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e나라지표 www.index.go.kr


명종위기야생동식물.jpg



[지표설명]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개념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은 자연적으로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되거나 현재의 위협 요인이 제거 또는 완화되지 아니할 경우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야생동·식물로서환경부장관이 정하는 종을 말함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1급 :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멸종위기에 처한 종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Ⅱ급 :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현재의 위협요인이 제거되거나 완화되지 않을 경우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종

 

■ 지표의 의의 및 활용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지표는 생태계의 건강성을 보여주는 척도의 하나로 기능

 

   - 특정한 종이 멸종위기에 처할 경우 그 종의 기능이 약화되고, 그 영향은 먹이사슬 전반으로 파급되어 결국 생태계 내 생물종 다양성을 저해하여 생태계의 평형 파괴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을 지표로 관리하는 최종 목적은 멸종위기종 지정이 아니라 해제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보호관리를 통해 생물종의 멸종을 예방

 

  ° 적극적인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증식·복원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건강한 생태계를 회복

 

   - 증식·복원을 통해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존속이 보장되어야 그 종이 서식하는 넓은 서식권 내 다양한 동·식물종의 생존도 담보 가능

 

 

[지표해석]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현황 ('12년 현재)

 

  ° 총 246종 지정(Ⅰ급 51종, Ⅱ급 195종)  

 

구          분

멸종위기 Ⅰ급

멸종위기 Ⅱ급

합       계

246

51

195

포   유   류

20

11

9

조         류

61

12

49

양서파충류

7

2

5

어         류

25

9

16

곤   충   류

22

4

18

무척추동물

31

4

27

식         물

77

9

68

해   조   류

2

-

2

고 등 균 류

1

-

1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동향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은 환경부장관이 종의 특성, 서식 분포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대상종을 지정

 

   - '98년 : 194종

 

   - '05년 : 221종('06~'11년 신규지정 및 해제 내역 없음)

 

   - '12년 : 246종

      (신규지정) 경기·충청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수원청개구리’, 환경부 지정 서식지외보전기관에서 복원중인 ‘따오기’ 및 개체수가 적은 ‘금자란’ 등 57종을 멸종위기종으로 신규 지정.

      (해제) 절멸된 ‘바다사자’, 도래 개체수가 많은 ‘가창오리’(연간 60∼100만 개체) 및 국내에서 발견되지 않는 ‘황기’ 등 32종은 멸종위기종 목록에서 해제.

      (재지정) 호랑이, 황새 및 미호종개 등 189종은 개체 수 및 개체군 수가 적거나 분포지역이 제한돼 있어 멸종위기 야생동·식물로 지속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는 전문가 의견에 따라 멸종위기종으로 재지정 했다.

  

 

 

■ 국제 비교(한반도 북한)

 

구   분

포유류

조   류

양   서

파충류

어   류

곤충류

무척추

동   물

식   물

해조류

고등

균류

한   국

246

20

61

7

25

22

31

77

2

1

북   한

183

36

100

14

33

-

-

-

-

-

 

 ※ 북한은 Ⅰ전멸종, Ⅱ 전멸위기종, Ⅲ 위기종, Ⅳ희귀종으로 구분

 

 ■ 향후 대책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보전을 통하여 국내 생물종 다양성 제고

 

  ° 서식지 보호·관리, 주기적인 조사 및 변화상 파악, 증식·복원을 통하여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보전 추진

 

  °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증식·복원 종합계획('06~'15)에 따른 단계별 증식·복원을 통하여 멸종위기 해소 추진

 

  ° 관련 학계 및 전문가, 서식지외보전기관, NGO 등 민간단체, 지자체 등과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으로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보전·관리의 실효성 제고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559 [에세이] 섭생의 의미 1-5 고충녕 2012-10-28 11650
558 산림복지 기본선 제안 토론회 imagefile 조홍섭 2012-10-27 12328
557 2012년 환경활동가 교육 워크샵 참가자 모집 imagefile 조홍섭 2012-10-26 10948
556 가축 3997마리를 "일괄 폐기처분" 한다니 조홍섭 2012-10-26 11410
555 가을 모기 어우... [1] beat7 2012-10-26 11565
554 제1회 산양의 날 행사 및 산양 보전 세계 심포지엄 imagefile 조홍섭 2012-10-25 22247
553 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지원 사업 공모 imagefile 조홍섭 2012-10-24 11811
552 국립수목원 ‘터 100년’ 심포지엄 개최 imagefile 조홍섭 2012-10-24 11606
» 우리나라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얼마나 될까요? imagefile jjang84 2012-10-24 20989
550 제28회 우이령포럼 '산림생태의 최대 보고, 가리왕산이 부서진다' 조홍섭 2012-10-23 13058
549 자연이야? 연출이야? image [1] wonibros 2012-10-23 11776
548 [에세이] 선배 그러면 안 돼 3-3 고충녕 2012-10-20 13016
547 사용후핵연료 국제세미나-세계의 재처리 정책 현황과 한국의 파이로 프로세싱 imagefile 조홍섭 2012-10-19 11787
546 [에세이] 선배 그러면 안 돼 2-3 고충녕 2012-10-19 14487
545 대선 후보들의 환경,에너지 정책 토론회 조홍섭 2012-10-18 11510
544 [화보] 새로운 가족을 기다립니다 imagefile 물바람숲 2012-10-18 13634
543 [에세이] 선배 그러면 안 돼 1-3 고충녕 2012-10-18 12281
542 영화 '고요히 파국으로' - 핵에너지의 진짜 얼굴 꽃송이가 2012-10-15 54506
541 제11회 환경책 큰잔치 조홍섭 2012-10-10 11598
540 지리산 인문학 여행 / 2012.10.11~11.1 imagefile jjang84 2012-10-08 14420

인기글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