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발하는 이상기상, 4대강은 무사할까

조홍섭 2010. 10. 01
조회수 11239 추천수 0
img_01.jpg

추석 연휴 직전인 지난 16일 충남 태안군 안면도 자연휴양림에서는 강풍에 꺾이거나 넘어진 소나무의 넋을 위로하는 제사가 열렸다. 고려와 조선에 걸쳐 나뭇가지 하나가 부러져도 조정에 보고하며 아끼던 안면송이 무려 7500그루나 졸지에 죽었기 때문이다. 피해를 당한 소나무의 나이가 대개 80~100살이니, 지난 100년 동안 없었던 엄청난 일이 벌어진 것이다. 주민들은 한 달 동안 1년 내릴 비가 쏟아져 지반이 물러진 상태에서 강풍을 만나 나무가 맥을 못 추었을 것으로 짐작했다.
 
평생 한 번 볼까 말까 한 기상현상을 1년에 몇 번씩 겪는 세상이 됐다. 정초인 1월4일 서울에는 73년 만에 가장 많은 25.8㎝의 눈이 내렸다. 드물게 쌀쌀한 봄을 보낸 뒤엔 폭염과 잦은 비로 얼룩진 여름이 찾아왔다. 장마철이 끝난 8월~9월24일 사이에는 1주일에 네댓새꼴인 36일 동안 비가 왔다. 1907년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처음 있는 일이었다. 강수량도 역대 2위의 기록이었다. 광화문 이순신 동상 일대를 물바다로 만든 한가위 폭우도 서울의 9월 하순 하루 강수량과 1시간 강수량 관측기록을 갈아치웠다. 올겨울 날씨가 벌써 걱정스러울 정도다.

올해만의 현상도 아니다. 기상청의 분석을 보면, 연평균 강수량은 1970년대에 견줘 2000년대에 12%나 늘었고 집중호우 발생은 1.7배 증가했다. 이처럼 변덕스러워진 날씨의 원인을 캐들어가면 결국 기후변화에 닿는다.


기후변화가 무서운 건 불확실성 때문이다. 여태까지 쌓아온 경험과 준비가 한순간에 쓸모없어진다. 이상기상은 밭 갈고 씨 뿌리는 농부의 시간감각을 배반할 뿐 아니라, 과거의 데이터를 근거로 만든 하수도·제방 등 홍수방지시설을 비웃는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대비하려고 서두른다는 4대강 사업은 오히려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강에 일련의 거대한 보를 세워, 물을 미리 담아둬야 하는 가뭄 대비와 미리 비워야 하는 홍수 대책 모두에 쓰겠다는 발상은 세계 어디서도 실제로 적용한 적이 없다. 정부는 우리의 아이티(IT) 기술로 해낼 수 있다고 큰소리를 치지만, 첨단기술로 자연을 제압하겠다는 오만이 기후변화 시대에도 먹힐지는 의문이다.


운영 노하우가 축적돼 있는 다목적댐도 기후변화 앞에선 운에 기댄다. 2006년 7월17일 500년 빈도의 기록적 폭우가 충주댐 유역에 내렸을 때 충주댐이 넘치거나 여주와 서울이 물에 잠기지 않았던 것은, 댐을 기준 수위 아래로 미리 비워 놓았고 비구름이 더 머물지 않고 남하했기 때문이었다. 수자원 전문가들은 당시 재앙을 피할 수 있었던 것은 순전히 운이 좋았기 때문이라고 평가한다.
 
만일 4대강의 보가 모두 완공된 뒤 수자원 확보를 위해 보마다 물을 가득 채워 놓았는데 갑자기 폭우가 내리거나, 높이 10여m에 너비 40m가 넘는 보의 철제 갑문이 이상홍수 때 작동을 하지 않는 사고가 난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지 아찔하다.

4대강 공사 현장을 둘러본 일본의 원로 하천전문가인 이마모토 히로타케 교토대 명예교수도 “상상을 초월하는 홍수 앞에서 낙동강의 보 9기를 연동해서 적절히 통제하지 못한다면 보는 수해를 부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홍수로 떠내려온 나무로 수문이 고장나거나, 몇 개의 수문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여파가 낙동강 전체로 확산되는 최악의 사태를 경고했다. 가끔 천재가 닥치던 낙동강은 이제 엄청난 인재가 잠복한 강이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대규모 준설도 불확실성을 높인다. 강바닥은 그저 아무렇게나 생긴 게 아니다. 수백~수천년 동안 물살에 이리저리 쓸리며 이뤄진 평형 상태인 것이다. 강바닥을 파내 그 균형을 깨뜨리면 강은 원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 꿈틀거린다. 정상보다 깊게 파낸 곳은 메우고 높아진 곳은 깎아낸다. 남한강 지류인 여주 연양천의 신진교가 하상이 깎이면서 붕괴한 것은, 강의 첫 반격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조홍섭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태그 :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시베리아서 낙동강까지, 열목어 대이동의 비밀시베리아서 낙동강까지, 열목어 대이동의 비밀

    조홍섭 | 2017. 04. 10

    빙하기 시베리아서 남하, 아무르강 거쳐 2만년 전 한반도로최남단 서식지 낙동강 상류에 고유 집단 잔존 가능성 커북극해서 놀던 ‘시베리아 연어’한강과 낙동강 최상류 찬 개울에는 커다란 육식성 민물고기가 산다. 한여름에도 손이 저릴 만큼 차...

  • 브렉시트, 기후변화 대응에 불똥 튀나?브렉시트, 기후변화 대응에 불똥 튀나?

    조홍섭 | 2016. 07. 01

    파리협정 이행 갈길 먼데, '기후 리더' 영국 빠진 유럽연합 동력 상실 우려기록적 가뭄→시리아 난민사태→브렉시트→기후대응 약화 악순환되나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가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갖는지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공통적인 견...

  • 화학물질 참사 막으려면, 틀린 경보가 묵살보다 낫다화학물질 참사 막으려면, 틀린 경보가 묵살보다 낫다

    조홍섭 | 2016. 06. 03

    `가정 독물'인 살생물질 관리에 특별한 대책 필요…디디티 교훈 잊지 말아야과학적 불확실성 있어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 예상되면 조기경보 들어야  아침에 쓴 샴프나 손에 든 휴대전화, 금세 썩지 않는 나무의자에는 모두 화학물질이 들어있다....

  • 차로 치고 새끼 유괴하고…고라니의 잔인한 봄차로 치고 새끼 유괴하고…고라니의 잔인한 봄

    조홍섭 | 2016. 05. 06

    IUCN 취약종 지정, 체계적 조사 없이 우리는 매년 15만마리 죽여세계서 중국과 한국이 자생지, 중국은 멸종위기에 복원 움직임  야생동물을 맞히는 퀴즈. 수컷의 입에는 기다란 송곳니가 삐져나와 “흡혈귀 사슴”이란 별명이 붙어 있다. 가장 원...

  • 똑똑한 식물…때맞춰 꽃피우고 기억하고 속이고똑똑한 식물…때맞춰 꽃피우고 기억하고 속이고

    조홍섭 | 2016. 04. 08

    중추신경계 없지만 잎, 줄기, 뿌리가 네트워크로 연결돼 고등기능 수행 미모사는 30일 뒤까지 기억…공동체 이뤄 햇빛 못 받는 나무에 양분 나누기도     봄은 밀려드는 꽃 물결과 함께 온다. 기후변화로 개나리 물결이 지나기도 전에 벚꽃이 ...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