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e나라지표 www.index.go.kr
[지표설명]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개념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은 자연적으로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되거나 현재의 위협 요인이 제거 또는 완화되지 아니할 경우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야생동·식물로서환경부장관이 정하는 종을 말함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1급 :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멸종위기에 처한 종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Ⅱ급 :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현재의 위협요인이 제거되거나 완화되지 않을 경우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는 종
■ 지표의 의의 및 활용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지표는 생태계의 건강성을 보여주는 척도의 하나로 기능
- 특정한 종이 멸종위기에 처할 경우 그 종의 기능이 약화되고, 그 영향은 먹이사슬 전반으로 파급되어 결국 생태계 내 생물종 다양성을 저해하여 생태계의 평형 파괴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을 지표로 관리하는 최종 목적은 멸종위기종 지정이 아니라 해제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보호관리를 통해 생물종의 멸종을 예방
° 적극적인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증식·복원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건강한 생태계를 회복
- 증식·복원을 통해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존속이 보장되어야 그 종이 서식하는 넓은 서식권 내 다양한 동·식물종의 생존도 담보 가능
[지표해석]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현황 ('12년 현재)
° 총 246종 지정(Ⅰ급 51종, Ⅱ급 195종)
구 분 | 계 | 멸종위기 Ⅰ급 | 멸종위기 Ⅱ급 |
---|---|---|---|
합 계 | 246 | 51 | 195 |
포 유 류 | 20 | 11 | 9 |
조 류 | 61 | 12 | 49 |
양서파충류 | 7 | 2 | 5 |
어 류 | 25 | 9 | 16 |
곤 충 류 | 22 | 4 | 18 |
무척추동물 | 31 | 4 | 27 |
식 물 | 77 | 9 | 68 |
해 조 류 | 2 | - | 2 |
고 등 균 류 | 1 | - | 1 |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동향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은 환경부장관이 종의 특성, 서식 분포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대상종을 지정
- '98년 : 194종
- '05년 : 221종('06~'11년 신규지정 및 해제 내역 없음)
- '12년 : 246종
(신규지정) 경기·충청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수원청개구리’, 환경부 지정 서식지외보전기관에서 복원중인 ‘따오기’ 및 개체수가 적은 ‘금자란’ 등 57종을 멸종위기종으로 신규 지정.
(해제) 절멸된 ‘바다사자’, 도래 개체수가 많은 ‘가창오리’(연간 60∼100만 개체) 및 국내에서 발견되지 않는 ‘황기’ 등 32종은 멸종위기종 목록에서 해제.
(재지정) 호랑이, 황새 및 미호종개 등 189종은 개체 수 및 개체군 수가 적거나 분포지역이 제한돼 있어 멸종위기 야생동·식물로 지속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는 전문가 의견에 따라 멸종위기종으로 재지정 했다.
■ 국제 비교(한반도 북한)
구 분 | 계 | 포유류 | 조 류 | 양 서 파충류 | 어 류 | 곤충류 | 무척추 동 물 | 식 물 | 해조류 | 고등 균류 |
---|---|---|---|---|---|---|---|---|---|---|
한 국 | 246 | 20 | 61 | 7 | 25 | 22 | 31 | 77 | 2 | 1 |
북 한 | 183 | 36 | 100 | 14 | 33 | - | - | - | - | - |
※ 북한은 Ⅰ전멸종, Ⅱ 전멸위기종, Ⅲ 위기종, Ⅳ희귀종으로 구분
■ 향후 대책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보전을 통하여 국내 생물종 다양성 제고
° 서식지 보호·관리, 주기적인 조사 및 변화상 파악, 증식·복원을 통하여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보전 추진
°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증식·복원 종합계획('06~'15)에 따른 단계별 증식·복원을 통하여 멸종위기 해소 추진
° 관련 학계 및 전문가, 서식지외보전기관, NGO 등 민간단체, 지자체 등과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으로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보전·관리의 실효성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