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최북단 바닷가 장식한 화강암의 최후

조홍섭 2016. 07. 18
조회수 63458 추천수 0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11-2> 강원평화권-능파대, 서낭바위
세월이 빚은 화강암 조각품의 ‘백화점’
벌집처럼 구멍 숭숭, 항아리처럼 움푹

능1.jpg »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문암진리 해안에 펼쳐진 대규모 화강암 풍화지형인 능파대. 안개와 소금기가 화강암을 깎아 빚은 조각품이다. 곽윤섭 선임기자 kwak1027@hani.co.kr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암석은 화강암이다. 특히 2억1000만~1억5000만년 전 사이에 만들어진 쥐라기 화강암(대보 화강암)은 남한 면적의 거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화강암은 쉽게 보는 돌이지만 그 탄생과 우리 곁에 나타나기까지의 과정은 간단치 않다. 화강암은 대륙충돌과 같은 큰 지각변동이 일어날 때 지하 수십㎞에서 형성된 심성암이다. 
 
고4.jpg » 대보화강암 분포도. 진명식 외 <한반도의 화성암과 화성활동>(2005)

마그마가 어떻게 화강암이 되는지 길영우 전남대 교수(지질학)의 설명을 들어보자.
 
“땅속 깊은 곳의 마그마는 주변의 밀도가 낮아지면 지표를 향해 솟아오르기 시작한다. 풍선을 떠올리면 된다. 풍선 안에는 주변 공기보다 가벼운 공기가 들어있어 떠오른다. 주변과 밀도가 비슷해지면 풍선은 상승을 멈춘다. 화강암의 거대한 덩어리가 지하에서 상승을 멈춘 뒤 서서히 식어 굳으면서 안에 든 석영, 장석, 운모 등의 광물 입자가 자란다. 그러다 지각이 솟아오르거나 지표가 오랜 세월에 걸쳐 깎여나가면 화강암 덩어리는 지표로 드러난다.”

고온 고압 환경에서 태어난 화강암은 온도와 압력이 낮은 지표에 나오면 수분 등의 영향으로 쉽사리 풍화된다. 바닷가에서는 소금기가 풍화를 더욱 가속한다. 암석 광물 사이에 낀 소금 결정이 수분을 흡수해 팽창했다가 수분을 잃으며 수축하는 과정에서 단단해 보이던 화강암은 빵조각처럼 부풀어 오르고 떨어져 나간다. 
 
능5.jpg » 여러 개의 타포니가 연결돼 벌집 모양이 됐다. 능파대. 곽윤섭 선임기자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문암진리에 있는 능파대는 화강암이 모래가 되기 전 마지막으로 빚어내는 기기묘묘한 풍화 산물의 전시장이다. 애초 섬이다가 문암천에 쓸어온 퇴적물로 육지와 연결된 능파대는 ‘파도를 이기는 바위’란 이름대로 화강암 암반이 파도와 소금기와 맞선 흔적이 1.5㎞ 범위에 걸쳐 펼쳐져 있다.

특히, 이곳에는 암석이 풍화돼 벌집처럼 구멍이 숭숭 뚫린 ‘타포니’와 항아리처럼 구멍이 움푹 파인 ‘나마’ 지형이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나타나 있다. 타포니 등 화강암의 풍화 지형은 서울 인왕산 선바위, 목포 갓바위, 진안 마이산 등 전국에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성의 타포니처럼 넓은 지역에 걸쳐 다양하게 펼쳐진 곳은 드물다.
 
능3.jpg » 능파대의 화강암이 틈새를 중심으로 수직과 수평으로 풍화돼 두부모처럼 잘린 모양. 곽윤섭 선임기자

이곳에서 화강암은 푸석돌이 돼 풍화에 굴복하지 않는다. 소금기와 안개에 조금씩 무너져내리고 난 고갱이는 끝까지 견뎌 주름지고 패인 모습이지만 바닷가에 전시장에 마지막 화강암 조각품을 빚어내는 것처럼 보인다.
 
최돈원 박사(강원도 환경과)는 “수중에서 이곳 암반을 보면 타포니와 나마가 나타나지 않아 공기 속의 파도와 소금기가 원인임을 짐작할 수 있다”며 “안개가 자주 끼는 이 지역의 기상도 소금 풍화를 부추기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고1.jpg » 송지호 해안의 화강암 암반. 바위에 난 틈새를 중심으로 풍화됐다. 곽윤섭 선임기자

능파대에서 10㎞ 북쪽인 송지호 해안에도 ‘서낭바위’란 이름의 비슷한 화강암 지대가 펼쳐진다. 화강암의 틈이 두부 모처럼 갈라지거나 밀가루 반죽처럼 긴 고랑을 이루는 등 다양한 풍화 지형이 드러나 있다. 
 
