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해주에 ‘표범 나라’ 생겼다 [4] | 사진
2012.04.12
|러시아, 연해주 남부에 최초 표범 국립공원 지정 북한산 33배 넓이에 아무르호랑이 10마리도 서식…한국표범의 마지막 보루 ▲수컷 아무르표범.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대형 고양잇과 동물의 하나다. 사진=세계자연보호기금(WWF) 러시아 지부. 한국표범의 마지막 서식지인 러시아 연해주 남부에 표범...
-
관광객은 들어와도 취재는 안 돼? [12] | 취재수첩
2012.04.11
|10일 이포보 녹조류 취재 기자들, 시공업체서 막무가내 방해 여기자 폭행 이어 휴대전화 뺏는 등 횡포 기승…당국은 뒷짐만 ▲10일 이포보를 취재하던 <한국방송> 취재진을 대림산업 직원이 가로막고 있다. 4대강은 사진을 찍으면 안 되는 곳일까? 4대강 시설물에 대한 취재 방해가...
-
매화나무와 매실나무는 뭐가 다르지? [1] | 조홍섭의 책꽂이
2012.04.09
|이유미 박사의 <내 마음의 나무 여행>, 우리 주변 정감어린 나무 이야기 듬뿍 산수유는 산에 없고 진짜 목련은 제주에만 살아, 앵두 열리는 나무는 앵도나무 ▲가장 먼저 봄을 알리는 풍년화. 꽃의 풍성함으로 그 해의 풍흉을 점쳤다. 봄기운이 완연해지면서 나무들이 꽃망울과 겨울눈을...
-
마다가스카르 동물들의 표류기 | 조홍섭
2012.04.07
|400㎞ 떨어진 아프리카서 `뗏목' 타고 표류…포유류·식물 90%가 고유종 원주민도 인도네시아서 표류해 도착, 서해 섬 구렁이 많은 것도 홍수 때문? ▲마다가스카르의 여우원숭이. 약 5000만년 전 아프리카에서 표류한 한 종의 영장류가 100여 종으로 분화했다. 사진=위키미디어 코먼스. 어...
-
“비굴하게 살지 않겠다”는 이름 가진 물고기 [1] | 황선도 박사의 물고기 이야기
2012.04.06
|황선도 박사의 물고기 이야기 ③ 조기 서해 대표 생선, '으뜸 물고기'에서 이름 유래 조기떼 우는 소리로 밤잠 설치던 칠산 바다…자원회복과 생태관광으로 되살려야 ▲조기를 말리기 위해 엮어놓은 모습. 사진=정용일 기자 서해의 대표 생선 조기 동해에서 명태가 남해에서 멸치가 유명하...
-
길이 9m, 무게 1.4t의 거대한 ‘깃털 티라노’ 공룡 있었다 | 환경뉴스
2012.04.05
|중국 랴오닝 성서 거의 완벽한 화석 발견, 소형 공룡만 깃털 통설 뒤집어 길이 15~30㎝ 깃털 온몸에 빽빽…보온용 추정, 수컷 장식깃 가능성도 ▲거대 깃털 공룡 유티라누스 상상도. 그림=브라이언 추. 중생대가 막을 내리면서 멸종한 대형 포식공룡 티라노사우루스의 조상은 작은 몸집의 두 ...
-
스치는 우연, 절묘한 인연 [5] | 김성만의 봄마다 피어나는 새싹처럼
2012.04.04
|채색과 유하의 한반도 도보 여행기 ⑤ 원주 한알 학교 장일순 선생이 맺어준 고리, ‘유하’와 ‘한알’ 그 대안학교에는 ‘삽질’이라는 과목도 있다 부론성당 교육관은 따뜻했다. 그런 방을 나서는 게 내심 아쉬웠다. 아침을 간단히 먹고서 방을 나왔다. 사제관 벨을 ...
-
북한, `생태 재앙' 치유 나선다 [4] | 환경뉴스
2012.04.03
|김정은 체제 이후 첫 국제 회의 '산림 및 경관 회복 토론회' 열어…8개국 14명 북한 둘러봐 한반도 긴장 속 과학 통한 협력 돌파구 기대, "북한 전문가 초청하고 싶다" ▲산림 회복에 관한 국제회의가 지난 7~9일 평양에서 한-미 키 리졸브 군사훈련이 한창인 가운데 열렸다. 사진=류종...
-
거미는 왜 제 거미줄에 안 걸리나, 파브르도 몰랐다 | 조홍섭
2012.03.31
|파브르의 '기름 분비' 설명 100년 유지…'설마 대가가 틀렸을까' 스미스소니언 열대연구소, 가늘고 억센 털과 조심스런 발놀림 때문 밝혀 ▲호랑거미의 일종이 오른쪽 뒷다리를 끈적끈적한 거미줄에서 떼어내고 있다. 거미줄 하나를 치려면 이런 동작을 수백, 수천번 반복해야 한다. 사진=프랭크 스타...
-
꿀벌 길 잃고 여왕 줄고, 저공해 살충제 악영향 드러나 | 환경뉴스
2012.03.30
|<사이언스> 현장연구 두 편 실려…침투성 살충제 미량 노출돼도 치명적 영향 옥수수 등 저농약 살충제로 세계에 널리 쓰여, 미 환경보호청 등 규제 검토 나서 ▲농약에 노출된 꿀벌이 길을 잃지 않고 벌통에 돌아오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프랑스 연구진이 초소형 발신기를 부착한 꿀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