물의 쇠똥구리 상대 속임수 전략 확인씨앗의 크기와 형태는 물론 배설물 냄새까지 진짜와 빼닮아 식물이 번식을 위해 동물을 속이는 일은 흔하다. 어떤 난의 꽃은 암컷 벌 무늬를 갖춘데다 페로몬까지 풍겨 수벌을 끌어들이고 그 과정에서 꽃가루받이를 한다. 그런데 씨앗...
-
수천킬로 고향 하천 돌아와, 먹지도 않고 사랑 몰두 | 황선도 박사의 물고기 이야기
2015.10.12
|황선도 박사의 연어 이야기 ① 알래스카서 돌아온 방랑자 자기장 감지해 회귀한 뒤 냄새로 고향 하천 찾아가, 귀향 날짜까지 정확해바다서 비축한 체력으로 산란에 매진, 입벌리고 파르르 떨면서 절정 맞은 뒤 죽어 젊은 시절 잘나갈 때 노래방에서 내 18번은 강산에의 <라구요>였다. ...
-
4대강 맹독 녹조, 안 보인다고 사라진 것 아니다 [10] | 환경상식 톺아보기
2015.10.08
|남조류 맹독 눈에 안 보여도 바닥에 가라앉아 그대로 남아수문 열어 물 흐르면 녹조 해결, 신곡수중보 하류가 보여줘 4대강 공사 후에 낙동강, 영산강, 금강에 나타났던 녹조가 올해는 한강에도 창궐하더니 가을까지도 그 맹위를 떨쳤다. 녹조는 4대강 사업을 반대하던 전문가들이 이미 경고...
-
남서해안 하구 원형, 생명의 보고 탐진강 하구 | 환경뉴스
2015.10.07
|환경과학원 27개 하구 생태계 조사지 중 생물다양성 가장 풍부, 1131종바다와 만남 가로막는 하굿둑 없고 주변산지 등과 생태적 연결 잘된 덕 하구는 강의 종착지다. 긴 여정을 끝낸 강물은 하구에서 바닷물과 뒤섞여 사라진다. 강이 강으로서 생명을 다하는 하구 지역은 다른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
-
서로 망봐주고 사냥, 물고기도 사회성 있다 | 환경뉴스
2015.10.07
|산호초 물고기 먹이 사냥에 같은 종 또는 다른 종과 협동 잇따라 밝혀져청소물고기는 '명성'까지 신경 써, 복잡한 인지능력 이전에 협동 발달 가능성 흔히 물고기는 둔하고 사회성 없는 찬피동물로 그려진다. 그런 선입견이 차츰 깨지고 있다. 지적이고 사회성 있는 물고기가 발견되고 있다. 상대방...
-
나와 지구의 건강을 위하는 '걸어서 출근하기' [1] | 조홍섭
2015.10.06
|3년 반 체험해 보니 육체적, 정신적 만족감 커…공원길과 대중교통 결합이 요령자동차 중심의 도시 절감…횡단보도 자동차 양보 없고, 이면도로 가운데로 걸으면 '불법' 사람은 걷는 동물이다. 300만년 전 아프리카에 살았던 인류의 조상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두뇌 크기는 침팬지만 했지만...
-
‘바람 타는 새’ 참매 육아, 85일 관찰기 [2] | 윤순영의 자연의 벗
2015.10.02
|참매 부화·이소 85일 관찰기 청설모, 다람쥐, 두더지,어치 등 40여일 동안 새끼 4마리가 120마리 먹어 솔가지 물어와 먹이 찌꺼기 세균 감염 막아…기다린 정성인가, 산삼 발견도 바람을 타는 새, 참매는 진정한 사냥꾼이다. 꼬리는 방향 조절과 정지 역할을 하고 발...
-
모래강 고유종 흰수마자, 낙동강 본류서 사라졌나 [7] | 환경뉴스
2015.09.30
|지난해 환경과학원 모니터링서 낙동강 본류 서식 개체 확인 안돼전문가 “우리나라 담수어류 중 절멸 위험 최고, 서식지 회복 시급” 흰수마자라는 물고기가 있다. 6~10㎝의 홀쭉한 몸체에 네 쌍의 흰 수염을 길러 제법 위엄을 갖춘 듯한 모습이지만, 조금만 위협을 느끼면 강바닥 모래 속에...
-
지구 반바퀴 이동 잠자리 사냥 달인 비둘기조롱이 [3] | 환경뉴스
2015.09.29
|동아시아 번식 남아프리카 월동, 대양 횡단 중안 이동 중 잠자리떼 포식멧비둘기 무늬의 맹금류, 현란한 비행으로 곤충 사냥해 공중서 먹기도 우리나라에서 드물게 관찰되는 나그네새 비둘기조롱이는 장거리 이동으로 유명한 맹금류다. 동북아시아에서 번식한 뒤 남아프리카에서 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