특히, 이곳에는 풍화된 화강암을 뚫고 들어온 규장암의 적갈색 암맥이 눈길을 끈다. 약 8300만년 전 이미 굳은 화강암의 틈새로 마그마가 뚫고 들어왔다. 화강암보다는 얕은 지하에서 관입해 비교적 빨리 식은 이 암석에는 석영이 많이 포함돼 있어 화강암보다 단단하다.

고2.jpg » 적갈색 규장암이 화강암을 파고든 서낭바위 일대 모습. 주민들이 당제를 지내는 곳이다. 곽윤섭 선임기자
 
주민들이 당제를 지내는 독특한 모양의 부채바위가 형성된 것도 화강암을 파고든 규장암 덕분이다. 사람 머리 모양의 커다란 화강암 바위를 가는 규장암이 위태롭게 버티고 있다. 

고3.jpg » 독특한 형태의 부채바위. 목 부분의 규장암이 단단해 큰 화강암 바위를 지탱하고 있다. 그러나 주민들이 바위가 떨어질 것을 걱정해 콘크리트로 목 부위를 보강해 놓았다.
 
길영우 교수는 “규장암이 화강암보다 침식에 잘 견뎌 가는 목으로 부채바위를 지탱하고 있다”며 “만일 규장암 암맥이 없었다면 머리 부분의 화강암은 화강암 암반에 놓인 흔들바위가 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성(강원도)/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싸이월드 공감
  • 추천
  • 인쇄
  • 메일
조홍섭 기자
20년 넘게 환경문제를 다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전문기자를 역임했으며 웹진 물바람숲의 운영자입니다. 인간과 자연의 공존, 과학기술과 사회 문제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네이버에 <한반도 자연사>를 연재했고 교육방송(EBS)의 <하나뿐인 지구>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메일 : ecothink@hani.co.kr       트위터 : eco_think      

최신글




최근기사 목록

  • 1억년전 도마뱀 발자국 남해군서 세계 최초 발견1억년전 도마뱀 발자국 남해군서 세계 최초 발견

    물바람숲 | 2016. 09. 08

    국립문화재연구소 8일 발표 전세계 한번도 보고된 적 없는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미국 서부 산쑥도마뱀 발자국과 닮아‘네오사우로이데스 코리아엔시스’로 명명지금으로부터 1억년 전 공룡시대에 살았던 도마뱀의 발자국 화석이 세계 최초로 한반도...

  • 한라산 생성 연대는?…백록담 첫 시추한라산 생성 연대는?…백록담 첫 시추

    허호준 | 2016. 09. 08

    제주도 세계유산본부고기후 환경 분석 위해백록담 분화구에 3개공 뚫어결과는 11월 말 나올 예정한라산의 생성연대와 제주도의 고기후 환경을 분석하기 위해 사상 처음으로 백록담 분화구 시추에 들어갔다.제주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는 6일 제주...

  • ‘화산학 교과서’ 제주 수월봉 지질공원 트레일 열려요‘화산학 교과서’ 제주 수월봉 지질공원 트레일 열려요

    물바람숲 | 2016. 08. 08

    세계지질공원 한경면 고산리 수월봉 일대에서 13~21일 진행사진공모전, 사생대회, 특별탐방해설도 곁들여유네스코가 지질공원의 진수라고 격찬한 제주도 지질공원 트레일 행사가 오는 13일부터 21일까지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수월봉 일대 세계지질공원에...

  • 해저 3천m서 솟아 “펑,펑…” 화산재 동해 건너 일본까지해저 3천m서 솟아 “펑,펑…” 화산재 동해 건너 일본까지

    조홍섭 | 2016. 08. 03

    한반도 지질공원 생성의 비밀 <12-1> 울릉도 나리분지분화구는 정상인 성인봉이 아니라 섬 중턱 원형극장 같은 나리분지야트막한 알봉은 이중화산의 증거 백두산 천지 같은 칼데라호는?땅속 깊숙이 숨어 하루 2만톤씩 용출하는 식수원...

  • 싱싱한 사진 ‘물질’해 지질공원 해설 ‘횟감’싱싱한 사진 ‘물질’해 지질공원 해설 ‘횟감’

    물바람숲 | 2016. 07. 27

    [생활사진가 장순덕 제주 해녀할망]마을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지질공원 전문 해설사로 물속 지질 생생히 보여주고 싶어방수카메라 손에 쥐어 찍어 보니 물밖이든 물속이든세상은 또다른 별천지 해녀는 얼굴 드러내는 거 싫어해...

인기글

최근댓글