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느 피폭 낙농가의 외침, "히로시마처럼 우리 아이도 차별받겠지요" [2] | 환경뉴스
2012.01.18
|우유 짜 버리면서 울고, 소 도축하러 보내며 또 울고… 농사 불가능한데 과학자들은 안전 타령만 2012년 1월 13일, 일본의 평화운동단체인 피스보트가 마련한 후쿠시마 답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다츠시 임시 주거지역을 방문했다. 그곳에서 방사능 오염이 심해 이주를 해온 이이다테무라의 마에다구 ...
-
4대강 홍보관 거짓 사진…그들도 부끄러웠나 [49] | 환경뉴스
2012.01.16
|이포보 전시관, 삽질한 사진을 공사 전 사진으로 사업 후 사진도 수문 닫으면 물에 잠길 모습 담아 ▲여주 이포보 홍보관 내 공사전후 비교사진. 사진=이항진(여주환경운동연합) ▲사업 전 사진. 초록색 그물망에 있는 것이 나무들이다. 즉, 나무를 다 베어낸 뒤의 사진을 두고 '사업 전'이...
-
히말라야 오지에서 발견한 생태개발의 미래 | 조홍섭의 책꽂이
2012.01.16
|가난하고 척박한 환경에서도 행복하게 사는 사람들 개발과 함께 빈곤하다 느껴, 생태개발 시동 책 제목부터가 심상치 않았다. 미래라는 단어의 시제는 언제나 미래여서 오래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직감적으로 미래의 대안으로 전통을 선택한다는 뜻 같았다. 아니나 다를까 책을 읽어보니 라다크 ...
-
비욘세 파리를 아십니까 [3] | 사진
2012.01.16
|황금색 배가 아름다운 소등에 '비욘세' 학명 붙여 1981년 비욘세 태어나던 해 발견 ▲'비욘세 파리'. 오스트레일리아 북동부에서 발견된 소등에의 일종이다. 사진=CSIRO. 미국의 유명 팝 가수이자 여배우인 비욘세의 이름을 딴 파리가 나왔다. 호주 연방 과학산업 연구기구(CSIRO)는 지난...
-
’4대강’으로 보기 힘들어진 강의 예술 | 사진
2012.01.13
|뉴질랜드 남섬을 흐르는 라카이아 강의 모습. 단정한 강변 농지와 리본을 흐트러놓은 듯한 강의 흐름이 아름답다. 뉴질랜드 최대의 곡류로 150킬로미터를 흘러 태평양으로 들어간다. 4대강 사업은 강 안의 이런 퇴적층을 ’누런 지방층’이라며 모두 걷어냈다. 이 사진은 디지털글로브란 기업이...
-
원전 대국 프랑스의 새 안전 패러다임, ‘하드 코어’를 지켜라 [1] | 환경뉴스
2012.01.13
|절대 안전 도그마 포기, 중대 사고 때 피해 최소화 위해 핵심 시설 보강 프랑스 원자력안전청, 올 상반기 중 166억 달러 투자 예정 ▲프랑스 카트놈의 원전 단지. 중대 사고에 대비한 대대적 보완이 올 상반기에 이뤄질 예정이다. 사진=위키미디아 커먼스. 유럽 각국은 지난해 3월...
-
새끼 손톱 안에 넉넉히 올라앉는 초소형 개구리 발견 [2] | 사진
2012.01.12
|대왕고래의 3천분의 1 길이, 진드기 등 작은 벌레 먹어 열대우림 낙엽층 새로운 초소형 개구리 서식지로 주목 ▲가장 작은 미국 주화인 다임 위에 올라앉은 초소형 개구리 '패도프리네 아마우엔시스’ 성체의 길이는 평균 7.7㎜이다. 사진=<플로스 원>. 사람처럼 등뼈가 있는 동물을 가리키...
-
황조롱이가 쥐에게 주는 충고, "가끔은 위도 보라" [9] | 김성호의 자연 곁에서 거닐다
2012.01.12
|작은 맹금류 황조롱이의 묘기, 공중 정지비행 깃털 미세 조정해 네 가지 힘 비기게 만들어, 최장 22분까지 지속 ▲정지비행 중인 황조롱이. 아래를 내려다보는 눈이 날카롭다. 매과의 맹금류 중에서 덩치가 아주 작은 황조롱이는 작은 몸집을 극복하는 무척 신기한 능력을 개발했습니다. 다름...
-
땅속에서 벌레 사냥하는 식물 발견 [2] | 환경뉴스
2012.01.11
|브라질 열대 사바나 질경잇과 식물, 끈끈이 잎으로 땅속 선충 잡아먹어 영양분 부족한 척박한 땅에서 포식자로 진화 ▲땅속 벌레잡이 식물의 잎에 들러붙은 길쭉한 소형 토양동물인 선충의 모습. 사진=PNAS. 브라질에서 아마존 열대우림에 이어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생태계는 ‘세라도’...
-
일본산 생선서 세슘·요오드…정부는 그래도 "안전" [1] | 환경뉴스
2012.01.11
|후쿠시마 원전 사고 10달 지났지난 여전히 검출, 정부는 기준치 아래면 적합 주장만 전문가, 내부 피폭에는 허용치 없다, "검출된 것 자체가 문제" ▲후쿠시마 원전 사고 한 달 뒤인 지난해 4월10일 서울 중구 봉래동 롯데마트 서울역점에서 품질관리사가 동해와 남해산 수산물에 대해 휴대용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